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된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국제 |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하세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 글로비스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
|
한국 |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
YK건기배 ·
용성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 뉴스핌 GAM배 페어 기전 SG배 단체전 퓨처스리그 |
||
일본 |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
||
중국 |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 ||
대만 | 종합 기전 왕좌전 | ||
아시안 게임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기타 |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YK건기배
YK建機盃 / YK Cup |
|
주최, 주관 | 한국기원 |
후원 | YK건기 |
주관방송사 | 바둑TV |
상금 |
총상금 2억 7천만원 /
우승 6000만원,
준우승 3000만원[1] (본선대국료 : 승자 120만원 / 패자 60만원) |
대회방식 | 본선 8인 풀리그(7라운드 28경기) (2회 ~)[2], 결승 5번기 승부.[3]. |
자격 |
초대 대회 - 랭킹 시드 2명, 통합예선 통과자 6명, 후원사 시드 2명 2회 대회 ~ - 전기 시드 2명, 통합예선 통과자 3명, 신예조 예선 통과자 1명, 후원사 시드 2명 |
대국규정 | 각자 10분 + 착수시 40초 추가 피셔방식(2회 ~)[4] |
계가 | 한국룰 덤 6.5집 |
최근 우승자 | 신진서 九단 ( 2023 YK건기배) |
[clearfix]
1. 개요
2022년 한국기원과 YK건기[5]와 후원 협약을 통해 새로 창설된 바둑기전( 관련 기사)으로 프로와 아마추어가 모두 참가가 가능한 종합기전이다. 줄여서 '건기배'라고도 부른다.2. 대회 방식
이 대회는 프로와 아마가 모두 참가가 가능한 종합기전으로 먼저 한국기원 소속 연구생과 아마추어 선수들이 출전하는 아마 선발전을 통해 6명을 선발하며 아마 선발전 통과자 6명과 프로기사들이 참가하는 통합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할 선수들을 선발한다.본선은 초대대회는 랭킹 시드 2명, 통합 예선 통과자 6명, 후원사 시드 2명으로 총 10명이 본선을 진행한다. 여기서 후원사 시드의 경우 20세 이하의 신예기사 몫으로 1명, 여자기사 몫으로 1명이 주어졌다. 본선 진행 방식은 10인 풀리그로 제한시간 없이 각자 1분 초읽기 10번만 준 상태에서 대국을 한다. 또한 초대 대회는 리그 1,2위가 결승 3번기를 가졌다.
2회 대회부터 8명[6] 본선 풀리그로 변경되었다. 또한 통합예선에 만 17세 이하 선수들을 위한 신예조를 신설해 신예조 몫으로 본선 1장이 부여된다.[7]8인 풀리그 결과 1, 2위가 결승에 진출하며 지난 대회 3번기였던 결승이 5번기로 바뀌었고, 본선 풀리그 1위는 결승 5번기 1국과 최종국에서 흑백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어드벤티지를 부여한다. 대국 규정은 종전 '각자 제한시간 없이 1분 초읽기 10회'에서 '각자 10분 + 착수시 추가시간 40초\' 피셔방식으로 변경됐다.[8] 또한 우승 상금이 6천만원으로 인상되었다.[9]
[1]
여담으로 우승 트로피가
포크레인 모형이다.
[2]
다승 → 승자승 → 당월 랭킹으로 순위 산정, 결승 진출이 걸린 경우엔 동점자 재대국으로 순위 산정
[3]
1회 대회는 본선 10인 풀리그, 결승 3번기로 진행됐다
[4]
1회 대회는 제한시간 없이 각자 1분 초읽기 10회로 진행됐다.
[5]
전문 건설기계 수입 업체이다.
[6]
전기시드 2명, 예선 통과자 4인(그 중 1명은 신예조 예선 통과자에게 배정), 후원사 시드 2명
[7]
후원사인 YK건기에서 신예기사 육성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난 1회 대회에서는 신예기사 몫으로 후원사 시드 두 장을 주었고, 2회 대회부터는 신예조 예선을 두어 본선 티켓 한 장을 부여했다.
[8]
이에 따라
크라운해태배,
용성전,
한국바둑리그,
하나은행배 에 이어 피셔룰이 도입된 기전이 5개로 늘어났다.
