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22:47:16

고려-북송 관계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 요나라 여진 북송
남송 몽골 제국 일본 류큐 왕국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발해 · 조선 · 대한민국
}}}}}}}}} ||

송나라의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려(북송) 고려(남송) 서하 베트남
당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인민공화국 }}}}}}}}}

1. 개요2. 역사3. 군사 관련4. 사신 관계

1. 개요

고려 북송의 관계.

2. 역사

960년 송나라 건국시기 부터 고려 광종이 사신을 보내 통교를 시작했다. 만주 서부에 거란이 등장하고 여요전쟁이 발발하는 등 국제 정세가 급변하면서 필요에 따라 국교가 끊어졌다 이어졌다를 반복하게 되지만, 그래도 이 과정에서 고려는 송을 이용해 요를 견제하는 동시에 공무역을 통해 송에게서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었고, 송 역시 요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려에게 좋은 대접을 해줬다. 의천이 송으로 건너갔을 때 고려사란 절도 지어주고, 고려의 사신을 서하의 사신보다 높였고 휘종대에 고려의 사절단을 진봉사에서 국신사로 높여 주었다. 물론 고려가 요 왕조처럼 송과 대등한 입장을 갖게 된 것은 아니다. 고려는 송, 요에 보내는 사절단을 진봉사로 지칭했고 송 왕조 역시 고려의 사절단을 국신사로 높였음에도 다른 의례에서는 송 왕조의 우위를 드러내었다.

하지만 이렇게 시간이 흐르는 동안, 여진족들의 세력이 커지게 되었다. 고려는 윤관의 여진 정벌을 통해 여진족의 힘이 예전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고, 금나라를 믿지 말라고 송나라에 경고했다. 그러나 이 경고를 무시한 채 송나라는 금나라를 끌어들여, 요나라를 멸망시켰다. 이후 송나라는 금나라를 배신하려다 역습을 당해 북송의 수도 카이펑이 함락되고 정강의 변이 일어나면서 북송 체제가 막을 내린 채 양국의 관계는 고려-남송 관계로 이어진다.

3. 군사 관련

송나라 입장에서는 송 독자적으로는 요나라 금나라를 상대할 힘이 부족했고 고려와 힘을 합쳐 요나라와 금나라를 막아보려 했던 의도가 있었기에 고려를 잘 대해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송나라의 외교적 방침을 요나라가 있었던 때는 연려제요(聯麗制遼)라 했고 금나라가 있었던 때는 연려제금(聯麗制金)이라 했다. 물론 동상이몽이라고 정작 고려는 송이 원하는 군사적 대응에는 미온적이었다. 물론 송도 고려가 여요전쟁 당시 3차례나 도움을 요청했으나 요가 두려워서 고려를 외면하였고, 이후 고려가 틈틈이 요와 금의 상황을 알려주면서 도와줄테니 요나 금을 치자고 하면 발빼기 바빴다는 점에서 비슷했다.

그래도 고려나 송, 모두 상대방에게 원한 것은 북방오랑캐 견제였기 때문에 견제 그 자체만으로도 외교상의 실리가 있었다. 서로 군사적으로 크게 도와주진 못해도 후방 견제 그 자체에서 나오는 효과가 있었기에 발해를 멸망시킨 저력이 있는 요나라도 송과 고려 어느 쪽도 멸망시킬 수 없었다. 그런만큼 이것만으로도 송과 고려가 연합할 가치는 있었다는 것. 다만 고려의 경우는 3차 여요전쟁 때, 요의 원정군에게 섬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혔지만, 고려 역시 3차에 걸친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어야 했다. 실제로 고려의 문자 기록이나 유물, 사적들을 보면 요나라의 침공 이전과 이후가 확연히 구분될 정도이다.

