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23:38:09

에서 넘어옴
현대 가나 오십음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2d2f34>
기타 탁점 · 요음 · 촉음 · · ヶ, ヵ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

1. 개요2. あ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3. い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4. 발음5. 모양6. 쓰임
6.1. い 형용사
6.1.1. カリ 활용(문어)
6.2. う 동사의 연용형/명사형6.3. ら행 불규칙 동사 명령형 & 연용형(구어)6.4. 이로하 노래의 첫 번째6.5. 제일 많이 쓰이는 글자6.6. 역사적 가나 표기법6.7. 상1단 동사
7. 한글 표기8. 한자
8.1. 음독8.2. 훈독
8.2.1. い로 시작하는 명사
9. 다른 가나와의 조합
9.1. イ + 작은 가나9.2. 다른 가나 + 작은 イ(ィ)

1. 개요

히라가나 가타카나
'''''' <colbgcolor=white,#1f2023> ''''''
국립국어원 표기법
라틴 문자 표기 i
IPA [i]
히라가나 자원 초서
가타카나 자원 의 변
일본어 통화표 いろはのイ(이로하노 이)
유니코드 U+304(A)4
일본어 모스 부호 ・-
あ행 い단 글자이다.

2. あ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あ행의 글자들은 모음만 있는 글자들답게 글자를 작게 써서 다른 글자와 조합할 수 있다. 일본 가나 중에서 작은 あ행과 결합할 수 있는 글자들은 다음과 같다. 아래 글자들은 ゥ를 제외한 ァィェォ와 모두 결합할 수 있다.

다음 글자들은 해당 글자하고만 결합할 수 있다.

다음 글자들은 해당 글자들과 작은 や행(ャュョ)과 결합할 수 있다.

3. い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い단의 모음은 한국어의 와 정확히 동일하다. 나머지 네 모음은 약간 다르다.

일본에서 동사나 형용사를 이름으로 삼은 것 가운데 い단으로 끝나는 것은 거의 여자 이름이다. 아유미, 히카리, 카오리 등등.

4. 발음

위에 말한 대로 와 동일하다. 단, え단 뒤에 오는 경우 /i/가 아닌 앞의 え단의 장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エイ를 /ei/가 아닌 /e:/라고 발음하는 식.[1] 다만 로마자 표기 시에는 명확히 쓸 방법이 없기 때문에 'ei'로 표기한다. 간혹 록 음악 같은 장르의 노래에서는 강조의 의미로 /y/로 발음되기도 한다.[2]

5. 모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84-bw.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A4-bw.png

각각의 글자의 음을 따서 만들어졌다. 해당 글자들은 지금도 い로 발음한다. 특히나 가타카나의 기원이 되는 伊는 한국에서도 이탈리아를 伊로 적는 등 '이'를 음차하는 한자로 가끔 쓰인다.

가타카나 イ는 사람 인 변(亻)에서 따온 만큼 한자에도 같은 형태를 자주 찾아볼 수 있지만, 사람 인 변을 따로 쓰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모양이 같은 한자와 헷갈릴 일은 없다. 일본 위키백과 イ 항목에 따르면 파자를 이용해 인터넷 은어로 를 イ로 쓰기도 한다는데... 검색해 보면 논문이나 공문 같은 것만 나온다. 문자 인식에 실패해서 位를 イ立를 읽은 듯하다.

히라가나 い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람에 따라 어느 쪽을 크게 쓰는지 제각각이다. 활자체는 왼쪽이 더 크게 쓰여 있지만 양쪽을 거의 동일한 길이로 쓰는 사람도 있다. 오른쪽을 길게 쓰면 로 보일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6. 쓰임

6.1. い 형용사

일본어의 형용사는 い로 끝난다. 'OOだ' 꼴 형용사(형용동사)를 'な 형용사'라고 부르는 경우, 구분을 위해서 い 형용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형용동사나 명사의 だ, 동사의 る(를 비롯한 う단)과 쌍벽을 이루는 끝맺음 글자라고 볼 수 있다. 한국어의 용언(동사/형용사)이 주로 로 끝나는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

현대 い 형용사는 다음과 같이 활용한다.

よい(좋다)
한편 동사 (-く)なる/がる와 붙어서 쓰이기도 한다.

