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1:43:35

순음퇴화


1. 개요2. 일본어에서의 순음
2.1. 순음의 소멸2.2. ハ행 전호(ハ行転呼)2.3. 가마쿠라 시대: 어중·어말의 ハ행 전호음과 ワ행의 소멸2.4. 15세기 이후2.5. 현대 가나 표기법의 등장
3. 순음퇴화 이전의 성문음 /h/, /ɦ/의 표기는?4. 해외의 유사사례
4.1. 역변
5. 관련 문서

1. 개요

脣音退化[1]

양순음인 /p/와 /b/의 발음이 변화된 현상[2]을 가리킨다. 일본어에서는 대표적으로 행과 행에서 나타났다.

2. 일본어에서의 순음

상고대 일본어에서는 현재의 ハ행과 ワ행은 각각 [p]와 [w]의 음가였다.[3] 이는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 시대의 기록(대표적으로 만요슈, 고사기, 일본서기 등)의 한자 음차 등이 일치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시 한자의 음차에서 중국음 순음의 전청, 차청은 ハ행으로, 전탁은 バ행으로 전래된 것으로 보아 거의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예: 의 한자음 표기는 ハ, 의 한자음 표기는 ハフ). 또한 양순 접근음 [w]의 경우도 현대 한국어와 비교하면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른 표기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부터 대강 추측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爲/為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ヰ고 圓/円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ヱン이고, 遠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ヲン이었다).

2.1. 순음의 소멸

그러나 이러한 음운들은 시대가 지나면서 점점 사라지기 시작했다. 순음들의 긴장도가 떨어져 점점 본디 음가 자체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었다. 이 음운의 변화는 [p] > [ɸ] > [h](어두에서) / [p] > [ɸ] > [β] > [w] > ∅(어중·어말에서)으로 이어진다.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들에서는 이 변화의 이유로 피로도의 해소를 드는 연구가 많다. 소리를 낼 때마다 일일이 입술을 붙였다 떼어야 하며,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려야 하는 양순 파열음 [p], [b]는 입술에 오는 피로도가 상당하다. 이런 이유에서 양순 파열음 [p], [b]는 한층 피로도가 덜한 양순 마찰음 [ɸ], [β]로 변화하였다고 생각된다.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의 시대가 지나고 가나의 초기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할 쯤부터 이미 [p]는 어두를 제외하고는 스스로의 음가를 잃고 [ɸ]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다만 이때쯤부터 수입된 한음(漢音)과 함께 수입된 촉음(促音)의 뒤에서는 여전히 [p]의 음가가 남아 있었다.

그리고 이때 모음의 영향으로 어두의 ふ([ɸu])를 제외한 나머지 음가는 점점 자신의 음가를 잃게 되었다. 하지만 이때까지 아직 ワ행은 스스로의 음가를 지키고 있었다.

2.2. ハ행 전호(ハ行転呼)

헤이안 시대 말기가 되자 순음의 소멸은 속도를 더하기 시작했다. 드디어 어두의 ハ행마저도 [ɸ]으로 음가가 변하기 시작했고, 어두의 ハ행은 성문음으로 살아남았지만, 어중·어말의 ハ행은 한 술 더 떠서 자음으로써의 위치를 잃기 시작해서 [β]를 거쳐 ワ행의 음가인 [w]로 변하기 시작했다. 이를 ハ행 전호 현상이라고 부르고, 이렇게 변한 ハ행의 음은 ハ행 전호음이라고 부른다.

2.3. 가마쿠라 시대: 어중·어말의 ハ행 전호음과 ワ행의 소멸

가마쿠라 시대에 들어서 드디어 ハ행 전호음, 그리고 전호음과 음이 같아진 ワ행이 소멸되기 시작한다. 이들은 어두를 제외한 위치에서 자음 자체를 잃기 시작한 것이다. 이전 시대까지만 해도 자신의 음가를 유지하고 있던 음가들은 이제 ハ행의 경우는 어두에서는 여전히 성문음([h])을 온존하고 있었지만, 어중·어말의 ハ행 전호음과 ワ행은 순음으로서의 음가를 잃고 ヤ행이나 ア행과 혼동되기 시작했다. 어중·어말의 ハ행은 ワ행으로, ワ행은 ア·ヤ행으로 음가가 완전히 흡수되었다.[4]

그리고 이전까지는 분명이 존재하던 합요음 ワ행이 이 시점을 기해 소멸되기 시작한다. 이전에는 クワ, クヱ, クヰ, クヰヤ 같은 합요음이 보였으나 이 이후로 그 모습이 사라져 간다.

2.4. 15세기 이후

15세기 이후의 ハ행의 음은 이미 현대와 거의 같아져 있었으나, 이때까지도 (ン)과 촉음 뒤의 ハ행은 순음퇴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반탁음이라는 개념과 반탁음 기호(゜)가 등장한 시점은 음운의 변화가 일어난 시점과 시간 차이가 있는데[5], 이는 ん(ン)과 촉음 뒤의 ハ행 음([p])과 나머지 ハ행 음([ɸ] 내지 [h])이 모두 상보적 분포를 보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이 셋을 모두 동일한 음소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タ행([t])의 チ([t͡ɕi])와 ツ([t͡su])는 원래 각각 음가가 [ti]와 [tu]였는데 뒤 모음의 영향으로 앞의 자음이 바뀌어 버렸지만, 여전히 タ행이라는 같은 음소로 인식된다. 그런데 근대에 포르투갈 및 서구와 교류하면서 그들의 언어([p]라는 독립된 음소가 있는 언어)로부터 외래어를 끌어오다 보니 [p]라는 새로운 음소를 표기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반탁음 기호(゜)이다.

