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1454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임진왜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rowcolor=#888> 울산광역시 울주군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rowcolor=#aaa>
서생포왜성 西生浦倭城
|
‡ 임랑포왜성 林浪浦倭城
|
기장왜성 | 죽성리왜성 機張倭城 | 竹城里倭城
|
||||
<rowcolor=#888> 부산광역시 동구 | 부산광역시 동구 | |||||
<rowcolor=#aaa>
‡ 동래왜성 |
동래읍성 東萊倭城 | 東萊邑城
|
부산포왜성 | 증산왜성 釜山浦倭城 | 甑山倭城
|
자성대왜성 |
부산진성 子城臺倭城 | 釜山鎭城
|
||||
부산광역시 영도 | 부산광역시 중구 | 부산광역시 북구 | ||||
<rowcolor=#aaa>
‡ 추목도왜성 | 동삼동왜성 椎木島倭城 | 東三洞倭城
|
† 박문구왜성 | 중앙동왜성 迫門口倭城 | 中央洞倭城
|
구포왜성 龜浦倭城
|
||||
<rowcolor=#888>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죽도왜성 | 김해왜성 竹島倭城 | 金海倭城
|
‡ 눌차도왜성 | 가덕도왜성 訥次島倭城 | 加德島倭城
|
안골포왜성 安骨浦倭城
|
||||
<rowcolor=#888> 경상남도 창원시 | 경상남도 거제시 | |||||
<rowcolor=#aaa>
웅천왜성 熊川倭城
|
‡ 명동왜성 | 삼포진 明洞倭城 | 森浦陳
|
영등포왜성 | 구영등성 永登浦倭城 | 舊永登城
|
||||
<rowcolor=#888> 경상남도 거제시 | <#01454F> | |||||
<rowcolor=#aaa>
송진포왜성 松眞浦倭城
|
장문포왜성 長門浦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정유재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울산광역시 중구 | 경상남도 양산시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울산왜성 蔚山倭城
|
양산왜성 | 증산리왜성 梁山倭城 | 甑山里倭城
|
‡ 합포왜성 | 마산왜성 合浦倭城 | 馬山倭城
|
||||
경상남도 거제시 | 경상남도 고성군 | 경상남도 진주시 | ||||
<rowcolor=#aaa>
‡ 견내량왜성 | 광리왜성 見乃梁倭城 | 廣里倭城
|
‡ 고성왜성 | 고성읍성 固城倭城 | 固城邑城
|
† 망진산왜성 望晉山倭城
|
||||
경상남도 사천시 | 경상남도 남해군 | 전라남도 순천시 | ||||
<rowcolor=#aaa>
사천왜성 | 선진리성 泗川倭城 | 船津里城
|
남해왜성 | 선소리왜성 南海倭城 | 船所里倭城
|
순천왜성 順天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산성개축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남도 거제시 | |
<rowcolor=#aaa>
‡ 갈마봉산성 | 성북왜성 渴馬峰山城 | 城北倭城
|
‡ 율포산성 栗浦山城
|
‡ 탑포산성 塔浦山城
|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 자마산성 子馬山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folding [ 시기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경상남도 양산시 | 경상남도 김해시 | |||
<rowcolor=#aaa>
† 호포왜성 弧浦倭城
|
‡ 마사리왜성 馬沙里倭城
|
‡ 농소리왜성 農所里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folding [ 위치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경상남도 고성군? | 경상남도 사천시? | 전라남도 광양시? |
<rowcolor=#aaa>
§ 영춘왜채 永春倭寨
|
§ 곤양왜채 昆陽倭寨
|
§ 광양왜채 光陽倭寨
|
||||
전라남도 구례군? | ||||||
<rowcolor=#aaa>
§ 구례왜채 求禮倭寨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실체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부산광역시 사하구 | 경상남도 거제시 | |||
<rowcolor=#aaa>
† ¶ 서평포진성 西平浦鎭城
|
‡ ¶ 다대포진성 多大浦鎭城
|
¶ 지세포진성 知世浦鎭城
|
||||
경기도 용인시 | 경기도 ??? | 경기도 평택시 | ||||
<rowcolor=#aaa>
‡ ¶ 임진산성 | 풍덕천진 壬辰山城 | 豊德川陳
|
§ 백련봉진 白蓮峰陳
|
¶ 농성 農城
|
||||
서울특별시 중구 | 평안남도 ??? | <#01454F> | ||||
<rowcolor=#aaa>
† ¶ 왜성대 倭城臺
|
§ 마상산왜성 馬上山倭城
|
}}}}}}}}} † : 멸실 ‡ : 멸실 위기 ¶ : 왜성으로 구전 / 개축 기록 불확실 § : 일본 측 자료에만 수록 / 상세 확인 불가}}} |
<colbgcolor=#01454F><colcolor=#fff> 견내량왜성 [ruby(見, ruby=キョン)][ruby(乃, ruby=ネ)][ruby(梁, ruby=リャン)][ruby(倭城, ruby=わじょう)] | Gyeonnaeryang Japanese Fortress |
|
이칭 |
왜성동왜성(倭城洞倭城) 광리왜성(廣里倭城) 덕호리성(德湖里城) |
형태 | 제곽식 평지성 |
면적 | 미상 |
건설 |
미상 1597년 (선조 30년)[추정] |
미상 | |
폐성 |
미상 1598년 (선조 31년)[추정] |
위치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267-2 |
[clearfix]
1. 개요