일본어 い형용사 중에는 しい 꼴이 많은데, (新しい, うれしい 등) 현대 일본어에서는 い 형용사와 동일하게 활용지만 옛 일본어 문어체에서는 조금 다르게 활용했다. 이를 ク 활용(그냥 い 형용사), シク활용(しい 꼴 형용사)으로 구분하기도 했다.

한편 문어에서는

식으로 쓰였었다. 현재는 い 꼴로 문장을 끝내기도 하고, 수식을 하기도 하지만 문어에서는 끝낼 때는 し, 명사를 꾸밀 때는 き였던 것. 그래서 문어에서는 형용사가 /로 바뀌어서 사용된 형태가 많다. 해당 형태에 대해서는 각각 문서를 참조. 오늘날 종지형이자 연체형인 い는 연체형 き의 용법이 종지형까지로 확장되고 약화를 겪은 결과물이다.

6.1.1. カリ 활용(문어)

문어에서는 이들 형용사에 カリ를 붙이기도 했다. 특별한 뜻을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고, 이를 통해서 조동사를 더 붙일 수 있게 되어 보조적인 역할을 했다.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표현은 다음과 같다.

일부 표현에서 すくなからず, よかろう 등에 カリ 활용의 흔적이 남아있다.

6.2. う 동사의 연용형/명사형

う로 끝나는 동사가 동사 앞에 이어서 쓰일 때(연용형, 連用形 - '용언 앞에 오는 형태')으로 자주 쓰인다. 試合い(주로 試合라고 쓰긴 하지만), 人食い, お笑い 등. 연용형에 대한 설명은 일본어/불규칙 활용이나 문서를 참조하자.

6.3. ら행 불규칙 동사 명령형 & 연용형(구어)

높임말 なさる(하시다) 下さる(주시다), いらっしゃる(계시다), おっしゃる(말씀하시다)은 명령형, 연용형이 불규칙적으로 활용된다.
보통 명령형에 れ, 연용형에 り를 쓰는 다른 동사와는 다르다. 이를 '구어에서의 ら행 불규칙 동사(ら行変格動詞)'라고 하기도 한다. 문어의 ら행 불규칙 동사와는 상관없다. 문어의 ら행 변격 동사는 문서 참조.

높은 사람한테 부탁할 때 자주 쓰는 ください 역시 くださる가 명령형으로 い가 된 것이다.

6.4. 이로하 노래의 첫 번째

아이우에오순으로는 あ행이 1등이니만큼 2위고 이로하 노래순으로는 제목으로도 알 수 있듯이 첫 번째이다. 통화표에서도 '이로하의 이'일 정도. 그래서 음악으로는 가(A)로, イ長調는 '가장조'가 된다.

이 용도로는 한자 伊를 쓰기도 한다. 태평양 전쟁 시대 일본 해군은 伊401과 같이 1급 잠수함에는 伊(イ), 2급에는 呂(ロ)를 붙여 구분하였다.

6.5. 제일 많이 쓰이는 글자

한자음으로도 무난히 쓰이고, 형용사 끝 단어로도 쓰이는 등 활용도가 높은 글자라서 누군가가 12만 자 정도의 가나 분포를 분석한 글에 따르면 # 등장 빈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약 5.6%가량으로 평균 2%의 두세 배가량 되는 많은 빈도. 평균보다 두세 배가량 쓰인다는 점이 영어의 e가 11%가량을 차지하는 것과 비슷하다. 만약 일본어 문장이 카이사르 암호와 같은 단일 치환 암호로 되어있다면 제일 많이 등장하는 문자를 い로 간주하고 풀어도 될 듯.[3]

6.6. 역사적 가나 표기법

역사적으로는 로 쓰이던 것이 순음퇴화로 /w/ 음이 사라지면서 い와 합쳐졌다. 그런 예로 대표적으로 일본어를 쓰면서 안 쓸래야 안 쓸 수가 없는 기본 동사 중 하나인 いる(있다)가 1946년 전에는 ゐる였다. 가 자주 등장할 수밖에 없는 조사라서 살아남은 걸 감안하면 ゐる도 책 한 번 펼치면 늘 나오는 단어였으니 예외를 적용했음직도 하지만 아쉽게도, 혹은 다행히도 그런 건 없었다.