[9]
준우승 상금도 3천만원으로 인상되었다.
3. 역대 대회
- 진행이 완료된 대회는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모든 문단은 접은 채 운영됩니다.
3.1. 제1회 대회(2022년)
====# 예선 #====- 아마선발전은 2월 3일~4일 이틀 동안 진행되었다. 42명이 참가해 6개조 7명씩 토너먼트를 벌였고 그 결과 1조 홍세영, 2조 박종욱, 3조 조성호, 4조 조상연, 5조 최원진, 6조 김승구 선수가 통합 예선에 진출했다.( 아마선발전 대진표)
- 통합 예선은 아마선발전 통과자 6명과 프로기사 217명이 참가해 6개조 토너먼트로 2월 7일부터 진행한다. 2월 11일에 각조 예선 준결승을 진행하고 추후에 예선 결승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예선 첫날인 2월 7일 열린 개막식에서 후원사인 YK건기 채호선 대표이사에게 아마 4단증이 수여됐다.[10]
- 예선 결승은 2월 28일에 원성진-진시영(1조 결승, 원성진 백 불계승)/김승준-이지현(3조 결승, 이지현 흑 3집반승), 3월 1일은 김성진-김세동(4조 결승, 김세동 흑 불계승)/변상일-김명훈(5조 결승, 김명훈 흑 불계승), 3월 2일 강동윤-설현준(2조 결승, 강동윤 흑 불계승), 3월 4일 김지석-류민형(6조 결승, 류민형 흑 불계승) 순으로 열렸다. 5조 결승과 2조 결승은 방송 중계로 진행됐다.
- 본선은 3월 14일부터 방송으로 진행하는 대국은 매주 월, 화, 수에 진행하며 대국자 스케줄에 따라 일부 대국은 비방송 대국으로 진행된다.
- 중계 - 캐스터 : 심우섭, 최유진 / 해설 : 백홍석 九단, 허진 五단[11]
2022 YK건기배 최종 순위표
|
|||||||||
순위 | 기사명 | 승 | 패 | 비고[12] | |||||
1 | 박정환 | 8 | 1 | ||||||
2 | 강동윤 | 7 | 2 | ||||||
3 | 김명훈 | 6 | 3 | 5R 승리 | |||||
4 | 신진서 | 6 | 3 | 5R 패배 | |||||
5 | 류민형 | 5 | 4 | ||||||
6 | 한우진 | 4 | 5 | 6R 승리 | |||||
7 | 이지현 | 4 | 5 | 6R 패배 | |||||
8 | 김세동 | 3 | 6 | ||||||
9 | 김은지 | 1 | 8 | 9R 승리 | |||||
10 | 원성진 | 1 | 8 | 9R 패배 | |||||
초록색 : 결승 진출 & 차기 본선시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라운드 구분 |
개시일자 (13시 시작) |
대진 | 결과 | |||||
<colbgcolor=#000> 1R | 2022년 3월 14일 | 신진서 | 이지현 | 165수 흑 불계승 | |||||
2022년 3월 15일 | 강동윤 | 한우진 | 248수 백 1집반승 | ||||||
2022년 3월 16일 | 박정환 | 류민형 | 247수 흑 불계승 | ||||||
2022년 3월 21일 | 김명훈 | 김은지 | 200수 백 불계승 | ||||||
2022년 3월 23일 | 원성진 | 김세동 | 289수 흑 3집반승 | ||||||
2R | 2022년 3월 28일 | 김세동 | 김은지 | 191수 흑 불계승 | |||||
2022년 3월 29일 | 이지현 | 김명훈 | 160수 백 불계승 | ||||||
2022년 3월 30일 | 신진서 | 류민형 | 163수 흑 불계승 | ||||||
2022년 4월 2일 | 박정환 | 한우진 | 134수 백 불계승[비] | ||||||
2022년 4월 4일 | 원성진 | 강동윤 | 195수 흑 불계승 | ||||||
3R | 2022년 4월 5일 | 박정환 | 김은지 | 211수 흑 불계승 | |||||
2022년 4월 6일 | 이지현 | 류민형 | 164수 백 불계승 | ||||||
2022년 4월 11일 | 김명훈 | 강동윤 | 178수 백 불계승 | ||||||
2022년 4월 12일 | 원성진 | 신진서 | 140수 백 불계승 | ||||||
2022년 4월 13일 | 김세동 | 한우진 | 268수 백 불계승[비] | ||||||
