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0:07:15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94%EB%85%84_12%EC%9B%94_7%EC%9D%BC_%EC%95%84%ED%98%84%EB%8F%99_%EB%8F%84%EC%8B%9C%EA%B0%80%EC%8A%A4_%ED%8F%AD%EB%B0%9C_%EC%82%AC%EA%B3%A02.jpg
파일:external/danmee.chosun.com/2013121002985_11.jpg



1. 개요2. 상세3. 파장

1. 개요

1994년 12월 7일 오후 2시 50분 경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에서 일어난 대형 가스 폭발 사고.

지금의 애오개역 4번 출구 방향[1]에 있던 도시가스 밸브스테이션에서 공사중 일어난 폭발로 화재가 발생하여 그 주변을 2시간이나 태웠다.

2. 상세

사실 주변 상가와 집은 불에 타고 있어도 주변 피해가 덜했다. 문제는 가스가 계속 누출되면서 불길이 계속 번진 데 있었다는 것. 그 화재로 마포도서관(아현분관)에서 마포경찰서까지 소방차와 구급차로 막혀 버리고 공덕오거리( 공덕역)에서 아현삼거리( 아현역)까지 교통은 통제되었다. 현장의 맞은편에 위치한 대우전자 사옥[2]은 하층부의 유리창이 몽땅 파손되어 지나가던 보행자를 덮치고[3] 그 일대 가스 전기가 차단되는 등 많은 불편이 있었다.[4] 또한 당시의 불길이 얼마나 뜨거웠는가 하면 사고 현장에서 수백미터 떨어진 곳까지 뜨거워서 도저히 접근을 할 수 없을 정도였다.

안전불감증[5]으로 빚어진 이 사고는 많은 손실과 인명피해를 남겼다. 이 사고로 사망자가 12명, 부상자 101명 등의 인명피해와 건물 145동(전파 75, 부분파손 70), 동산 431건, 영업손실 47점, 차량손실 92대 등의 물적 피해 및 이재민 210세대 555명 등의 손실을 초래하였다. 사고 당일 부터 3일간은 야간 전기 공급이 끊겼으며 가스 공급 재개는 10일이 걸렸다. 당시 아현~공덕 일대에는 아파트가 없었고 달동네 수준의 인구밀집지역이라 인적, 물적 피해가 상당히 컸다.

3. 파장

이 사고를 계기로 지하 매설물에 대한 전산화가 요구되었고 1995년부터 한국에 GIS가 도입되는 계기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한국가스공사에도 큰 사건이라 그 전과 후로 나뉠 정도로 회사 시스템이 많이 바뀌었다. 안전을 지침에 따라 이행하는 EHSQ 경영시스템이 생겼으며 안전, 유지 및 보수 인원을 충원하느라 1997년 외환 위기 직전까지 신입사원을 많이 채용하였다.

KBS는 오후 5시 25분부터 1TV에서 뉴스 속보를 틀고 사고 소식을 전했는데 당시 방송 주무부처였던 공보처방송시간 5분 일찍 틀었다고 당시 KBS 사장으로부터 사내 징계 경위서 등을 받아냈다.[6] 이는 당시 공보처의 방송국 허가장 일부 규정 때문이었는데 지상파가 정파시간에 긴급속보를 때려야 될 경우에는 사전에 공보처에 얘기를 한 뒤 허락을 받아야 방송을 틀 수 있었다. '방송질서 유지' 명목이었지만 이 시책은 이 사고 바로 넉 달 뒤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에서도 재현되면서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한다는 논란이 일었고 결국 김대중 정부 들어 이 시책은 없어졌다.

아이큐 점프에서 달숙이를 연재하던 만화가 이재석도 단행본 8권에 수록된 에피소드 표지에서 4컷 만화로 이 사고를 언급했다. 당시 이재석 작가는 마포구 거주자였기 때문에 사고의 충격이 남달랐을 것이다.

해당 사고 백서는 한국가스공사에서 만들긴 했으나 내부 보고용이라 현재도 비공개 상태이다. 해당 백서 및 기타 자료에서도 사고 원인을 노숙인들이 피우던 모닥불 불씨 정도로 추정할 뿐 특정하진 못한다. 사고 발생 지점이 그냥 날아가 버렸기 때문이다.

이 사고로 인해 1987년작 영화 칸트씨의 발표회의 원본 필름이 감독의 집이 전소되며 소실되었다고 한다. 다행히 개봉 프린트가 남아 있어서 볼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한 지점은 한동안 공터였다가 공덕자이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1] 당시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되기 이전이었다. 애오개역이 개통된 것은 1996년 12월 30일. [2] 당시에는 대우그룹의 계열사였으며 현재도 해당 건물은 존재한다. 하지만 대우전자의 사옥이 아닌 민간기업의 크레딧 센터로 전환되었다. [3] 다행히 안전유리로 시공되었던 터라 경미한 창상만 입었을 뿐 중상은 없었다. [4] 가스야 당연하지만 전기는 밤 12시에는 단전되었다. 당시가 12월이었던 걸 감안하면 그 주변에서 야밤에 체온을 지키는 방법은 가족 단위로 껴안고 자거나 연탄을 피우는 수밖에 없었다. 기름 보일러도 불을 붙일 전기가 없으니 못 돌렸다. [5] 원인을 명확히 알 수 없다. 어디서는 모닥불로 인한 화재로 나오고 당시 뉴스에는 담배로 인한 화재라고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것이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막는 체계가 부실했음은 틀림없었다. [6] 이 조짐은 두 달 전 충주호 유람선 화재 사건 당시 해당 사건을 뒤로 빼고 김영삼 대통령의 성수대교 붕괴 사고 담화를 메인으로 틀면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