ゐ와 마찬가지로 ひ가 퇴화해서 い가 된 경우도 있다. 不知火(しらぬい)와 같은 경우. 火를 통해서 원래는 ひ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6.7. 상1단 동사

る로 끝나는 동사 중 る 앞의 어간이 い단으로 끝나는 동사(きる, みる 등)들은 대체로 る를 떼고 바로 어미를 붙이는 식으로 활용한다. 이렇게 い단 + る 동사 중 어미가 변하지 않는 동사들을 '상1단 활용 동사(上一段活用動詞)'라고 부른다. '1단 동사'인 건 어미가 다른 단으로(다른 모음으로) 변하지 않고 늘 い단이어서 그렇고, '상' 1단인 이유는 え단 + る에 비교했을 때 え보다 い가 오십음도로 봤을 때 위에 있기 때문이다.[4][5] 오십음도는 보통 あかさたなたまらやん행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あいうえお단을 위에서 아래로 쓰는 경우가 많으니까. 즉, 그냥 い단 + る꼴 동사 중 る를 떼고 い단 + 어미 꼴로 쓰이는 동사를 뜻하는 말이다.

뭔가 괜히 어려운 말을 붙였다는 생각이 드는데 일본인들도 그렇게 생각하는지 처음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는 하1단(え단 + る)과 묶어서 주로 '2형 동사(グループ2)'라고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어차피 어간이 변하지 않는다는 점은 공통적이니까. 1형은 어미가 5가지로 변하는 5단 동사,[6] 2형은 어간이 안 변하는 상1단과 하1단, 3형은 する와 くる 같은 특이한 애들, 같은 식이다.

하지만 い단 + る 꼴 동사라고 모두 어간이 변화하지 않는 상1단 동사인 것은 아니다. 要る → 要らない/要り/要る/要れて/要ろう처럼 5단으로 변화하는 예도 있다. 이런 것들은 5단 동사(1형 동사)에 들어간다.

문어체 중에서는 어미가 い나 う로만 활용되는 동사들이 있는데 이는 い와 う로 2가지로 변하므로 상'2단' 활용 동사라고 한다.[7] 보통은 별로 볼 일이 없는 형태들이다. 현대 구어에서는 る 앞에 い단인 상1단 동사들이 과거에 상2단 동사인 경우가 종종 있다. 起きる가 그 예로, 과거에는 수식형이 起くる로 변하였다.

7. 한글 표기

무난하게 늘 '이'라고 적는다. 다만 앞서 말했듯이 え단의 장음으로 쓰일 때도 있는데 언제 장음이고 언제 '에이'인지 그때그때 다르기 때문에 한글로는 대체로 그냥 늘 '에이' 꼴로 적는 듯하다.

8. 한자

8.1. 음독

한자 한자 특수

(25)
以異移易[8] 衣依医椅意
位囲委萎威
尉慰偉違緯
為胃
維遺
イキ
イク
イチ
イツ 一逸
イン
(13)
引印因咽姻
淫陰飲音
員院

8.2. 훈독

井의 훈이 い이기도 하다. 같은 い 발음이 나는 도 井의 변형이다. 지형 지물이 많이 등장하는 일본 이름 특성상 사람 이름에 꽤 많이 들어간다. 井上( 이노우에)나 長井( 나가이)가 대표적. 여기에서 착안해서 둘레 위(圍)의 약자가 囲가 되었다. 음으로는 しょう나 せい라서 네모 안에 들어갈 이유가 없다.

십이지 중에서는 맨 끝의 해(亥)가 일본에선 멧돼지이기 때문에 いのしし의 앞 글자를 따서 い라고 읽는다. 돼지였다면 아마도 ぶ로 읽었을 것이다.

8.2.1. い로 시작하는 명사

9. 다른 가나와의 조합

9.1. イ + 작은 가나

작은 (ェ)와 붙어서 /je/ 발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あ행이나 や행과는 붙지 않는다. 그야 イァ - イゥ - イォ 같은 표기를 써봤자 や - ゆ - よ랑 똑같을 뿐이니까.[9] 반면 /je/라는 발음은 오십음도상에 없기 때문에 조합해서 쓰는 수밖에. 다만 エ는 꽤 오랫동안 발음이 /je/였다는 비화가 있다(...). 그런 속사정은 참조.

