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21:25:26

계량경제학

경제학
Econom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d0,#333><colcolor=#000,#fff> 미시경제학 소비자이론 · 생산자이론 · 산업조직론 · 후생경제학 · 공공경제학 · 정보경제학 · 행동경제학 · 금융경제학
거시경제학 국민소득 · 인플레이션 · 노동시장론 · 금융경제학 · 화폐금융론 · 경기변동론 · 경제성장론 · 경제정책론
국제경제학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경제방법론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경제정보처리 · 계량경제학(경제통계학)
경제사 경제사 · 경제학사
응용경제학 농업경제학 · 자원경제학 · 환경경제학 · 개발경제학 · 보건경제학 · 노동경제학 · 도시경제학 · 경제지리학 · 법경제학 · 약물경제학 · 정치경제학
비주류경제학 마르크스경제학 · 오스트리아학파 }}}}}}}}}

통계학
Statist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d4d4d><colcolor=#fff> 수리통계학 기반 실해석학 ( 측도론) · 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확률론 사건 · 가능성 · 확률 변수 · 확률 분포 ( 표본 분포 · 정규 분포 · 이항 분포 · 푸아송 분포 · 카이제곱분포 · t분포 · Z분포 · F-분포 · 결합확률분포) · 확률밀도함수 · 확률질량함수 · 조건부확률 · 조건부기댓값 · 조건부분산 · 전체 확률의 법칙 · 베이즈 정리 · 도박사의 오류 · 도박꾼의 파산 · 몬티 홀 문제 · 뷔퐁의 바늘 · 마르코프 부등식 · 체비쇼프 부등식 · 큰 수의 법칙 ( 무한 원숭이 정리) · 중심극한정리 · 벤포드의 법칙
통계량 평균 ( 제곱평균제곱근 · 산술 평균 · 기하 평균 · 조화 평균 · 멱평균 · 대수 평균) · 기댓값 · 편차 ( 절대 편차 · 표준 편차) · 분산 ( 공분산) · 결정계수 · 변동계수 · 상관계수 · 대푯값 · 자유도
추론통계학 가설 · 변인 · 추정량 · 점추정 · 신뢰 구간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실험통계학 · p-해킹 · 통계의 함정 · 그레인저 인과관계 · 신뢰도와 타당도
통계적 방법 회귀 분석 · 최소제곱법 · 분산 분석 · 주성분 분석 ( 요인 분석) · 시계열 분석 · 패널 분석 · 2SLS · 생존 분석 · GARCH · 비모수통계학 · 준모수통계학 · 기계학습 ( 군집 분석 · 분류 분석) · 위상 데이터분석 · 외삽법 · 메타 분석 · 모델링 ( 구조방정식)
기술통계학 ·
자료 시각화
도표 ( 그림그래프 · 막대그래프 · 선 그래프 · 원 그래프 · 상자 수염 그림 · 줄기와 잎 그림 · 산포도 · 산점도 · 히스토그램 · 도수분포표) · 그래프 왜곡 · 이상점 }}}}}}}}}


1. 개요2. 계량경제학의 가치와 의의점
2.1. 예시 1: 근시안적 소비 vs. 평생소득가설2.2. 예시 2: 금융시장은 완비(complete)인가?
3. 주요 주제들4. 과목
4.1. 학부
4.1.1. 교재 목록
4.2. 대학원
4.2.1. 공통 필수4.2.2. 전공에 따른 계량경제학 과목
5. 전공자6. 계량경제학과 경제통계학은 다른 분과인가?

1. 개요

/ econometrics
/ statistics for economics, economic statistics

경제학의 연구방법론들중 하나로, 통계학을 응용한다. 경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제학 이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거나, 대립되는 두 가지 이상의 이론이 있을 경우 어느 쪽이 맞는지 판별하는데 쓰인다.

경제학과에 진학한 학생들이 원론이라든지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과는 느낌이 다른 아스트랄한 내용에 고배를 많이들 마시는 과목인데, 적성에 잘 맞고 특히 수학이나 통계학을 썩 잘한다면 계량경제학을 공부하고 각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 과목을 듣기 전에 최소 기초 통계학 정도는 수강해야한다.[1] 수강하지 않았다면 방학 등을 이용해 미리 필히 통계학을 개인적으로 공부해야 하고 수강한지 오래되어서 잊어버렸다면 다시 복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업시간에 아무것도 못 알아듣고 가만히 앉아만 있다가 오는 참사가 발생할 수 있다.

2. 계량경제학의 가치와 의의점

이론/수리경제학은 경제 현상에 대한 수리적 모델을 세우는 것으로서 논리의 전개가 연역법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가정을 한 모델이 상반된 결론을 내놓을 때, 말싸움만으로 어느 한 쪽이 맞다고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다.