4R | 2022년 5월 2일 | 원성진 | 김명훈 | 198수 백 불계승 | |||||
류민형 | 한우진 | 167수 흑 불계승[비] | |||||||
2022년 5월 10일 | 박정환 | 강동윤 | 224수 백 불계승 | ||||||
김세동 | 이지현 | 196수 백 불계승[비] | |||||||
2022년 5월 11일 | 신진서 | 김은지 | 250수 백 불계승 | ||||||
5R | 2022년 5월 16일 | 한우진 | 김은지 | 340수 백 3집반승 | |||||
2022년 5월 17일 | 김명훈 | 신진서 | 206수 백 불계승 | ||||||
2022년 5월 18일 | 원성진 | 이지현 | 243수 흑 불계승 | ||||||
2022년 5월 19일 | 강동윤 | 류민형 | 277수 흑 불계승[비] | ||||||
박정환 | 김세동 | 107수 흑 불계승[비] | |||||||
6R | 2022년 6월 6일 | 이지현 | 한우진 | 305수 백 반집승[비] | |||||
2022년 6월 7일 | 강동윤 | 김은지 | 256수 백 불계승 | ||||||
2022년 6월 8일 | 김명훈 | 류민형 | 241수 백 2집반승[비] | ||||||
2022년 6월 13일 | 박정환 | 원성진 | 213수 흑 블계승 | ||||||
2022년 6월 14일 | 신진서 | 김세동 | 216수 백 불계승 | ||||||
7R | 2022년 6월 15일 | 박정환 | 이지현 | 189수 흑 불계승 | |||||
2022년 6월 20일 | 원성진 | 한우진 | 286수 백 1집반승[비] | ||||||
2022년 6월 21일 | 류민형 | 김은지 | 251수 흑 불계승[비] | ||||||
2022년 6월 27일 | 강동윤 | 신진서 | 197수 흑 불계승 | ||||||
2022년 6월 28일 | 김세동 | 김명훈 | 253수 흑 불계승 | ||||||
8R | 2022년 6월 29일 | 신진서 | 한우진 | 188수 벡 불계승 | |||||
2021년 7월 1일 | 원성진 | 류민형 | 196수 백 불계승[비] | ||||||
이지현 | 김은지 | 223수 흑 불계승[비] | |||||||
2022년 7월 4일 | 박정환 | 김명훈 | 269수 흑 불계승 | ||||||
2022년 7월 5일 | 강동윤 | 김세동 | 111수 흑 불계승[25] | ||||||
9R | 2022년 7월 6일 | 원성진 | 김은지 | 158수 백 불계승[비] | |||||
김명훈 | 한우진 | 161수 흑 불계승 | |||||||
2022년 7월 7일 | 류민형 | 김세동 | 365수 흑 2집반승[비] | ||||||
2022년 7월 11일 | 강동윤 | 이지현 | 208수 백 불계승[28] | ||||||
2022년 7월 12일[29] | 박정환 | 신진서 | 151수 흑 불계승[30] |
대국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colbgcolor=#000> 1국 | 2022년 7월 18일 | 강동윤 | 박정환 | 227수 흑 불계승 |
2국 | 2022년 7월 19일 | 박정환 | 강동윤 | 184수 백 불계승 |
3국 |
|
2:0으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 ||
우승 | 강동윤 九단 (YK건기배 초대 우승) |
본선 풀리그는 강동윤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6라운드까지 전승 행진을 하는등 매우 좋은 성적을 낸 끝에 8라운드에서 일지감치 결승을 확정했다. 그리고 남은 한자리를 놓고 신진서, 박정환, 김명훈이 치열한 레이스를 벌였는데 박정환이 강동윤전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풀리그 대국을 모두 승리하며 최종 8승 1패로 마지막 대국에서 풀리그 전체 1위를 확정지었다. 신예 기사 시드를 받은 한우진은 4승을 거두며 선전했고 여자기사 시드를 받은 김은지는 비롯 8판을 내리 졌지만 마지막 원성진 전을 승리하며 1승을 거뒀다.