아무튼 현재는 /je/가 오십음도에 없으므로 イェ라고 쓴다. 하지만 영 익숙하지 않은 발음이기 때문에 '특별히 발음을 자세히 표시해야 할 때 주로 쓰는 글자'로 분류되어있다. 만약 해당 외래어가 일본어화되어서 익숙해지면 イエ라고 エ를 크게 써줄 수 있다. 그러면 발음이 '이에'가 되지만 일본인에겐 아직 그 발음이 더 익숙한 모양이다. 익숙해지면 더 크게 쓰는 것은 에서 クェ 등을 クエ라고 크게 쓰는 것과 유사하다.

/je/ 발음이 들어가는 단어 중 일본어에서도 널리 쓸 것 같은 단어는 아마 ' 예수'일 텐데, 그 단어는 앞서 말한 '익숙해진' 경우에 해당돼서 イェス라고 쓰지 않고 イエス라고 쓰는 것이 보통이다. 예일 대학교 같은 건 아직 그 정도로 익숙해지진 않았는지 イェール大学이라고 적는다.

발음 편의성을 더 고려하여 아예 イ를 날려버리고 エ만 쓸 수도 있다. 사실 그럼 여기 イ 항목에 있을 필요가 없지만(..) エルサレム( 예루살렘)이 대표적이다. 한때는 エ를 '예'로 읽었던 것을 감안하면 왠지 기분이 미묘하다.[10]

9.2. 다른 가나 + 작은 イ(ィ)

위의 あ행 공통 문단에서도 말했듯이 작은 あ행을 다 쓸 수 있는 것으로는

가 있고 ィ하고만, 혹은 や행과 조합할 수 있는 것으로는

가 있다. 발음은 물론 イ를 데려왔으니만큼 /i/이다. テ를 제외하면 주로 다 う단 글자들과 결합한다. い단과는 결합해봤자 새로운 발음을 나타낼 수 없으니 잘 결합하지 않지만, 만화나 라노베 등에서 길게 말하는 /i/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서 い단과 작은 イ를 같이 쓸 때도 더러 있다.

ア단, オ단과는 아직 결합한 사례가 없지만, 모음의 전설음화 표기로 쓰거나 [aj], [oj]같은 i계 하강이중모음을 전사하는데 쓸 수도 있겠다. 예를들어 중세 한국어의 '애'를 'アィ'로 전사한다던가...

[1] 대표적인 예시로는 에일리언(외계인)이라는 뜻을 가진 エイリアン이 에이리안이 아닌 에:리안으로 발음되는 것과 비슷하다. 사실상 エーリアン이나 エエリアン과 비슷한 것인 것. 영상의 55초 지점으로 가면 エイリアン이라고 표기되어 있음에도 /i/ 발음이 생략된 것을 볼 수 있다. 나유탄 성인 - 에일리언 에일리언 [2] 단모음 와 같은 발음이다. [3] 여담으로 한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자음은 이다. 발음도 없는데 제일 많다 마침 ㅇ와 イ 둘 다 '이'라는 이름을 가진다. [4] 오십음도는 대체로 あ-か-さ-た-な... 일련의 순서를 우에서 좌로 적고, 각 단의 あいうえお에 해당하는 음을 위에서 아래로 적는 형식이 일반적이다. [5] 여담으로 한글에서 아래아가 '아래'인 이유도 원리는 이것과 동일하다. ㅏㅑㅓㅕ...식의 반절표를 위에서 아래로 적어 내려갔고 ㆍ를 맨 아래에 적었기 때문에 ㅏ보다 아래에 있다고 '아래아'가 된 것이다. [6] 위에서의 설명을 가져오면 이 동사들은 あ/い/う/え/お 5개 단 모두로 바뀌어 쓰이기 때문에 '5단'이다. 문어에서는 お로 변화하진 않기 때문에 (-おう로 바뀌는 것은 -あ+む가 변화를 겪은 결과물) 1개가 빠져서 '4단 동사'라고 한다. [7] 유추해 보면 하2단의 경우 う와 え로 변화하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8] '용이(容易)하다'와 같이 한국 한자음에서도 '이'로 읽을 때. '역'에 해당하는 음은 キ이다. [9] 한글의 경우 이미 ㅑ가 [j\]인데도 불구하고 중국어 표기에서 ㅣㅑ로 ㅣ를 또 써준 예가 있긴 하다( 옛한글/자모). [10] 한국어에서도 서남방언에서는 [j\] 탈락 현상이 나타나곤 한다. '예술'을 '에술'로 발음하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