단 아직 표기는 종전의 표기를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에 이때에는 표기와 발음 사이에 상당히 괴리가 있었다. 言ふ라고 쓰고 ユー라고 읽는다던가, 有為(ウヰ)는 うい라 읽는다던가, 또한 장음 표기까지 엮여서 法(ハフ)을 ホー로 읽었다. 한국 한자음의 ㅂ 받침이 일본어에서 대부분 장음이 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같이 보기: ㅂ 받침을 가진 한자음과 “역사적 가나 표기법”).

2.5. 현대 가나 표기법의 등장

현대 가나 표기법이 제정되면서 1000년에 달하는 순음퇴화가 드디어 표기법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과거 완전히 소멸돼 버렸으나 관습적으로 ワ행으로 쓰던 글자들(ヰ, ヱ, ヲ)은 전부 ア행으로 통합했으며[6], 어중·어말에 쓰인 ハ행 전호음도 ワ행의 글자로 바꾸었다. 또한, 장음의 발음도 표기와 일치시킴으로서 표기와 발음을 통일시키게 되었다.

또한 합요음 ワ행의 잔재들을 현대 표기로 통일했다.

순음퇴화의 잔재는 현대 가나 표기법에도 남아 있는데, 바로 조사 は와 へ이다. 조사 は와 へ만큼은 순음퇴화로 인해 [wa], [e]로 발음하지만 표기는 わ와 え로 하지 않는다. 조사는 굉장히 자주 사용되니 표기를 바꾸면 많은 사람들이 어색함을 느낄 것이라 생각해서 그대로 둔 듯하다.[7]

또한 일본어 문법에도 순음퇴화의 잔재가 있는데 う로 끝나는 5단동사[8]를 あ단으로 바꿀 때 あ가 아닌 わ로 바꿔야 하는데, 흔히 ない형이라고 하는 미연형에서는 ない를 붙일 때 ~あない가 아니라 ~わない로 바꿔야 하고, 수동형에서는 ~あれる가 아니라 ~われる로 바꿔야 한다. う로 끝나는 모든 동사들은 문어에선 ふ로 끝이 나므로 言ふ ➝ 言はない와 같이 활용을 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ふ행이 わ행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순음퇴화 때문에 엄마를 의미하는 はは는 유아가 발음하기 어려운 발음임에도 엄마를 부르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9][10]

한편 , , , , , , , , , , , , , , , , , 便, , 처럼 순음퇴화를 거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한자들도 있다.

3. 순음퇴화 이전의 성문음 /h/, /ɦ/의 표기는?

순음퇴화 현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일본어에 /h/, /ɦ/ 음가가 아예 없었다. 원래 음이 성문음으로서 성모가 曉母(/h/), 匣母(/ɦ/)인 글자들은 カ, ガ행으로 유입되었다. 예컨대 漢(중고 한음: [han])은 오음은 カン(kan)로 당음은 ガン(gan)로 유입되었다., 害(중고 한음: [ɦai])는 오음은 ガイ(gai)로, 한음은 カイ(kai)로 유입되었다.

4. 해외의 유사사례

4.1. 역변

반대로 순음이 접근음 마찰음 파열음으로 역변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난다.

5. 관련 문서


[1] しんおんたいか. 다른 말로 ハ行転呼(ハ행전호, 여기서 전호는 '그 자체의 발음이 아니라 다른 음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을 뜻한다.)가 있다. [2] 퇴화라는 말보다 오히려 순음변화라는 말이 적합하다. [3] 특히 ハ행은 다른 행처럼 무성음(p, 무성 양순 파열음)과 유성음(b, 유성 양순 파열음)의 대립이 뚜렷하게 나타나있다. [4] ヲ의 경우는 10세기에 이미 음가가 소멸해 オ와 음가가 같아진 상태였고, 이 시대에 ア행과 같아진 것은 ワ와 ヰ가 해당한다. ヤ행으로 흡수되었던 예는 ヱ가 해당한다. 이는 원 표기가 ヱン이던 円이 에도 시대 서양인의 표기에서 yen으로 표기되는 데서 확인된다. 이후 e, ye, we의 대혼란이 ye로 통합된 후 e로 변해 간다. [5] 즉 반탁점이 생기기 전에도 가령 れ라는 단어를 보면 hare로 읽고 あっれ라는 단어를 보면 appare로 읽었다는 것이다. [6] 즉 현대에 쓰이는 어중·어말의 ワ는 고대 일본어의 ワ와는 대부분 상관이 없다(극히 일부 예외로 弱い의 わ 같은 예가 있긴 하다). 현대 일본어의 어중의 ワ는 대부분 ハ행 전호의 잔재이며, ヲ도 조사를 제외하고는 모조리 オ로 바꾸었다. 이를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をはり(終り) → おわり. [7] 한국어에서 조사 '의'가 대부분의 화자에게서 /에/로 발음되지만 표기가 바뀌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참고로 이것도 중세 한국어에서 조사 '의'의 대응하는 모음조화인 'ᄋᆡ' 발음의 흔적이다. [8] 会う(あう), 言う(いう) 등 [9] 언어를 갓 배워가는 유아의 입장에서 양순음은 자음 중에서 가장 발음하기 쉬운 자음이기 때문에, 고금을 막론하고 전 세계적으로 '엄마'나 '아빠'를 가리키는 단어(특히 유아어)는 [m\], [b\], [p\] 등 양순음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10] 물론 양순음이 들어간 ママ도 쓰긴 한다. [11] 15세기 말 ~ 16세기 정도 [12] 다만 어중에선 /β/로 마찰음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