건기배 초대 우승을 가릴 결승 3번기는 8승 1패로 풀리그 1위를 차지한 박정환과 7승 2패로 풀리그 2위를 차지한 강동윤이 대결을 펼친다. 두 기사가 매우 친해서 절친 대결이 성사가 됐다. 강동윤은 현재 용성전 결승에도 진출해 있어 국내 두 개 기전 우승에 도전을 하는 결승이었으며 박정환은 우슬봉조배와 맥심커피배에 이어 2022년 세 번째 국내기전 우승에 도전하는 시리즈였다. 결승전 결과 1국에서 완승을 거둔 강동윤이 2국에서도 역전승을 거두며 종합전적 2승 무패로 강동윤이 대회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강동윤은 2013년 원익배 십단전 이후 국내 개인 기전 9년만의 우승이다.
[10]
이창호 九단이 전달했다.
[11]
대국 종료 후 중계진이 직접 대국장으로 가서 같이 복기하며 인터뷰를 한다.
[12]
승자승, 재대국 여부, 특이사항
[비]
비방송 대국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비]
[25]
이 날 결과로 강동윤이 남은 대국과 관계없이 결승 진출을 확정했다. 강동윤의 경우 9라운드 이지현과의 대국 승리시 풀리그 1위를 확정한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패하더라도 박정환-신진서 결과에 따라서 박정환이 승리시 풀리그 2위, 신진서가 승리할 경우 신진서에게 승자승에서 밀리고 박정환에게 승자승에서 앞서서 풀리그 2위가 되기 때문에 결승진출이 확정됐다. 그리고 이 대국 결과로 김명훈의 결승 진출 가능성은 사라지게 됐다.
[비]
[비]
[28]
강동윤은 이 대국 패배로 풀리그 2위가 확정됐다.
[29]
이 대국의 승자가 강동윤과 결승 3번기 대국을 치른다. 앞선 대국에서 강동윤이 이지현에게 패했기 때문에 1위 결정전이 됐다. 박정환은 승리시 8승 1패로 풀리그 1위, 신진서가 승리시 7승 2패 3자 동률이 되나 신진서가 박정환, 강동윤에게 승자승에서 모두 앞서게되기 때문에 신진서가 풀리그 1위가 된다. 박정환은 패배시 신진서, 강동윤에게 모두 승자승에 밀리게 되어 풀리그 3위가 되며, 신진서가 패배시에는 김명훈에게 승자승에서 밀려 4위까지 떨어질 수 있다.
[30]
박정환이 이 대국에서 승리하며 8승 1패로 풀리그 전체 1위를 확정지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3.2. 제2회 대회(2023년)
이번 대회 부터 8명이 본선을 치르며 각자 10분 + 착수시 4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진행한다.3.2.1. 예선
- 아마선발전은 1월 4일과 5일 양일간 진행하며 각자 10분에 착수시 40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진행한다. 총 40명이 참가해 5명을 선발한다. ( 아마선발전 대진표) 나머지 아마 선수 1명은 시드로 통합예선에 참가한다. 그 결과 1조 김사우, 2조 김다빈, 3조 홍명세, 4조 임지혁, 5조 엄동건 선수가 통합예선에 출전할 기회를 얻었다.
-
통합예선은 1월 25일 1차예선을 시작으로 일정에 들어가며 1차예선 3일차인 27일에 2회 대회
개막식이 열린다. 1차 예선에서 일반조는 6개조 토너먼트로 2차예선 진출자 6명을 선발하고 여기에 신예조가 신설되어 신예조에서는 본선 진출자 1명이 선발된다.
1차 예선 및 신예조 대진표
1차예선 준결까지는 1월에 진행됐지만 결승만 2월 6일에 진행됐다.(1조 박진영-박진솔 대국만 2월 5일 사전진행)
한프바에서는 1차예선 1회전으로 이창호-백찬희, 1차예선 결승으로 이창석-정서준 대국을 중계했다.
