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0:01:47

교육개혁위원회

5.31 교육개혁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3990; border-right: 10px solid #00399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3990,#ddd><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여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정책 및 방향 금융실명제 · 역사바로세우기 (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재조사 ·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하나회 숙청
평가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논란이 있는 평가
타임라인
1993년 역사바로세우기 운동 · 하나회 숙청 ·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 한총련 출범 ·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 · 소말리아 평화유지군 파병 · 율곡사업 비리 사건 ·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 1993 대전 엑스포 · 금융실명제 실시 · 우리별 2호 위성 발사 · 제1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 · 정부 제3청사 착공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 쌀 시장 개방 파동
1994년 1994년 재보궐선거 · 교육개혁위원회 구성 · 북미 제네바 합의 · 서울불바다 망언 · UR비준 반대시위 · 1994년 주사파 파동 · 1994년 폭염 ·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 지존파 사건 ·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 · 성수대교 붕괴 사고 · 충주호 유람선 화재 사건 ·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분당선 개통 · 환경부 개청
1995년 WTO 가입 · 도농복합시 제도 실시 · 쓰레기 종량제 실시 · KEDO 설립 · 영광 원전 3, 4호기 가동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출범 ·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1995년 한국통신 파업 사태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 · 부동산 실명제 실시 ·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 무궁화 1호 위성 발사 · 조선총독부 철거 ·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 중앙고속도로 일부 개통 · 광주비엔날레 개최 · 노태우 비자금 사건 · 앙골라 평화유지군 파병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 민주노총 출범 · 도로명주소 시범사업 · 금산분리 도입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5.18 특별법 국회 통과
1996년 무궁화 2호 위성 발사 · 일산선 개통 · 국민학교 초등학교 명칭 변경 시행 · 중소기업청 설립 · 노수석 사망 사건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이철수 대위 미그기 귀순 · 2002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 확정 · 무함마드 깐수 간첩 사건 · OECD 가입 ·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개청 · 연세대 사태 · 페스카마호 선상 살인 사건 ·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 · 최덕근 영사 피살 사건 · 막가파 사건 · 노동법 날치기 · 전두환 사형, 노태우 무기징역 선고
1997년 당산철교 철거 ·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 · 신창원 탈옥 사건 · 한보 사태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 황장엽 망명 사건 · 이한영 암살 사건 · 청소년보호법 제정 · 이태원 살인 사건 · 공덕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청주국제공항 개항 · 이종권 치사 사건 · 이석 치사 사건 · 울산 광역시 승격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 1997년 재보궐선거 · 청소년보호법 파동 · 박초롱초롱빛나리 유괴 살인 사건 · 한일어업협정 · 최정남·강연정 부부간첩 사건 · 외환 위기 발생 · IMF 구제 금융 신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제15대 대통령 선거 · 전두환, 노태우 특별사면
1998년 금 모으기 운동 · 노사정위원회 출범 · 금속노조 출범 · 김훈 중위 사건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김영삼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김영삼 참고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교육개혁위원회
敎育改革委員會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출범 1994년 2월 5일
해산 1998년 2월 24일
전신 교육정책자문회의
후신 새교육공동체위원회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제6공화국 이래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에 걸쳐 큰 틀에서의 교육 정책 방향을 대부분 결정지은 기구.

2. 상세

교육개혁위원회(敎育改革委員會)는 김영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된 기관으로 설치 근거는 대통령령이었다. 주요 목적은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 교육개혁을 통해 입시위주교육을 혁파하고 선진국형 교육제도로 가는데 있었다. 제5공화국 시기인 1985년~ 1987년 대통령 직속 기구로 설치되었던 교육개혁심의회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 시절 1994년 2월에 구성되어 1998년 2월까지 운영되었다. 1995년에 1996학년도 대입을 5개월 정도 남긴 상황에서 대학별 본고사 폐지를 건의했으나 수험생의 혼란이 우려된다며 대통령이 거부했다. 결국 본고사는 이듬해인 1996년 실시된 1997학년도부터 폐지되었다.

또 이들은 다가오는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교육 개혁 방안을 4차례에 걸쳐 발표했다.

제1차 교육개혁방안(1995년 5월) -"5·31교육개혁안"- 은 포괄적이며 기본적인 개혁을 위해 학교교육의 체제를 혁신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요약하자면 특성화, 자율성을 통한 학생 중심의 교육, 정보화를 통한 열린 교육, 평가제 도입을 통한 질 높은 교육이라는 교육정책 전반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차 교육개혁방안(1996년 2월)은 초 중등 과정에 수준별 과목 도입, 전문대학원 제도 도입, 교육법령체제 개편 등의 좀 더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제3차 교육개혁방안(1996년 8월), 제4차 교육개혁방안( 1997년 6월)은 위 개혁안에서 모자란 부분을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 재정 GNP 5% 수준 확보, 수준별 수업 실시, 창의력을 강조한 수업, 대학설립 조건완화조치, 수요자 중심의 교육등이 이루어졌으며 문민정부 시절 건국이래 처음으로 교육 재정이 GNP의 5% 수준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 나머지 부분들은 1997년 12월 30일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로 발표된 제7차 교육과정으로 이어졌다.

이후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로 변화했지만 기본적 교육에 대한 틀은 이 5.31교육개혁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봐도 될 정도다. 참여정부 시절 발표된 2007 개정 교육과정이나 이명박 정부 시절 발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체제 및 철학 유지를 표방한다.

전문대학원 문제, 대학설립준칙주의 도입으로 인한 부실 사립대학의 난립 등 현재 대한민국 교육의 문제를 만들어 낸 원인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교육사에 큰 획을 그었다고 할수 있는 존재이나 현재는 잊혀진 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