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탄인덕원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아주대입구역 문서 참고하십시오.광교중앙(아주대)역 | |||||
신사 방면 상 현 ← 2.4 ㎞ |
신분당선 (D18) |
광교 방면 광 교 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사 방면 상 현 ← 2.4 km |
신분당선 (D18) |
SB06정거장 2.1 km → |
||
광교 방면 광 교 1.9 km → |
|||||
|
용인 경전철 계획 중
|
104정거장 1.0 km → |
}}}}}}}}} | ||
역명 표기 | |||||
신분당선 |
광교중앙 (아주대) GwanggyoJungang (Ajou Univ.) 光敎中央(亞洲大) / 光教中央(亚洲大学) / [ruby(光教中央, ruby=クァンギョチュンアン)]([ruby(亜洲大, ruby=アジュデ)]) |
||||
주소 |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지하45 (이의동 268-1) | |||||
운영 기관 | |||||
신분당선 | 네오트랜스(주) | ||||
개업일 | |||||
신분당선 | 2016년 1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신사 방면 상 현 ← 2.4 ㎞ |
신분당선 광교중앙 |
광교 방면 광 교 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9년 이후 철도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사 방면 상 현 ← 2.4 ㎞ |
신분당선 광교중앙 |
SB06정거장 2.1 ㎞ → |
||
기점
|
광교중앙 |
광교기지 방면 광 교 1.9 ㎞ → |
}}}}}}}}} |
[clearfix]
1. 개요
도청 이전 늦어져 경기도청역 아닌 광교중앙역으로
광교중앙역은 2016년 1월 30일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사는 지하 3층으로 광교동 지명에 얽힌 이야기를 담아 하늘에서 떨어지는 빛의 모습을 형상화 하였다. 아파트 단지와 대형마트, 상업빌딩과 학교가 밀집한 중심가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인근에 경기도청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으로, 2016년 1월 29일, 정자-광교 신분당선의 연장선 개통을 축하하는 개통식이 열렸던 곳도 광교중앙역 경기도청 예정부지였다. 광교중앙역과 경기도청의 인연은 이뿐만이 아니다. 실제 처음 역사 계획 수립 당시 경기도청역으로 불렸으나 경기도청 예상 완공 일정이 역사 개통시기 보다 늦어 현재의 광교중앙역으로 최종 역명을 확정하였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광교중앙역은 2016년 1월 30일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사는 지하 3층으로 광교동 지명에 얽힌 이야기를 담아 하늘에서 떨어지는 빛의 모습을 형상화 하였다. 아파트 단지와 대형마트, 상업빌딩과 학교가 밀집한 중심가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인근에 경기도청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으로, 2016년 1월 29일, 정자-광교 신분당선의 연장선 개통을 축하하는 개통식이 열렸던 곳도 광교중앙역 경기도청 예정부지였다. 광교중앙역과 경기도청의 인연은 이뿐만이 아니다. 실제 처음 역사 계획 수립 당시 경기도청역으로 불렸으나 경기도청 예상 완공 일정이 역사 개통시기 보다 늦어 현재의 광교중앙역으로 최종 역명을 확정하였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신분당선 2단계 구간으로서 종점역인 광교역 다음으로 두 번째 역이며, 향후 용인 경전철 연장선의 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2. 역 정보
2.1. 신분당선
|
광교중앙역 조감도 |
|
4번 출구 |
2면 4선식 승강장에 지하 3층 형식, 출입구는 4개이며, 역명판은 진파랑색이다. 승강장과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했다. 현재 유일하게 신분당선에서 2면 4선식 섬식 승강장 구조의 역이다. 다만, 아직 남부 연장 2차 구간이 개통되지 않았기에 실제로는 그 중 절반인 2선만 사용한다. 추후 개통이 된다면 본선은 호매실 방면의 열차가 사용될 것이고, 지선이 광교역 방면의 열차로 활용될 예정이다. 그리고, 광교역행 열차도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분당선 기흥역, 망포역과 같은 형태의 승강장. 인근에 광교1동 주민센터, 아주대학교, 경기주택도시공사, 수원월드컵경기장, 경기도청, 아파트 단지 등이 있다. 추후 용인 경전철 기흥역~신갈오거리역~흥덕~영덕~광교신도시 연장구간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434호 경기도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이다.
