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1년 2월 부터 열리는 한국기원 선수권전의 초대 대회. 타이틀 스폰서 네이밍은 '우슬봉조탕'이다.2. 중계
- 바둑TV에서 '봉조예선' 일부 경기와 '우슬봉조 최종예선' 부터 중계한다.
- 캐스터 - 최유진, 문도원 三단
- 해설 - 최명훈 九단, 이성재 九단
- 본선리그 부터는 배윤진 캐스터(三단)의 진행으로 초중급자를 위해 자세한 해설을 하는 코너를 마련했다.
3. 예선
예선 참가선수 배치와 본선 직행자는 2021년 2월 랭킹 기준으로 정했다.3.1. 우슬예선
한국랭킹 51위 이하의 기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여기서 56명의 봉조예선 진출자를 선발했다.3.2. 봉조예선
봉조예선에서는 56명의 우슬 예선 통과자와 한국랭킹 11위 부터 50위까지 기사 총 96명이 참가해 우슬봉조예선 진출자 12명을 가린다.-
방송 중계 대국
방송일 대국 대진 결과
2021년 3월 15일 9조 결승 박하민 박민규 145수
흑 불계승
2021년 3월 16일 4조 결승 박재근 윤찬희 171수
흑 불계승
2021년 3월 29일 7조 결승 윤준상 최 정 212수
백 불계승
2021년 3월 30일 2조 결승 박상진 홍기표 188수
백 불계승
3.3. 우슬봉조 최종예선
최종예선은 한국랭킹 3위부터 10위까지 기사 8명과 봉조예선 통과자 12인, 총 20명이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하여 여기서 최종 본선진출자 10명을 가린다. 우슬봉조 최종예선은 전경기 모두 방송대국으로 진행됐다.- 봉조예선 통과자(확정) : 김정현 / 박상진 / 홍무진 / 윤찬희 / 백홍석 / 홍성지 / 최정 / 한상훈 / 박민규 / 최광호 / 강승민 / 한승주
- 한국랭킹 3~10위(2021년 3월 랭킹) : 변상일 / 신민준 / 이동훈 / 김지석 / 안성준 / 강동윤 / 원성진 / 이창석
- 조편성
- 1조 : 변상일, 최광호, 홍성지, 한승주
- 2조 : 신민준, 홍무진, 김정현, 강승민
- 3조 : 이동훈, 박상진, 이창석, 백홍석
- 4조 : 김지석, 한상훈, 원성진, 박민규
- 5조 : 안성준, 최 정, 강동윤, 윤찬희
대국 | 일정 | 대진 | 결과 | ||
1조 | 1경기 | 2021년 4월 10일 | 변상일 | 최광호 | 176수 백 불계승 |
2경기 | 2021년 4월 11일 | 홍성지 | 한승주 | 243수 흑 1집반승 | |
승자전 | 2021년 5월 15일 | 변상일 | 홍성지 | 324수 백 3집반승 | |
패자전 | 2021년 5월 23일 | 최광호 | 한승주 | 150수 백 불계승 | |
최종전 | 2021년 7월 10일 | 홍성지 | 한승주 | 223수 흑 불계승 | |
2조 | 1경기 | 2021년 4월 24일 | 신민준 | 홍무진 | 234수 백 불계승 |
2경기 | 2021년 4월 18일 | 김정현 | 강승민 | 216수 백 불계승 | |
승자전 | 2021년 5월 29일 | 홍무진 | 강승민 | 236수 백 불계승 | |
패자전 | 2021년 6월 20일 | 신민준 | 김정현 | 219수 흑 불계승 | |
최종전 | 2021년 7월 17일 | 홍무진 | 신민준 | 176수 백 불계승 | |
3조 | 1경기 | 2021년 4월 25일 | 이동훈 | 박상진 | 171수 흑 불계승 |
2경기 | 2021년 5월 8일 | 이창석 | 백홍석 | 155수 흑 불계승 | |
승자전 | 2021년 7월 3일 | 이동훈 | 이창석 | 180수 백 불계승 | |
패자전 | 2021년 6월 13일 | 박상진 | 백홍석 | 149수 흑 불계승 | |
최종전 | 2021년 8월 1일 | 이동훈 | 박상진 | 170수 백 불계승 | |
4조 | 1경기 | 2021년 5월 9일 | 김지석 | 한상훈 | 238수 백 3집반승 |
2경기 | 2021년 4월 17일 | 원성진 | 박민규 | 95수 흑 불계승 | |
승자전 | 2021년 6월 19일 | 김지석 | 원성진 | 204수 백 불계승 | |
패자전 | 2021년 6월 26일 | 한상훈 | 박민규 | 233수 무승부[1] | |
재대국 [2] | 164수 백 불계승 | ||||
최종전 | 2021년 7월 11일 | 원성진 | 박민규 | 238수 백 불계승 | |
