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1:06:41

봉황자리

[[별자리|별자리{{{#!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봉황자리
Phoenix / Phe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phe.gif
학명 Phoenix
약자 Phe
주요 별 수 4
가장 밝은 별 Ankaa (α Phe, 2.38 등급)
가장 가까운 별 WD 2359−434 (27.176 광년)
인접 별자리 조각가자리, 두루미자리, 큰부리새자리, 에리다누스자리, 화로자리, 물뱀자리
관측 가능 여부 *
* 물뱀자리는 봉황자리 경계선과 꼭짓점에서 간접적으로 인접하고 있다.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3.2. 심원천체

[clearfix]

1. 개요

Phoenix, Phe

남반구 별자리. 계절로는 겨울 별자리로 분류된다.

2. 상세

한반도에서는 함경도 등 북위 40도 이북의 북한 지역에서는 절반밖에 관측할 수 없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그나마 이론적으로는 남쪽 일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분을 관측할 수 있다. 제주도의 경우 남쪽 극히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을 볼 수도 있다.

일부분만 볼 수 있다고는 하지만 그나마 밝은 알파성 안카 정도를 제외하면 눈에 띄는 별도 많지 않은데다 위치도 북위 40도 이북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사실상 관측하기 쉽지 않은 별자리다.

학명이나 이름에서도 알 수 있겠지만 이 별자리의 '봉황'이란 동양의 봉황이라기보다는 엄밀히 말하자면 불사조, 즉 피닉스를 의미한다. 사실 이 별자리에 불사조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새롭게 창안했다기보다는 기존에 있던 상징을 차용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하지만 많은 나라에서 불사조에 천문학적 의미를 부여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 별자리를 설정한 요한 바이어의 선택은 나름대로 적절했던 셈.

중세 아랍권에서는 이 별자리가 있던 곳에 '작은배자리'가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 별자리의 알파성인 안카는 '나이르 알자우라크(배에서 가장 밝은 별)'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또한 12월 5일경 이 별자리에서 출발하는 것처럼 보이는 봉황자리 유성우가 관측되기도 한다.

3. 발견된 천체

봉황자리에는 여러 별들과 몇몇 어두운 은하들이 관측된다.

3.1. 항성

봉황자리에는 2등성 1개, 3등성 2개, 4등성 6개가 있으며, 바이어 지정에 의해 24개의 별에 그리스 문자가 붙었다. ο(오미크론) 별은 없으며, λ(람다) 별은 첨자 1과 2가 붙어 2개다.

3.2. 심원천체

은하수에서 많이 떨어져 있어서 은하수 내 천체는 별 말고는 없으며, 몇몇 어두운 은하들이 분포한다.
[1] 주기는 대략 210년 정도로 추정된다. [2] 주기는 대략 5,00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3] G5형 주계열성이라고 한다. [4] 모항성으로부터 거리는 d, b, c 순으로 0.47AU, 1.03AU, 9.8AU이며, 질량은 목성의 0.2, 7.1, 10.9배 정도로 추정된다. 순서대로 2001년, 2012년, 2022년에 발견되었다. [5] 비슷한 별로는 캅테인의 별(Kapteyn's Star)이 있다. 그러나 이 별은 애매한 SX Phe와는 달리 대표적인 준왜성이다. [6] 당장 비슷한 분광형인 시리우스에 비해 4배나 어둡다. [7] 이중에서도 두 별 사이 거리가 매우 가깝거나 심지어 붙어 있기도 하는 유형인 W UMa형 변광성이다. [8] SBm형으로 추정된다. 불규칙은하일 수도 있다. [9] 광행 거리로 따지면 58억 광년이다. [10] 500억 배로 하향조정 되었다. 참고로 현재 시간과 이론에 입각하면 블랙홀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질량은 태양 질량의 2,700억 배정도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