1597년,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바닷가 견내량을 바라보는 구릉지에 일본군이 쌓은 제곽식 평지성. 기록에 거의 등장하지 않아, 상세한 건립 경위를 알 수 없다. 다만 1597년 7월 칠천량 해전 당시 일본군이 칠천도에 부대를 숨겨 견내량이 막힌 것처럼 기만 작전을 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칠천량 해전 이후에 쌓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제로 원균이 칠천량에서 패전하여 임진왜란 때는 견내량을 함부로 넘어오지 못했던 일본군이 대거 그 밖으로 쏟아져 나와 순천왜성까지 거점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 계기를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다.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만큼 그 축성자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소 요시토시가 쌓았다는 설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소 요시토시 본인이 아니라 소 씨 가문의 가신이 주둔한 것으로 보고 있다. #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와키자카 야스하루에게 거제도에 성을 축성해 조선의 수군에 대한 수비를 견고하게 하라고 지시한 기록이 있어 임진왜란 당시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처음 간단한 보루를 쌓았다고 보기도 한다. 한 가지 이상하게도 한국에서는 가라시마 세토구치(辛島瀬戸口)라는 왜장이 쌓았다는 희한한 정보가 퍼져 있는데, 어째서 인명으로 와전되었는지는 모르나 이는 견내량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당시 일본군 측의 기록에는 거제도가 가라시마(唐島)[1]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세토구치(瀬戸口)는 좁은 해협의 입구를 가리키는 보통명사다.
『거제부도』 병풍과 『1872년 지방지도』「거제부지도」에는 현재의 거제시 둔덕면 학산리 아사마을에 위치했던 조선후기 영등포진 좌측 조창(漕倉)과의 사이에 왜성리(倭城里), 왜성촌(倭城村)이라는 마을이 묘사되어 있다. 『거제부도』의 경우 마을 옆에 깊게 파인 해자까지 묘사하고 있어, 이곳에 왜성이 있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고 「영등진지도」에는 아예 왜성(倭城)으로 표기를 해 놓았다. 이 때문에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측의 자료에 등장하는 왜성동성(倭城洞城)[2]이 견내량왜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허물어지기를 반복하며 세월의 풍파를 정면으로 맞다가 거의 멸실되기 직전인 상태로 남아있다.
2. 위치 및 구조
|
|
견내량왜성 위치관계도 | |
|
|
견내량왜성 실측도 (1945) | 견내량왜성 항공사진 (1987) |
|
견내량왜성 터 항공사진 (2025) |
그런데 칠천량 해전에서 원균이 그야말로 대패를 당하면서 견내량이 뚫려 버린다. 이로 인해 견내량 밖으로 쏟아져 나온 일본 수군은 고성왜성, 사천왜성, 남해왜성, 심지어는 전라좌도에 순천왜성까지 쌓고 진출하면서 남해안의 제해권이 크게 흔들린다. 그리고 그 관문인 견내량 입구에도 왜성을 하나 설치해 반대로 일본 수군 방향에서 막았는데 이것이 견내량왜성이다.
견내량 물길 가장 남쪽 끄트머리의 동안(東岸)에 자리하며, 해발 약 10m가 채 되지 않는 낮직한 구릉 위에 펼쳐져 있기 때문에 평지성이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다. 남단(南端)의 구릉지 정상부에 천수 기단을 배치하고, 그 북측으로 방형의 제1곽, 제2곽, 제3곽을 제곽식으로 배치한 단순한 구조다. 동측이 좁은 사다리꼴 모양의 제1곽 북측으로 마스가타 고구치(桝形虎口)를 내어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제2곽을 붙였으며, 그 북측과 동측에 개구부(開口部)가 있었고 앞에 해자(橫堀)를 깊게 팠다. 그리고 제2곽의 북측과 동측을 감싸듯이 넓은 제3곽을 배치해 동측으로 어긋문(喰違い虎口)을 냈는데 이것을 주출입구(大手口)로 상정할 수 있다. 성의 서측은 거의 바다와 딱 맞붙어 있었는데, 이곳에 일렬로 늘어선 돌무더기가 매우 미약하지만 남아있었고 돌출부가 1곳 있었어서 선착장(舟入り)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세간에는 왜성 중 유일한 토성(土城)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당장 동래왜성부터가 석축이 발견되지 않는 토성이고, 여타 왜성들도 모든 부분을 석축으로 쌓아올린 게 아닌지라 토축 부곽들이 군데군데 섞여있다. 그리고 견내량왜성이 100% 토성이라는 것 역시 사실이 아니다. 무너져내려 확인되지 않을 뿐, 일제강점기의 사진들을 보면 하단부만 간신히 파묻힌 채로 찍힌 석축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상술했듯 해안가에도 석축의 흔적이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애석하게도 견내량왜성은 현재 거의 멸실에 가까운 단계다. 관리를 전혀 받지 않아 석축과 토축이 수십 년간 서서히 무너져 내렸고, 그 위에 경작지가 생기면서 훼손은 가속화되었다. 그리고 2019년에 제2곽 북측에 포게더카라반 글램핑장을 지으면서 그나마 남아있던 해자를 메우고 토축을 삭평해 버려 이제는 주곽부가 거의 멸실되었다고 봐도 좋은 수준에 이르렀다. 이렇게까지 유적이 훼손되었는데도 지역사회는 전혀 관심이 없으며, 기사로 조명된 적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3] 다만 가장 외곽선을 이루는 절벽 지형이 아직 남아있고, 제3곽 서측 주출입구 부분의 지형이 주택들 사이로 잔존하므로 완전히 멸실되었다는 정보와는 달리 남아있는 유적이 아직 있는지 조사가 필요할 듯하다.