5조 | 1경기 | 2021년 5월 22일 | 안성준 | 최 정 | 248수 백 불계승 |
2경기 | 2021년 5월 16일 | 강동윤 | 윤찬희 | 175수 흑 불계승 | |
승자전 | 2021년 6월 27일 | 최 정 | 강동윤 | 171수 흑 불계승 | |
패자전 | 2021년 7월 4일 | 안성준 | 윤찬희 | 223수 흑 불계승 | |
최종전 | 2021년 7월 31일 | 최 정 | 안성준 | 183수 흑 불계승 | |
노란색 : 본선진출 |
4. 본선
본선은 12명의 기사들이 '우슬리그'와 '봉조리그' 2개조로 나뉘어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한 뒤 각 조에서 오직 1위만이 살아남아 결승 5번기로 최종 우승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본선은 8월 7일부터 매주 토,일 낮 1시에 진행된다.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본선 진출자 | |||||
신진서 | 박정환 | 변상일 | 강승민 | 김지석 | 강동윤 |
이창석 | 한승주 | 원성진 | 신민준 | 최 정 | 이동훈 |
리그 배정 | ||||
우슬(牛膝) 리그 | 봉조(鳳爪) 리그 | |||
신진서 | 신민준 | 박정환 | 변상일 | |
이동훈 | 강동윤 | 김지석 | 원성진 | |
강승민 | 한승주 | 이창석 | 최 정 |
리그 배정은 기준 랭킹에 따라 다른조에 배치하도록 하여 컴퓨터 추첨으로 결정됐다.
4.1. 우슬(牛膝) 리그
우슬(牛膝) 리그 순위표 | |||||
순위 | 기사명 | 승 | 패 | 비고 | 결과 |
1 | 이동훈 | 5 | 0 | 본선리그 전승 | 결승 진출 |
2 | 신진서 | 4 | 1 | 3-4위 결정전 | |
3 | 한승주 | 3 | 2 | 5-6위 결정전 | |
4 | 신민준 | 2 | 3 | 7-8위 결정전 | |
5 | 강승민 | 1 | 4 | 9-10위 결정전 | |
6 | 강동윤 | 0 | 5 | 본선리그 전패 | 11-12위 결정전 |
우슬(牛膝) 리그 - 전체 경기 결과 | ||||
라운드 | 일정 | 대진 | 결과 | |
1R | 2021년 8월 7일 | 신민준 | 이동훈 | 189수 흑 불계승 |
2021년 8월 14일 | 신진서 | 한승주 | 142수 백 불계승 | |
2021년 8월 29일 | 강동윤 | 강승민 | 102수 백 불계승 | |
2R | 2021년 9월 5일 | 강승민 | 신진서 | 162수 백 불계승 |
2021년 9월 18일 | 강동윤 | 신민준 | 182수 백 불계승 | |
2021년 10월 2일 | 이동훈 | 한승주 | 270수 백 반집승 | |
3R | 2021년 10월 9일 | 강동윤 | 신진서 | 257수 백 반집승 |
2021년 10월 16일 | 신민준 | 한승주 | 197수 흑 불계승 | |
2021년 11월 6일 | 강승민 | 이동훈 | 358수 백 5집반승 | |
4R | 2021년 10월 30일 | 강승민 | 신민준 | 170수 백 불계승 |
2021년 11월 13일 | 강동윤 | 한승주 | 107수 흑 불계승[3] | |
2022년 1월 7일 [4] | 이동훈 | 신진서 | 169수 흑 불계승 | |
5R | 2021년 11월 20일 | 신민준 | 신진서 | 122수 백 불계승 |
2021년 12월 5일 | 강동윤 | 이동훈 | 189수 흑 불계승[5] | |
2022년 1월 9일 | 강승민 | 한승주 | 149수 흑 불계승 |
우슬리그는 신진서와 이동훈이 4연승 행진을 달리면서 치열한 선두 경쟁을 벌였고 결국 각자 마지막 대국이었던 4라운드 대국에서 이동훈이 신진서를 꺾으며 풀리그 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신진서는 최종전에서 상대 전적에서 12승 1패로 압도했던 이동훈에게 패배함으로서 충격적인 광 to the 탈을 하게 되어 국내 종합기전 전관왕 도전이 무산됐다. 반면 강동윤은 리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전패로 리그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우슬리그는 2022년 1월 9일 강승민-한승주 대국을 끝으로 일정을 마무리했으며 동률자가 발생하지 않은 가운데 순위가 모두 정해지며 마무리하게 됐다.
