{{{#!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6em" |
|
||||||||||||||||||||||||||||
천하제일복지천 | |||||||||||||||||||||||||||||
|
|
||||||||||||||||||||||||||||
|
청와대 관저 | ||||||||||||||||||||||||||||
청와대 본관 | 청와대 녹지원 |
|
|
||||||||||||||||||||||||||
칠궁 |
|
|
|
|
|||||||||||||||||||||||||
|
|
|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
|
청와대 춘추관 | ||||||||||||||||||||||||
|
|
|
|||||||||||||||||||||||||||
|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
||||||||||||||||||||||||||||
|
|
|
|
||||||||||||||||||||||||||
┏ | ㅡ | ㅡ | ㅡ | ㅡ | ┛ | ㅡ | ㅡ | ㅡ | 신무문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계무문 | 광무문 | ㅡ |
|
ㅡ |
|
ㄴ | ㅡ | ㅡ | ㅡ | ㅡ | ┓ | ||
ㅣ | 숙문당 |
|
|
팔우정 | 집옥재 | 협길당 |
|
건청궁 |
서녹산 |
|
동녹산 | ㅣ | |||||||||||||||||
ㅣ | 태원전 | 영사재 | 대왕대비전 세답방 | ㅣ | |||||||||||||||||||||||||
ㅣ | 순화궁 세답방 | 중궁전 세답방 |
|
ㅣ | |||||||||||||||||||||||||
ㅣ | 빈궁 세답방 | 공묵재 | 왕대비전 세답방 |
|
|
|
|
|
|
ㅣ | |||||||||||||||||||
ㅣ |
|
|
|
|
|
|
|
|
ㅣ | ||||||||||||||||||||
ㅣ |
|
|
|
|
|
ㅣ | |||||||||||||||||||||||
ㅣ |
|
|
서장고 | 향원정 |
|
|
|
|
ㅣ | ||||||||||||||||||||
ㅣ |
|
ㅣ | |||||||||||||||||||||||||||
ㅣ | 함화당 집경당 |
|
|
|
|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
ㅣ | ||||||||||||||||||||||
ㅣ |
|
|
ㅣ | ||||||||||||||||||||||||||
ㅣ |
|
|
|
|
|
ㅣ | |||||||||||||||||||||||
ㅣ |
|
|
ㅣ | ||||||||||||||||||||||||||
ㅣ |
|
흥복전 |
|
|
제수합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
|
아미산 |
|
자경전 |
|
|
|
|
ㅣ | |||||||||||||||||
ㅣ |
|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ㅣ | 함원전 |
건순각 ┏ |
|
|
|
|
|
ㅣ | |||||||||||
ㅣ | ㅣ | 경회루 | ㅣ | ㅣ |
함홍각 ㅏ |
교태전 |
원길헌 ┓ |
복희당(대전 생물방) | ㅣ | ||||||||||||||||||||
ㅣ |
|
ㅣ | ㅣ | ㅣ | 흠경각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ㅏ | 양의문 | ㅗ | ┓ | 대전 내소주방 |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
|
ㅣ | ||||||||||||||||||
ㅣ |
|
ㅣ | ㅣ | ㄴ | ㅜ | 응지당 | 강녕전 | 연길당 | ㅣ | ㅣ | |||||||||||||||||||
ㅣ |
|
ㅣ | ㅣ | ㅣ | 경성전 | 연생전 | ㅣ | ㅣ | |||||||||||||||||||||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ㅏ | 향오문 | ㅓ | ㅣ | ||||||||||||||||
영추문 |
|
|
|
|
ㅣ | 천추전 | 사정전 | 만춘전 | ㅣ | 자선당 | 비현각 |
|
|
건춘문 | |||||||||||||||
|
|
|
ㅣ | ㅣ |
|
|
|
|
|
관리사무소 | |||||||||||||||||||
|
ㅣ | 수정전 | ㅣ | ㅣ | ㅣ |
|
|
||||||||||||||||||||||
ㅣ |
|
|
|
|
ㅏ |
|
ㅓ | ㅏ | 사정문 | ㅓ |
|
|
|
ㅣ | |||||||||||||||
ㅣ |
|
|
|
|
ㅣ | ㅣ |
협의문 융무루ㅓ |
근정전 |
계인문 융문루 ㅏ |
|
|
|
ㅣ | ||||||||||||||||
ㅣ |
|
|
ㅏ |
|
ㅓ |
|
ㅣ | ||||||||||||||||||||||
ㅣ |
( 홍문관) |
|
|
ㅣ | ㅣ | 계조당 |
|
|
ㅣ | ||||||||||||||||||||
ㅣ |
|
|
|
ㄴ |
|
┛ | ㅏ |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 ㅓ | ㅣ | |||||||||||||||||||
ㅣ |
|
|
|
ㅣ 기별청 유화문 ㅣ |
ㅣ 덕양문 ㅣ |
봉선문 |
|
주차장 | ㅣ | ||||||||||||||||||||
ㅣ | 영제교 | ㅣ | |||||||||||||||||||||||||||
ㅣ |
|
|
|
ㅣ | |||||||||||||||||||||||||
ㅣ |
|
|
ㅡ | ㅡ |