특이하게도 버스 정류소를 지하 1층에 설치하여 역과 연결해 환승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버스의 매연이 우려될 수 있지만, 환승센터 내 환기 설비가 완비되어 있고 스크린도어도 있어서 그럴 일 없다.
추후에 광교중앙역에서 분기되어 화서역을 환승해 호매실역 까지 연장할 계획이다.[2]
2016년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2차 개통구간 시승 행사가 이곳을 시점으로 진행되었다.
2016년 중으로 역 내에 GS25가 입점하였으며 2018년 내에 화장품점인 네이처 리퍼블릭이 입점했다. 2023년 현재는 꽃집과 공차가 입점해있다.
2.2. 용인 경전철
자세한 내용은 용인 에버라인/연장 문서 참고하십시오.용인 에버라인이 기흥에서 출발해 신갈오거리와 흥덕을 거쳐 이 역까지 연장될 계획이 있다.
2.3. 역명 논란
경기도청이 역 바로 앞으로 이전 예정이어서 가칭 경기도청역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경기도청이 없어서 논란이 되었다. 「신분당선 연장, ‘경기도청’ 역명 사용 놓고 논란」, 2014-08-20, 뉴스1진통 끝에 국토교통부에서 이 역의 이름을 광교중앙(아주대)역[3]으로 확정했다. 공사역명이 경기대역이었던 곳은 광교(경기대)역이 되었다. 다만, 이 역은 아주대와 가장 가까이 있는 역이긴 하지만 사이에 아파트 단지와 경사가 꽤 가파른 언덕이 있어 실제 거리는 상당히 멀고, 하이킹 및 등산을 할 게 아니라면 마을버스나 시내버스 환승이 강제된다.
개통한지 6년이 지난 2022년에야 경기도청 신청사가 개장했으며, 개통 시 다른 역명을 썼다가 도청 입주 후 경기도청역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검토됐었고 결국 2024년 9월 경기도에서 수원시에 광교경기도청역으로 역명 변경을 요청했다. # 역명에 굳이 광교를 붙인 이유는 광교 주민들의 반발을 예상하여 미리 방지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부자연스럽다는 반응이 대부분. 지역카페에서 조차 그냥 경기도청역으로 하거나 존치하는 게 낫다는 여론이 대부분이다.
희한하게도 경남여객은 이 역을 경유하는 노선에 전부 도청역이라고 스티킹하고 다닌다.
3. 역 주변 정보
경기도청 신청사 및 경기융합타운, 수원시 이의궁도장, 광교 자연앤 힐스테이트, 자연앤 자이 1•2•3단지 아파트, e편한세상 광교 아파트, 써밋플레이스 광교 아파트, 광교우체국, 수원다산중학교, 광교체육센터, 아주대학교, 연무중학교, 아브뉴프랑 광교, 롯데몰 광교점, 광교 푸르지오월드마크 아파트, 교보문고 광교점, 갤러리아백화점 광교점, 수원컨벤션센터, 아쿠아플라넷 광교,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수원, 광교고등학교 등이 있다.이 역 주변 갤러리아백화점 상층부에 CGV 광교점이 있는데, 이곳에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픈한 IMAX LASER관이 들어와 있다. 영화 애호가들은 아주 높게 평가하지만 수도권 외 지방에서의 접근성을 아쉬워하는듯.
4번 출구는 경기도청 연결통로 공사로 인해 늦게 개통했다.