4.2. 봉조(鳳爪) 리그
봉조(鳳爪) 리그 순위표 | |||||
순위 | 기사명 | 승 | 패 | 비고 | 결과 |
1 | 박정환 | 5 | 0 | 본선리그 전승 | 결승 진출 |
2 | 원성진 | 3 | 2 | 5R 승 | 3-4위 결정전 |
3 | 김지석 | 3 | 2 | 5R 패 | 5-6위 결정전 |
4 | 이창석 | 2 | 3 | 4R 승 | 7-8위 결정전 |
5 | 변상일 | 2 | 3 | 4R 패 | 9-10위 결정전 |
6 | 최 정 | 0 | 5 | 본선리그 전패 | 11-12위 결정전 |
봉조(鳳爪) 리그 - 전체 경기 결과 | ||||
라운드 | 일정 | 대진 | 결과 | |
1R | 2021년 8월 8일 | 원성진 | 이창석 | 157수 흑 불계승 |
2021년 8월 15일 | 박정환 | 최 정 | 196수 백 불계승 | |
2021년 8월 28일 | 변상일 | 김지석 | 187수 흑 불계승 | |
2R | 2021년 9월 4일 | 박정환 | 이창석 | 184수 백 불계승 |
2021년 10월 3일 | 원성진 | 변상일 | 209수 흑 불계승 | |
2021년 10월 10일 | 김지석 | 최 정 | 151수 흑 불계승 | |
3R | 2021년 10월 17일 | 김지석 | 이창석 | 264수 백 불계승 |
2021년 10월 31일 | 최 정 | 변상일 | 212수 백 불계승 | |
2021년 11월 14일 | 원성진 | 박정환 | 198수 백 불계승 | |
4R | 2021년 11월 21일 | 변상일 | 이창석 | 277수 흑 불계승 |
2022년 1월 15일 | 원성진 | 최 정 | 303수 백 반집승[6] | |
2022년 1월 23일 | 박정환 | 김지석 | 166수 백 불계승 | |
5R | 2021년 12월 19일 | 김지석 | 원성진 | 151수 흑 불계승[7] |
2021년 12월 26일 | 변상일 | 박정환 | 156수 백 불계승 | |
2022년 1월 2일 | 이창석 | 최 정 | 322수 백 불계승 |
봉조리그는 박정환과 김지석이 선두 경쟁을 벌였는데 마지막 대국에서 1,2,3위가 결정되었고, 동률자가 발생했는데 2,3위와 4,5위가 승자승으로 순위가 갈렸다. 마지막 대국에서 박정환이 김지석의 사활 착각이 나오면서 승기를 잡고 5전 전승으로 봉조 1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김지석은 이 패배로 원성진에게 동률 승자승에서 밀려 봉조 3위가 됐다. 반면 여자기사로는 처음으로 리그전 방식 종합기전 본선에 출전했던 최정은 5전 전패로 아쉬운 성적표를 남겼다. 봉조리그는 전술한 박정환-김지석 대국을 끝으로 2022년 1월 23일에 모든 대국 일정을 마쳤다.