이 때 계량경제학은 이론 경제학자들이 연역적으로 도출해 낸 가설이 유효한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제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가지고서 귀납적인 분석 결론을 내려줄 수 있다. 천공 카드도 발명되기 전인 과거에는 상당한 노가다를 필요로 했지만, 컴퓨터와 통계 프로그램이 발달한 2021년 현재는 대부분 Stata 같은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기에 선형회귀 (linear regression) 정도는 눈 깜짝할 새 돌릴 수 있다.

경제학으로 유학을 나가면, 수학을 파는 게 영어를 파는 것보다 차라리 쉬울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한중일 경제학자들 중 뛰어난 사람들 상당수가 계량이론을 전공한 계량경제학자다. 미국에서 좋은 데이터를 얻을 만한 인맥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없이도 할 수 있는 이론 연구 쪽으로 좋은 성과를 내는 것.

아래 경제학 이론 검증에 사용될 수 있는지 간단한 예시들을 제시한다.

2.1. 예시 1: 근시안적 소비 vs. 평생소득가설

케인스적 관점에 따르면 사람들은 근시안적(myopic)이다. 이 말은 사람들이 현재 소득에만 근거해서 현재 소비를 결정한다는 의미이다. 반면에 밀턴 프리드먼 등이 주장한 평생소득가설(Life Cycle-permanent income Hypothesis, 이하 LCH)에 따르면 사람들은 평생 자기가 벌어들일 소득을 미리 감안해서(forward-looking) 현재 소비를 결정한다.

이 두 가설은 매우 다른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예를 들어 현재 경기 불황이 심각하면, 정부는 미래에 세금을 더 걷더라도 오늘 사람들에게 보조금을 줘서 소비를 증가시키고 싶을 수 있다. 사람들이 근시안적으로 소비한다면 이런 정책은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LCH에 따라 소비한다면 사람들은 당장 손에 돈이 쥐어져도 (미래에 정부가 세금을 더 걷을 것이므로) 평생소득은 별로 변화하지 않았다고 느껴, 현재 소비를 별로 늘리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조금 정책은 효과가 없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실제로 둘 중 어느 가설에 따라 행동할까?

Hall (1978)[2] 은 1948-1977년 미국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LCH를 검증하였다. 이차함수로 표현되는 효용함수를 가정하면, LCH를 따르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꼴로 기간별 소비를 해야한다. [math(C_t)]는 [math(t)]기의 소비(consumption)을 의미한다.
[math( C_t = C_{t-1} + \varepsilon_t )]
여기서 뒤의 오차항 부분은 [math((t-1))]기에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이다. 직관적으로 이런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효용함수가 한계효용체감을 보일때, 사람들은 각 기마다 가급적 같은 양의 소비를 하고 싶어할 것이기 때문이다 (consumption smoothing). 예를 들어 2기간만 사는 사람이 있다면, 1기에 굶고 2기에 사과 2개를 먹는 것보다, 1, 2기에 각각 사과 1개씩을 먹는 것을 더 선호할 것이다. 이제 위의 식에서, 다음과 같은 선형회귀를 생각해볼 수 있다.
[math( C_t = \alpha_0 + \alpha_1 C_{t-1} + \beta z_{t-1} + \varepsilon_t)]
여기서 [math(z_{t-1})]은 [math((t-1))]기에 알 수 있는 다른 통제변수들이다. 만일 LCH가 맞다면, 물론 [math(\alpha_0 = 0, \alpha_1 = 1)] 일 것이다. 이제 우리는 소비 데이터를 갖고 있으므로, 선형회귀를 돌려서 계수들의 추정치를 구하고, 계량경제학 교과서에 나온대로 [math(\alpha_0 = 0, \alpha_1 = 1)]를 귀무가설로 놓고 검증하면 된다. 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면, LCH를 받아들여도 좋을 것이다.[3]

2.2. 예시 2: 금융시장은 완비(complete)인가?

