夷 오랑캐 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大,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イ
|
||||||
일본어 훈독
|
えびす, えみし, ころ-す,
たい-らか, たい-らげる |
||||||
-
|
|||||||
표준 중국어
|
y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夷는 '오랑캐 이'라는 한자로, '뙤놈', ' 오랑캐', '평평하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93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大弓(KN)으로 입력한다.矢(화살 시)와 己(몸 기)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화살과 새끼줄을 잘 쓰는 유목 민족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화살에 새끼줄을 감은 모습을 나타낸 글자였는데, 소전에 와서 矢가 大(큰 대)처럼 변하고 己는 끄트머리가 아래로 더 꼬부라져서 弓(활 궁)처럼 변한 것이 해서에서도 이어져 오늘날의 형태가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관이오( 管夷 吾)
- 백이( 伯夷)
- 설이남( 薛夷 男)
- 소가노 에미시( 蘇 我 蝦夷)
- 야율이열( 耶 律夷 列)
- 에조타 나오하루( 蝦夷 田 尚 陽)
- 을실이남( 乙 失夷 男)
- 이완보(夷 腕 坊)
- 이탄해(夷 呑 奚)
- 장이수( 張夷 帥)
- 하라이 쿠코( 波 羅夷 空 却)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 오랑캐
- 평평하다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1651년( 효종 2년) 1월 27일 청나라가 진주사의 표문에 적힌 乾 淸 坤夷(건청곤이, '하늘은 맑고 땅은 골라졌다')라는 구절을 가지고 청이(淸夷, 청나라 오랑캐)라 비꼬았다고 문제삼자 조선 측에서 오랑캐가 아닌 '고르다', '평평하다'라는 뜻이라고 해명하느라 애먹은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청 측에서는, 그런 뜻이었다면 '乾淸坤寧(건청곤녕)'으로 썼어야 한다며 굳이 '夷(이)'로 썼음을 대단히 예민하게 받아들였다고.[1][2] 실록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