3. 과거 모습 및 현황
|
거제 견내량 왜성 전경[4] (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이하 유리건판 사진 동일) |
|
거제 견내량 왜성 석축 전경[5] |
|
거제 견내량 왜성 석축 전경[6] |
|
제3곽 서측 체성 위치의 지형[7] |
|
성 서측 절벽 바깥 해안에 늘어서 있던 석축의 흔적[8] |
|
석축의 흔적에 남아있는 돌출부의 모습 |
|
2013년까지만 해도 선명하게 남아있던 제1곽 서측 토축의 모습[9] |
|
2013년에 남아있던 제1곽의 북측 출입구 |
|
2013년에 남아있던 제1곽의 토축 위에서 제2곽을 내려다본 모습[10] |
|
2013년에 남아있던 제2곽의 북측 해자 |
4. 교통
도서지역이라 대중교통만으로 접근이 쉽지 않은 곳이다. 광리마을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되긴 하지만 좀 많이 걸어야 한다. 견내량왜성이 위치했던 곳은 의외의 이유로 사람들이 찾는 곳인데, 2014년에 개장한 카나리아 풀빌라라는 숙박업소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2019년 견내량왜성을 일부 파괴하고 건설한 포게더카라반 글램핑장까지 딸려 있어 사람들의 발길을 끈다. 왜성의 유적이 있었던 곳은 글램핑장 남측에 솟아오른 작은 구릉지인데, 이곳도 현재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아무런 건물도 짓지 않았으면서 삭평해 버려 유적이 거의 없어져 버린 상태다. 바닷가로 통하는 샛길을 따라 구릉지 서측 절벽 해안 쪽으로 가면 원래 석축의 흔적이 있었는데, 현재도 남아있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덕호리 262번지의 외곽부를 따라서 제3곽의 토축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5. 외부 링크
6. 관련 문서
[1]
から는 주로 일본에서 외국과의 교류와 관련된 곳에 붙는 명사로, 韓, 唐, 辛 등으로 표기한다.
거제도는 예로부터 한일 국경에서 교류가 활발했던 변경지방에 해당했으므로 이 섬을 '가라시마'라는 이름으로 부른 것으로 보인다. から가 들어간 또 다른 지명으로는
가라쓰(唐津)가 있다.
[2]
행정구역명으로서의 '왜성동'이라는 지명은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다.
[3]
근거리에 충무공
이순신과 관련된
한산도 제승당 유적이 있어서, 쓰라린 패전의 증거인 견내량왜성은 상대적으로 외면받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4]
군데군데 솟아오른 토축 성곽이 보인다. 서측에서 동측을 바라보고 찍은 사진인 듯하다.
[5]
제2곽의 무너져내린 석축이다. 석축 앞에 있는 커다란 구덩이가 해자이며, 그 가운데로 출입구 쪽으로 길을 낸 흙다리(土橋)가 지나가는 것이 보인다. 북측인지, 서측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6]
제2곽, 제1곽, 그리고 우측 상단의 천수 기단까지 솟아오른 성곽이 선명하게 보인다. 일제강점기 때까지만 하더라도 이렇게 양호한 상태로 왜성이 남아있었다.
[7]
경작지로 쓰이고 있는 곳 바깥쪽으로 구덩이가 파여 있는데, 해자의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
[8]
2013년의 모습이다. 현재에도 남아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9]
안타깝게도 현재는 삭평되어 이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위성사진으로 확인했을 때 서북측 모서리가 있던 자리에 토축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잔존부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10]
사진의 좌측 상단에 살짝 보이는 토축이 제2곽의 북측 체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