2차예선
진출자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박진솔 류민형 박현수 최철한 이영구 정서준
신예조(본선 진출) 김승구[31] -
통합 2차 예선은 1차예선 통과자들과 랭킹 상위자(신진서[32], 변상일, 신민준, 박건호, 원성진, 안성준)들이 12강 토너먼트로 대결하여 본선 진출자 3명을 가린다. 예선 결승 중 일부경기는 방송대국으로 진행한다.[33]
12강 |
6강 (예선 결승) |
본선 진출자 | |||
신진서 |
|
<colbgcolor=#dcdcdc> ➡ | 신진서 | <colbgcolor=#dcdcdc> ➡ | 신진서 |
안성준 |
|
➡ |
|
||
변상일 |
|
➡ | 변상일 | ➡ | 변상일 |
박건호 |
|
➡ |
|
||
|
정서준 | ➡ |
|
➡ | 원성진 |
원성진 |
|
➡ | 원성진 |
3.2.2. 본선
2023 YK건기배 순위표
|
|||||||||
순위 | 기사명 | 승 | 패 | 비고[35] | |||||
1 | 신진서 | 6 | 1 | 승자승 1승 | |||||
2 | 신민준 | 6 | 1 | 승자승 1패 | |||||
3 | 박정환 | 5 | 2 | ||||||
4 | 변상일 | 4 | 3 | ||||||
5 | 원성진 | 3 | 4 | 승자승 1승 | |||||
6 | 강동윤 | 3 | 4 | 승자승 1패 | |||||
7 | 김승구 | 1 | 6 | ||||||
8 | 이창호 | 0 | 7 | 풀리그 전패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국 | 일정 (13시 시작) | 대진 | 결과 | |||||
<colbgcolor=#000> 1국 | 2023년 3월 13일 | 박정환 | 변상일 | 157수 흑 불계승 | |||||
2국 | 2023년 3월 14일 | 원성진 | 김승구 | 117수 흑 불계승 | |||||
3국 | 2023년 3월 15일 | 강동윤 | 이창호 | 218수 백 불계승 | |||||
4국 | 2023년 3월 20일 | 이창호 | 김승구 | 190수 백 불계승 | |||||
5국 | 2023년 3월 21일 | 박정환 | 강동윤 | 177수 흑 불계승 | |||||
6국 | 2023년 3월 22일 | 신진서 | 신민준 | 175수 흑 불계승 | |||||
7국 | 2023년 3월 27일 | 변상일 | 신진서 | 178수 백 불계승 | |||||
8국 | 2023년 3월 28일 | 신민준 | 원성진 | 186수 백 불계승 | |||||
9국 | 2023년 3월 29일 | 강동윤 | 김승구 | 216수 백 불계승 | |||||
10국 | 2023년 4월 3일 | 이창호 | 박정환 | 242수 백 불계승 | |||||
11국 | 2023년 4월 4일 | 변상일 | 신민준 | 139수 흑 불계승[36] | |||||
12국 | 2023년 4월 5일 | 원성진 | 신진서 | 133수 흑 불계승 | |||||
13국 | 2023년 4월 10일 | 강동윤 | 신민준 | 354수 흑 반집승 | |||||
14국 | 2023년 4월 11일 | 변상일 | 김승구 | 126수 백 불계승 | |||||
15국 | 2023년 4월 12일 | 이창호 | 원성진 | 197수 흑 불계승 | |||||
16국 | 2023년 4월 17일 | 박정환 | 신진서 | 131수 흑 불계승 | |||||
17국 | 2023년 4월 18일 | 원성진 | 강동윤 | 171수 흑 불계승 | |||||
18국 | 2023년 4월 26일 | 박정환 | 신민준 | 243수 흑 불계승 | |||||
19국 | 2023년 5월 1일 | 이창호 | 변상일 | 157수 흑 불계승 | |||||
20국 | 2023년 5월 2일 | 신진서 | 김승구 | 132수 백 불계승 | |||||
21국 | 2023년 5월 3일 | 이창호 | 신민준 | 309수 흑 불계승 | |||||
22국 | 2023년 5월 16일 | 강동윤 | 신진서 | 219수 흑 불계승[37] | |||||
23국 | 2023년 5월 22일 | 원성진 | 변상일 | 229수 흑 불계승 | |||||
