鋪 펼/가게 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c1d1f>
金,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c1d1f> 15획
|
||||
미배정
|
2급
|
||||||
舗
|
|||||||
일본어 음독
|
ホ
|
||||||
일본어 훈독
|
し-く
|
||||||
铺
|
|||||||
표준 중국어
|
pū, p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鋪는 '펼/가게 포'이라는 한자로, '펴다', '가게'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c1d1f>펴다 | <colbgcolor=#fff,#1c1d1f>가게 |
음 | 포 | ||
중국어 | 표준어 | pū | pù |
광동어 | pou1 | pou3 | |
객가어 | phû | phu | |
민북어 | pú[文] / pṳ́[白] | pǔ | |
민동어 | puŏ | puó | |
민남어 | pho͘ | phò͘ | |
오어 | pu (T1) | pu (T3) | |
일본어 | 음독 | ホ | |
훈독 | し-く | ||
베트남어 | phô | phố |
유니코드에는 U+92E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IJB(金戈十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甫(클 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로, '펴다', '깔다'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평성으로, '가게', '점포'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𩊬[⿰革甫](가죽신 보)
- 𥒰[⿰石甫](갈 보)
- 補/ 𢒏[⿰彡甫](기울 보)
- 輔/ 俌/ 𥙳[⿰⿱一小甫](도울 보)
- 䩉(뺨 보)
- 䀯(볼 보)
- 𦓞[⿰耑甫]/ 𩠤[⿰首甫](수 보)
- 黼(수놓은옷 보)
- 烳(횃불 보)
- 𠿽[⿰⿱口⿵冂⿻〢二甫](가마솥 부)
- 鬴(가마솥 부, 다리굽은솥 력)
- 𠃃[⿰卮甫](구를 부)
- 麱(밀기울 부)[3]
- 秿(볏가리 부)
- 㭪(수풀 부)
- 豧(숨쉴 부)
- 䪔(잠방이 부)
- 浦(개 포)
- 𪁭[⿰鳥甫](거위 포)[4]
- 蜅(게 포/보)
- 陠(기울어질 포)
- 誧(도울 포)
- 鯆(돌고래 포)
- 埔(땅이름 포)
- 𨁏[⿰𧾷甫](말발자국 포)
- 䮒(말이름 포)
- 哺(먹일 포)
- 𥪀[⿰立甫](사물의끝 포)
- 峬(산모양예쁠 포)
- 晡(신시 포)
- 酺(연회 포)
- 捕(잡을 포)
- 䝵(주고받을 포)
- 脯(포 포)
- 𣨈[⿰歹甫](굶어죽을 표)[5]
- 𤿭[⿰皮甫](보)
- 𦎎[⿰羊甫](보)
- 𤗃[⿰片甫](우)
- 𠗒[⿰冫甫]
- 𭁓[⿰公甫]
- 𠬃[⿰去甫]
- 𬽙[⿰京甫]
- 𡜵[⿰女甫]
- 𰐗[⿰弓甫]
- 𭈶[⿰号甫]
- 𰐝[⿰弗甫]
- 𱜮[⿰布甫]
- 𪩾[⿰⿳业八巾甫]
- 𤞨[⿰犭甫]
- 𤙭[⿰牛甫]
- 𱬺[⿰爪甫]
- 𭦰[⿰旨甫]
- 𧁡[⿰⿱共⿵冂小甫]
- 𬍥[⿰⺩甫]
- 𥙷[⿰示甫]
- 𭻧[⿰畐甫]
- 𤰍[⿰⿱龷㡀甫]
- 𱰣[⿰買甫]
- 𤰐[⿰⿱⿲丶丨リ爾甫]
- 𫜦[⿰齒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