4. 사신 관계

고려 사신에 대한 융숭한 대접과 고려와의 (조공)무역은 양국의 우호 관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했지만, 불편한 갈등과 충돌도 빚었다. 남송의 상인들이 고려 사신들에게 물품을 빼앗겨 물어달라고 호소한 적도 있고 사신단과 현지 관료, 인민들 간의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요의 실제적인 위협이 줄어들자 송의 신료들 사이에선 반고려 입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소동파로 알려진 소식이다. 그는 고려를 대놓고 맥적(貊狄)이라고 부르며 다섯가지 이유를 들어 고려와의 관계를 재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돈이 너무 많이 든다.'
2. '백성들이 힘들다.'
3. 고려가 송에서 '가져간' 물품을 거란에게 '갖다 주고' 있다.
4. 고려는 입으로는 '송을 받든다' 하면서 정작 실리만 챙길 뿐이며, 심지어 송의 지형을 '그려 가고' 허실을 조사하고 있다.
5. 거란이 고려와의 관계를 '트집잡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이 주장은 크나큰 비판을 받았다. 소동파의 주장에 대해 반대파들은 현 상황에서 그나마 고려가 우호적인 국가인데 서하나 요나라가 형식적인 상국으로 모시며 세폐를 뜯어갈 때 그래도 고려는 아우를 자처했고, 유사시 거란을 견제해줄 수 있는 나라인 고려의 성질을 건드려서 국교가 단절되기라도 하면 요나라가 쳐들어올 때 고려가 우리를 도와주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그 5가지 행위들은 서하나 요나라도 하는데 왜 서하나 요나라에게는 뭐라 하지 않으면서 고려만 걸고 넘어지냐고 비판했다. 다시 말해 아무리 고려의 행위가 나쁘다 쳐도 "서하나 요나라가 범한 것보단 낫고 요나라를 견제할 수 있는 나라니까 감수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소동파는 반박하지 못하고 황제에게 자신이 아둔하여 생각을 잘못했다고 사죄하는 글을 올려야 했고, 결국에는 지방으로 좌천당했다.[1]

실제로 고려는 송나라보다 요나라에 더많은 조공을 바쳤고[2] 요나라 지도를 입수해 송나라에 준 적도 있다. 결코 고려에게 일방적으로 피해만 입은 것이 아니었다. 또한 역으로 송의 국신사가 고려로부터 융숭한 대접과 선물을 받고 사무역까지 허가받았으면서 탐욕스럽게 재물을 탐해 고려인들이 비판한 일도 있었으니 송나라가 일방적인 피해자였던 것도 아니었다. 그리고 송나라가 당하는 것은 나아보일 정도로 요나라도 고려에게 더 시달리고 있었다. 송나라를 상대로는 일부 사신들이 일반 백성들에게 민폐를 준 것에 그친 반면, 요나라를 상대로는 요 선종의 생일을 축하하러 온 사신인 이가급이 생일보다 늦게 도착했다. 이를 두고 그의 이름을 두고 사람들은 이름은 가급인데 불급이 되었다고 놀렸다.

송사를 보면, 송이 고려 사신을 매우 귀히 여겼음을 알 수 있는 대목들이 나온다. 고려의 사신을 수도까지 데려오는데에 비용이 많이 들어 손부(孫傅)라는 신하가 비용을 문제 삼아 반대하자, 이를 파직시켰다. # 이에 손부의 파직이 부당하다고 허한이라는 또다른 신하가 이의제기를 하자 허한마저 파직시켜 버렸다.[3] # 고려 사신을 수송하기 위한 선박 운용을 위해 큰 비용을 지불하고 수송에 차질을 빚지 않기 위해 운하까지 보수했던 것이다.

한편 고려 사신이 지금의 산동성인 청주를 방문하자 청주의 관원들이 성 밖으로 나와서 고려 사신에게 절을 올렸으나 오직 청주의 종사 호순지만이 절을 하지 않아 송나라의 자존심을 지킨 일화도 있다.[4] #

송이 고려에게 저자세로 나오면서 사신들을 후하게 대접한 이유는 소동파의 주장을 반박한 이들의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요나라를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어차피 송나라는 요나라는 물론이고, 서하의 경우도 요나라의 세폐에 절반 이상되는 금액을 하사금이라는 형식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세폐를 내야했다. 그에 비해 고려는 주적인 요를 견제하기 좋은 위치도 있고, 다른 나라들처럼 정기적 세폐를 요구하지도 않았다. 사신들에게 상당히 베푼다고 해도 서하나 요나라에 바치는 세폐에 비하면 푼돈 수준이었다.


[1] 정작 소동파의 반고려 감정과 별개로 고려에서 소동파의 인기는 대단했다. 예를 들어 김부식과 동생 김부철은 소식과 소철 형제에게서 이름자를 따서 지은 것이었다. [2] 조공을 바친다는 것은 명목상 신하가 예를 표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받는 입장에서는 황제의 체면 상 더 많은 하사품을 내려야 했다. 즉, 조공을 통해 요나라에게 부담을 준 것이다. [3] 송사 권363 열전122 [4] 송사 권 303 열전 6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9
, 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