24국 | 2023년 5월 23일 | 신민준 | 김승구 | 193수 흑 불계승[38] | |||||
25국 | 2023년 5월 24일 | 강동윤 | 변상일 | 293수 흑 불계승 | |||||
26국 | 2023년 6월 5일 | 박정환 | 김승구 | 135수 흑 불계승 | |||||
27국 | 2023년 6월 7일 | 이창호 | 신진서 | 166수 백 불계승[39] | |||||
28국 | 2023년 6월 12일 | 원성진 | 박정환 | 196수 백 불계승 |
대국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
<colbgcolor=#000><colcolor=#fff> 1국 | 2023년 7월 3일 | 신민준 | 신진서 | 218수 백 불계승 | |||
2국 | 2023년 7월 4일 | 신진서 | 신민준 | 157수 흑 불계승 | |||
3국 | 2023년 7월 5일 | 신민준 | 신진서 | 162수 백 불계승 | |||
4국 |
|
3:0 종료로 해당 사항 없음 | |||||
5국 |
|
||||||
우승 | 신진서 九단 (YK건기배 첫 우승)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대회 최종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순위 | 상금 | 선수 | ||||
우승 | ₩60,000,000 | 신진서 九단 | |||||
준우승 | ₩30,000,000 | 신민준 九단 | |||||
3위 | ₩15,000,000 | 박정환 九단 | |||||
4위 | ₩13,000,000 | 변상일 九단 | |||||
5위 | ₩11,000,000 | 원성진 九단 | |||||
6위 | ₩9,000,000 | 강동윤 九단 | |||||
7위 | ₩7,000,000 | 김승구 初단 | |||||
8위 | ₩5,000,000 | 이창호 九단 |
본선 풀리그는 신진서와 신민준 일명 '양신(兩申)'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양신은 각각 6승 1패로 매우 좋은 성적을 올리며 결승전에 진출했다. 반면 전기 결승에서 붙었던 강동윤과 박정환의 경우 강동윤은 3승 4패로 아쉬운 모습을 보였고, 박정환은 아깝게 풀리그 3위로 결승 문턱에서 좌절했다. 신예조로 통과했던 김승구는 프로의 높은 벽을 실감했으며 와일드카드로 출전했던 이창호는 풀리그 전패로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결승 5번기에서는 풀리그 6승 1패를 기록한 신진서와 신민준의 '양신전(兩申戰)'으로 열렸다. 신진서가 백을 선택한 1국은 20수까지 흉내바둑을 두는 양상으로 출발한 바둑이었는데 난해한 바둑끝에 승리를 거둔 신진서는 2국과 3국에서 압도적인 내용을 보여주며 우승을 차지하며 지난 대회 풀리그 탈락의 한을 풀어냈다.
[31]
2022년 12월에 입단한 기사로 연구생 내신 1위로 프로에 입단했다.
[32]
5년 2개월만의 예선전 대국.
[33]
신진서-안성준 대국이 방송 대국으로 진행된다.
[34]
이번에도 경기 종료 후 해설진들이 직접 대국장으로 가서 선수들과 복기 인터뷰를 갖는다. 또한 일부 대국은 당일 밤 시간대에 하이라이트 방송을 진행한다.
[35]
승자승, 재대국 여부, 특이사항
[36]
변상일이 하변 사활을 착각하며 초반에 승패가 갈렸고, 결국엔 신민준이 백 대마를 잡는 결과로 끝났다.
[37]
강동윤은 2023년에 신진서를 상대로 2승을 챙겼다.
[38]
신민준은 이날 승리로 최종 6승 1패로 결승진출을 확정지으며 풀리그 일정을 모두 마무리지었다.
[39]
신진서는 이날 승리로 6승 1패를 기록, 신민준에게 승자승에서 앞서며 풀리그 전체 1위로 결승을 확정했다.
4. 역대 우승자
YK건기배 역대 우승, 준우승자
|
||||
년도 | 우승 | 결과 | 준우승 | 비고 |
2022[40] | 강동윤 | 2:0 | 박정환 | 초대 대회, 강동윤 9년만의 국내기전 우승 |
2023[41] | 신진서 | 3:0 | 신민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