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12 17:36:43

그물자리


별자리
Constellation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1px"
관련 문서: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국제천문연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1px"
※ 비공인 별자리는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알파벳 순서를 따름
}}}}}}}}}}}}
Z: 황도 12궁 (모두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들어감)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그물자리
Reticulum / Ret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ret.gif
학명 Reticulum
약자 Ret
주요 별 수 4
가장 밝은 별 α Ret (0.03 등급)
가장 가까운 별 WISE 0350-5658 (12.1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시계자리, 물뱀자리, 황새치자리
관측 가능 여부 사실상 X[1]

1. 개요2. 상세
2.1. 항성2.2. 딥 스카이 천체

[clearfix]

1. 개요

Reticulum / Ret

그물자리 에리다누스자리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아주 작은 별자리이다. 겨울 별자리로 분류되며 크기가 작은데다가 남반구에 위치한 관계로, 대한민국에서는 전혀 볼 수 없다.

2. 상세

그물자리는 1621년 아이작 히브레이트 2세라는 천문학자의 천구의에서 '마름모' 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니콜라스 루이 드 라카유는 이 별자리를 그의 망원경의 십자선 조준기[2]를 기리기 위해 'Reticulum'으로 명명했고, α( 알파)에서 κ(카파) 까지 11개[3]의 별에 그리스 문자를 붙였다. 이외에도 19세기 중반에 해시계자리라는 명칭이 잠시 쓰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사장되었다. 이후 1930년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그물자리라는 명칭을 승인하면서 공식 별자리가 되었다.

약간 찌그러진 작은 마름모꼴 가운데 점이 찍힌 모습이며 성도상에서는 마름모형의 그물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이 별자리가 하늘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88개의 별자리 중 82위로, 매우 작은 편이다.

후대에 만들어진 별자리인데다 남반구로 내려가지 않으면 볼 수 없는 별자리다보니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2.1. 항성

니콜라스 루이 드 라카유에 의해 11개의 별에 그리스 문자가 붙었으며 3등성 1개, 4등성은 3개이다.

2.2. 딥 스카이 천체

그물자리는 대마젤란 은하와 가깝지만 이 은하에 속하는 천체는 거의 없고, 몇몇 은하를 볼 수 있다.

[1] 제주도에서 별자리의 북쪽 영역을 볼 수는 있지만 별자리를 이루는 주요 별들은 볼 수 없다. [2] 17세기 중엽 당시에는 망원경 렌즈에 거미줄을 붙여서 조준선, 즉 레티클(reticle)로 사용했으며, '그물' 모양의 거미줄을 조준선으로 사용한 것에서 이 이름이 유래했다. [3] ζ(제타) 별은 첨자가 붙어 2개이다. [4] 큰곰자리에 있는 두 별인 미자르와 알코르사이 거리의 2배 정도 된다. [5] 분광형은 각각 G3~5형, G2형의 주계열성이며, 질량은 각각 태양 질량의 96%와 99%로 태양과 매우 유사하다. [6] 이 음모론은 1961년 바니와 베티 힐 부부가 외계인에 납치되었다고 주장한 사건에 의해 생긴 음모론으로 #, 그들 부부가 그린 별 지도를 바탕으로 위치를 조사한 결과 해당 별들을 본 위치는 그물자리 ζ 항성계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7] 그러나 1990년대 히파르코스위성의 탐색 결과 실제 관측값이 그들의 별지도와는 많이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어 논파되었다. [8] 허블 분류상으로는 SB(s)d, 즉 중심 고리 구조가 없고(s), 개개의 성단과 성운으로 이루어진 희미하고 파괴된 나선팔 구조가 존재하는 막대나선은하(SBd)이다. [9] 허블 분류상으로는 SB(s)cd, 즉 중심 고리 구조가 없고(s), 나선팔의 상태는 SBc~d인 막대나선은하(SBcd)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