역 위치가 참 애매한 편인데, 교통수요를 많이 유발하는 시설이 집중된 두 곳과 도보로는 모두 멀리 떨어진 가운데에 있다. 수원컨벤션센터와 갤러리아 광교, 롯데몰 광교점이 있는 중심상권에서도 멀고, 광교테크노밸리에서도 멀다. 주변은 경기도청 부지 말고는 죄다 아파트단지고 테크노밸리나 컨벤션단지 쪽으로 걸어가기에는 너무 멀어서 버스 환승이 무조건 강제되는 위치다. 계획상으로 광교중앙역-경기도청-수원컨벤션센터 지하통로 계획이 있으나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31145><bgcolor=#d31145> 연도 ||
||<bgcolor=#d31145> 비고 ||
2016년 | 8,556명 | [4] |
2017년 | 10,786명 | [5] |
2018년 | 13,845명 | |
2019년 | 16,689명 | |
2020년 | 13,945명 | |
2021년 | 14,728명 | |
2022년 | 18,107명 | |
2023년 | 21,443명 | |
출처 | ||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국토교통부 철도통계[6] |
- 광교신도시의 광역버스 수요를 성공적으로 가져왔다. 이는 신분당선 개통 이후 광교신도시 경유 광역버스 수요가 급감한 것에서 드러난다. M5414를 폐선시켰고 M5422의 경우 수요가 60%나 급감하였다.
- 그러나 광교신도시 밖 수요는 거의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 역 위치상 수원 영통구 주민들의 강남행 광역환승 거점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정작 인근 원천동, 매탄동 방면 버스 연계가 부족한 탓에 이 지역 주민들은 강남 방문 시 광역버스를 통해 나가는 동선을 유지하고 있다. 81번버스가 이에 해당하는 연계교통수단이지만 배차간격이 아직 느슨한 편이며, 이마저도 매탄 3, 4동 및 원천동 지역은 지나지 않는다.
- 그래도 2022년 5월에 경기도청 신청사가 광교중앙역 일대로 이전해 오고, 신분당선이 신사역까지 연장되어 이용객이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5. 승강장
5.1. 신분당선
신분당선 승강장 | 역 구조도 |
↑ 상현 | |||||||
ㅣ |
|
상2 | ㅣ | ㅣ | 하1 |
|
ㅣ |
광교 ↓ |
상1 | 신분당선 | 미금· 판교· 강남· 신사 방면 | |
상2 | |||
하1 | 광교 방면 | ||
하2 |
|
신분당선 승무원의 말에 따르면 외선 승강장은 이 역이 분기역이 된 후 사용한다고 한다.
5.2. 용인 경전철
6. 연계 버스
자세한 내용은 광교중앙역 환승센터 문서 참고하십시오.7. 기타
- 현재 신분당선이 광교까지만 운행중인 상태에서 미개통인 광교~화서역 구간은 5-4번이 화서역까지 직통으로 운행했었으니 양 구간의 대체노선 역할을 할 법도 했었는데 지나치게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결국에는 폐선되고 말았다. 그 구간을 19번을 이용하여 연무동, 조원동이나 수원 kt 위즈 파크, 화서역, 호매실지구 등으로 갈 수 있다.
- 내리는 문은 다른 역과 마찬가지로 왼쪽이다. 쌍섬식이지만 바깥쪽 선로를 사용하는 구조는 아니다. 호매실 방향이 뚫린다면 그건 그 때 가서 알아봐야 할 문제. 평면교차를 하기 때문에 광교중앙-광교 구간은 저속으로 다닌다. 광교역 방면을 기준으로 왼쪽이 막혀 있는 부분이 호매실 방면이고 오른쪽이 광교 방면이다.
8. 둘러보기
신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사 -
논현 -
신논현 -
강남 -
양재 -
양재시민의숲 -
청계산입구 -
판교 -
정자 -
미금 -
동천 -
수지구청 -
성복 -
상현 -
광교중앙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용인 에버라인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흥 -
강남대 -
지석 -
어정 -
동백 -
초당 -
삼가 -
시청·용인대 -
명지대 -
김량장 -
용인중앙시장 -
고진 -
보평 -
둔전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신분당선이 개통하면서 지번주소들이 통합되었다.
[2]
광교 방향 선로를 보면 왼쪽으로 선로가 연결되어있는데(현재는 막혀있음) 이 선로를 이용할 예정이다. 2024년에 착공 예정이며 2029년 개통 예정.
[3]
「논란된 신분당선 역명…'광교(경기대역)', '광교중앙(아주대역)' 병기」, 2015-07-28, 뉴스1
[4]
개통일인 1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3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 교통카드 데이터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6]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