금융시장이 완비라면,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들에 대해 거기 대응되는 금융 상품을 살 수 있다. 이 경우 위험 기피적인 소비자들은 (위험 중립적인 회사들로부터) 완전한 보험 (full insurance)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말은 미래에 무슨 일이 일어나든 소비자들이 일정한 소비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래에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다면, 위험 기피적인 소비자는 보험을 듦으로써 교통사고가 일어나든 안 일어나든 똑같은 소득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금융시장이 정말 완비인가? Cochrane(1994)[4]은 다음과 같은 간단한 회귀분석을 통해 이것을 테스트한다. (가계 레벨 데이터이기 때문에, 하첨자 [math(i)]는 가계 샘플 번호를 의미한다)
[math( \Delta C_i = \alpha + \beta X_i + \varepsilon_i )]
여기서 [math( \Delta C_i )]는 데이터가 있는 1980-1983년 사이의 소비 변화이고, [math(X_i)]는 해당 기간의 (소득에 영향을 주는) 가계 레벨 충격들이다. 만일 소비자들이 완전한 보험을 제공받고 있다면, 그런 충격들은 가계의 소비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말했듯 보험이 있으면 교통사고가 일어나건 안나건 똑같은 소득을 얻고, 똑같은 소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시장이 완비라면, [math( \beta = 0 )]이라는 귀무가설을 세웠을 때 기각할 수 없을 것이다. 이제 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 회귀식의 계수를 추정하고 귀무가설을 검정하면 된다.

3. 주요 주제들

위와 같이 데이터를 통해 경제학적인 질문을 해결하는 것이 계량경제학의 목표인 만큼, 기본적으로 통계학에서 이미 발견된 지식들을 많이 활용한다.

응용통계학으로 여겨지지만 전통적인 통계학과는 어느 정도 구별된다. 통계학자는 어떤 모수를 추정하기가 어려울 때 이것이 데이터의 한계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되면 더 좋은 데이터를 구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계량경제학자는 데이터가 불완전하더라도 가능한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여 모수를 추정하려고 한다. 결국 모든 것은 사회적 현상을 실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건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단순히 나눠서 암 걸리는지 실험 못 하는것과 같은 이유다 일반적인 통계학에서는 실험설계가 가능하지만, 사회 현상을 실험하는 것은 극히 제한된다.[5] 이것이 계량경제학에서 상대적으로 내생성(endogeneity) 문제가 더 심각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다.

아래의 주제들은 학부 및 대학원에서 배우는 내용들 중 일부를 다룬다. 일률적으로 어디까지가 학부 과정이라고 자르긴 힘드나, 대개 학부 계량경제학에서는 OLS 추정치의 계산 및 그 성질(Gauss-Markov Theorem까지), 추정된 OLS 계수/전체 모델에 대한 통계적 검정, OLS의 기본 가정들이 위배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며, 어떻게 이를 해결할 수 있는가(GLS, IV)? 정도까지 다루는 편이다. 물론 학교별/교수별로 차이가 클 수 있다.

4. 과목

4.1. 학부

4.1.1. 교재 목록

경제학/교과서

※ 참고 사이트

4.2. 대학원

대학원 계량경제학에 실린 내용을 모두 알 필요는 없지만 많이 알수록 유리하다. 가장 수학이 적게 쓰이는 분야라고 할 수 있는 reduced-form 응용미시경제학을 할 경우, 탑 저널에 실린 논문들을 봐도 방법론적으로만 보면 Mostly Harmless Econometrics의 내용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자신이 찾은 데이터가 준-실험적(quasi-experimental) 조건을 만족하는가, 자신의 결론이 모델을 다소 바꿔도 강건하게(robust) 나타나는가 하는 부분을 정당화 하는데 더 많은 노력이 들어간다. 계량경제학을 많이 알수록 분석할 수 있는 것도 많아져 연구과정이 편해진다.

4.2.1. 공통 필수

4.2.2. 전공에 따른 계량경제학 과목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미묘한 차이점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기타 재정학, 국제개발, 경영전략- 국제경영론, 행정학, 정책학, 회계학 등에 대한 실증분석에 대해서도 미시계량경제학적 방법이 필요하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추정을 해야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그 때 희생하는 성질들은 무엇인지를 익혀야 한다.[14] 결국 계량을 어느 정도 파야 된다. 지옥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파라 어렵든 말든, 필수든 말든, 시험 성적이 어떻든 간에 패널 분석, 시계열 분석이 필요하다면 반드시 계량경제학과 마주치게 된다. 그래서 행정학과 정책학과 대학원의 경우 양적 연구방법론을 이용하기 위해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한 경우도 있다.

5. 전공자

정치인 중에는 이혜훈 전 국회의원이 미국 UCLA에서 계량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KDI( 한국개발연구원)와 영국 레스터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교수생활을 하던 중 정계에 입문하게 된 케이스에 속한다. 또한 이혜훈 전 의원의 KDI 시절 사수였던 유승민 전 국회의원은 위스콘신 매디슨에서 산업조직론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을 때 계량경제학, 수리경제학을 부전공으로 했으며 대학원의 계량경제학과 미시경제학 조교로 재직한 바 있다. 이 외에 류근관 통계청장 역시 계량경제학자이다.