4.3. 순위 결정전
순위 결정전은 우슬리그와 봉조리그의 각 2~6위 선수들이 동순위끼리 단판으로 진행한다.순위 결정전 - 전체 경기 결과 | ||||
대국 | 일정 | 대진 | 결과 | |
11-12위 결정전 |
2022년 2월 5일 |
강동윤 (우슬 6위) |
최 정 (봉조 6위) |
181수 흑 불계승 |
9-10위 결정전 |
2022년 2월 6일 |
강승민 (우슬 5위) |
변상일 (봉조 5위) |
154수 백 불계승 |
7-8위 결정전 |
2022년 2월 19일 |
신민준 (우슬 4위) |
이창석 (봉조 4위) |
152수 백 불계승 |
5-6위 결정전 |
2022년 2월 12일 |
한승주 (우슬 3위) |
김지석 (봉조 3위) |
149수 흑 불계승 |
3-4위 결정전 |
2022년 2월 13일 |
신진서 (우슬 2위) |
원성진 (봉조 2위) |
174수 백 불계승 |
4.4. 결승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결승 5번기 이동훈 (우슬리그 1위) 0 : 3 박정환 (봉조리그 1위) |
||||
대국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2년 2월 20일 | 박정환 | 이동훈 | 143수 흑 불계승 |
2국 | 2022년 3월 7일 | 이동훈 | 박정환 | 156수 백 불계승 |
3국 | 2022년 3월 8일 | 박정환 | 이동훈 | 270수 흑 반집승 |
4국 |
|
3:0으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 ||
5국 |
|
|||
우승 | 박정환 九단 (한국기원 선수권전 초대 우승, 본선 8전 전승 우승) |
각조 1위 선수들이 결승에 진출하여 5번기를 치른다. 우슬리그에서는 이동훈 선수가 5전 전승으로 결승에 올라왔고, 반대편의 봉조리그는 박정환 선수가 5전 전승으로 결승에 올라왔다. 박정환은 2년여만에 종합기전 우승에 도전하며, 이동훈은 6년 만의 종합기전 우승에 도전한다. 두 선수간의 결승 번기 승부는 2015년 열렸던 제33기 KBS 바둑왕전 이후 7년 만이다.
1국에서는 시종일관 박정환이 유리하게 바둑을 전개하다가 이동훈이 추격을 하여 기회를 노릴 수 있었으나 이동훈이 그 과정에서 착각을 범하면서 바둑이 순식간에 다시 박정환쪽으로 기울어지며 허무하게 돌을 거두고 말았다.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에서 11국 재대국 결정으로 12국부터 하루씩 순연됨으로 인해 결승 일정이 조정되어 2국부터는 3월 7일부터 최대 4일 연속대국을 진행한다. 결승 2국에서는 우하 패 공방에서 승부가 갈리며 박정환 선수의 완승으로 마무리됐다.
3국에서는 초중반에는 박정환이 앞섰으나 이동훈이 반집까지 추격을 해왔다. 하지만 끝내기 승부에서 결국 박정환이 반집을 지켜내며 종합 전적 3승 무패, 봉조리그 5전 전승을 포함해 8전 전승으로 우슬봉조배 초대 우승이자 2년 4개월 만에 국내 기전 우승을 치지했다.
5. 대회 결과
순위 | 상금 | 선수 |
우승 | ₩50,000,000 | 박정환 九단 |
준우승 | ₩20,000,000 | 이동훈 九단 |
3위 | ₩10,000,000 | 원성진 九단 |
4위 | 미공개 | 신진서 九단 |
5위 | 김지석 九단 | |
6위 | 한승주 九단 | |
7위 | 신민준 九단 | |
8위 | 이창석 八단 | |
9위 | 강승민 七단 | |
10위 | 변상일 九단 | |
11위 | 강동윤 九단 | |
12위 | ₩4,000,000 | 최정 九단 |
[1]
삼패빅이 났다. 심판이 배정이 안된 관계로 두 기사가 삼패빅임을 인정하고 합의하며 마무리가 됐다.
[2]
삼패빅 무승부로 인해 본 대국이 종료된 후 돌가리기를 다시 하여 재대국을 했다. 두 선수가 본 대국 당시 시간을 다쓴 관계로 1분 초읽기 1회로 재대국을 진행했다.
[3]
이번 대회 본선 최단 수수, 최단시간 대국이 됐다.
[4]
한프바(한국프로바둑) 유튜브에서도 박경근, 홍무진 프로가 중계할 예정이다.
[5]
강동윤은 이 패배로 이번 대회 본선 전패로 본선 리그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6]
최정은 이 패배로 본선리그 전패를 기록하고 말았다.
[7]
원성진은 이 승리로 김지석 상대로 무려 11년 만에 승리를 거뒀다. 상대전 5연패도 끊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