|
ㅏ | 흥례문 | ㅓ | ㅣ | ||||||||||||||||||||
ㅣ |
|
|
|
|
|
|
용성문 | 어도 | 협생문 | ┓ |
|
|
ㅣ | ||||||||||||||||
ㅣ |
|
국립고궁박물관 |
|
|
|
|
ㅣ |
수문장청 매표소 |
수문장청 매표소 |
ㄴ | ┓ |
|
|
ㅣ | |||||||||||||||
ㅣ |
|
|
|
초관처소 영군직소 |
ㅣ |
|
|
ㅣ | |||||||||||||||||||||
|
ㅡ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ㅗ |
광화문 ( 월대) |
ㅡ | ㅡ | ㅗ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동십자각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경복궁 근정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보물 | |||||||||||||||||
811호 | ← | 812호 | → | 813호 | ||||||||||||||
경복궁 아미산 굴뚝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 창덕궁 인정문 |
}}} ||
대한민국 보물 제812호 |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세종로)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수량 | 2동[1] |
지정연도 | 1985년 1월 8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1395년 창건, 1867년 중건 |
|
|
<colbgcolor=#bf1400> 근정문[2] |
[clearfix]
1. 개요
경복궁 정전인 근정전의 정문이다.2. 역사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함께 세웠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탔고 1867년(고종 4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었다.고종 시기에 중건할 때, 위치 등은 개국 초와 비슷하나 상세한 일부 부분은 달라진 듯 하다. 본래 행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부출입구[3]가 문과 가까이 붙었으며, 주변 행각도 단랑이었던 것을 복랑으로 지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청사가 정말 근정문 바로 앞까지 들어섰었다.[4] 근정문 앞에 있던 흥례문은 헐려 사라지고, 금천은 메워졌다. 그럼에도 근정문은 무사했고 6.25 전쟁의 화마도 무사히 비껴가 오늘날까지 옛 모습대로 남아있다. 그 역사성을 인정받아 1985년에 보물 제812호로 지정받았다.
3.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목조 건물이다. 가운데 칸은 임금만이 다니는 어칸이라 하여 높이가 좌, 우 칸보다 더 높다. 어칸 남쪽 계단에는 서수 조각과 답도가 놓여있다.
- 지붕은 우진각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다포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 잡상을 올렸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근정문 안쪽으로 들어가면, 동쪽에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2층 창방 아래에는 빗살무늬 창문이 있다.
- 근정문 좌,우행각은 지금처럼 회랑으로 구성되었지만 과거의 근정전 동,서쪽의 행각은 근정문 좌,우행각과는 달리 관청들이 배치되었다. 동행각은 북쪽에서부터 창고인 양미고(粮米庫),과거와 관련된 업무담당인 관광청(觀光廳), 왕이 사용하던 벼루와 필묵을 담당한 서방색(書房色)이 위치했고 서행각은 행사 때 사용하는 향과 축을 맡은 관청인 향실(香室),왕이 행사 때 하는 축사, 기념사, 명령문 등에 대한 일을 담당한 예문관(藝文館),금군인 내금위, 겸사복, 우림위을 관리하는 내삼청(內三廳), 종친부와 충훈부에 소속된 하급관리인 충의가 근무하던 사무실인 충의청(忠義廳)이 위치했다.
4. 기타
- 고려의 근정문, 즉 고려 법궁 정전의 정문은 회경문(會慶門)이다. 태조 ~ 현종 초까진 만월대의 정전이 천덕전이었기에 정전 정문도 천덕문(天德門)이었다. 하지만 현종이 만월대를 재건하며 정전을 새로 지어 천덕문은 밀려나고 회경문이 정전 정문이 되었다.
- 조선 왕들의 즉위식장으로도 쓰였다. 정전이 아닌 정전의 정문에서 거행한 이유는 대부분 선왕의 장례기간에 즉위식이 열리기 때문에, 슬픈 상황에서 즉위해야 했기 때문이다. # 2대 정종을 시작으로 4대 세종, 6대 단종, 7대 세조, 9대 성종, 11대 중종, 13대 명종, 14대 선조까지 임금 8명이 이 곳에서 왕위에 올랐다.
[1]
근정문 및 근정전 행각.
[2]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일화문, 월화문. 일화문은 문신이 드나들고, 월화문은 무신이 드나들었다.
[4]
아스팔트 도로를 사이에 두고 중앙청 후문과 마주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