6. 계량경제학과 경제통계학은 다른 분과인가?

경제학에 쓰이는 통계학과, 통계학에 쓰이는 경제학이 다르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이 문단은 특집: 경제통계학의 과제: 논평 (이상우, 1987)에서 인용하였다.

이상우(1987)는 국내 일부 대학에서 경제통계론 또는 경제통계학이라는 교과목 개설이 개설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에 이러한 생각은 무지의 소치라고 비판하였다. 경제통계론은 경제나 경영분야에서 특히 광의의 경제적 현상에 관한 상태나 구조 또는 변동상황이나 원인규명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을 골자로 하기 때문에 상경계통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이론이나 정책 각 분야의 이론 전개나 실증적 검정을 위한 연구에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실제자료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 도움을 주는 학문 분야이다. 이상우(1987)은 경제통계학은 통계자료의 생산자 입장을 취하고 계량경제학은 통계자료의 소비자 입장을 취한다고 보았다.

한편 이강철(1997)[17]은 계량경제학은 아무리 계량적인 성격이 농후하다 하더라도 결국 경제학 내부에 그 지위를 차지하는 것이지만 경제통계학은 경제학 밖에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냥 말장난으로 볼 수도 있다. 이상의 논리들을 정리하면 경제학자가 경제학에 통계학을 끌고오면 계량경제학이고, 통계학자가 통계학을 경제학에 응용하면 경제통계학이다. 결국 경제학과 통계학을 섞었을 뿐이며, 연구 주체와 저널을 보지 않고 논문만 보고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 경제학과에도 대부분 경제통계학, 통계학입문이라는 이름으로 기초 통계학개론에 해당하는 수업을 커리큘럼에 넣어놓는다. [2] Hall, R. E. (1978). Stochastic implications of the life cycle-permanent income hypothesis: theory and evidenc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6(6), 971-987. [3] 물론 여기서 일어날 수 있는 type 1, 2 error는 수없이 많다. 효용함수가 정말 저렇게 생겼을까? 개인 레벨 데이터를 써야 맞는 것이 아닌가? (Hall (1978)은 시대적 한계상 전체(aggregate) 레벨 데이터를 썼다) 다만 완벽하지 못한 실증 분석이라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 [4] Cochrane, J. H. (1991). A simple test of consumption insuranc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9(5), 957-976. [5] 예를 들어 직업경험으로 인한 암묵적 지식의 중요성을 검증한다고 하자. 똑같은 교육수준을 가진 집단을, 한쪽은 미화원, 한쪽은 택시기사, 한쪽은 은행원... 이런 식으로 나눠서 조사할 수 있을까?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면서까지 실험을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오늘날은 실험경제학이라는 분야가 발전하면서 일부 실험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6] 통상최소자승추정법. OLS Estimation. [7] 정확히는 추정량이 모수로 확률수렴할 때. [8] 특정한 목적함수를 최대/최소화하는 방식의 추정량들. Minimum estimator의 약자를 땄다. [9] 최대가능도추정법, 최우추정법 [10] 저자는 Bruce Hansen, 위스콘신 대학교 교수이다 [11] Wooldridge가 쓴 대학원용 교재가 2종류다. 주의. [12] 본인이 유전자를 택해서 태어날 수는 없으므로. [13] 예시: # [14] Mostly Harmless Econometrics와 같은 책을 보면 실증분석(empirical study)을 위한 계량경제학은 갈수록 간단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그건 또 그거대로 제도에 대한 이해, 도구변수에 대한 아이디어가 필요하여 결코 쉽지는 않다. [15] 이는 경제학 박사과정에 지원하는 학생들이 대학원 코스웍을 위해서 수학과 통계학을 사전에 충분히 준비하여 코스웍을 훌륭히 잘 마치는 이유도 크지만, 한국 주요 대학 경제학교수 중 교육 및 연구분야에서 세계 탑급 계량경제학 대가가 많기에 수업과 연구지도를 받고 다시 해외 유학을 가서 익숙한 분야에 뛰어드는 경향도 없지 않다. 응용경제 및 실증계량같은 경우 뛰어난 영어와 소통능력은 기본이고 미국경제에 대한 지식과 통찰이 있어야 미국에서 논문을 인정 받기 때문에 미국에서 인정받으려면 계량 및 미시이론쪽으로 가는 경향이 굉장히 크다. [16] 이름에서 계량이 들어가있긴 하지만 뛰어난 연구자면 분야를 가리지 않고 뽑힌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 뒤플로(2019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는 응용미시 전공이지만 당연히(?) 회원이다 [17] 경제통계학의 발전과정과 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