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8:53:08

차원 정리

Rank Theorem에서 넘어옴


선형대수학
Linear Algebr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6ab8> 대수학
기본 대상 일차함수 · 벡터 · 행렬 · 선형 변환
대수적 구조 가군(모듈) · 벡터 공간 · 내적 공간 · 노름 공간
선형 연산자 <colbgcolor=#006ab8> 기본 개념 연립방정식( 1차 · 2차) · 행렬곱 · 단위행렬 · 역행렬 크라메르 공식 · 가역행렬 · 전치행렬 · 행렬식( 라플라스 전개) · 주대각합
선형 시스템 기본행연산 기본행렬 · 가우스-조르당 소거법 · 행사다리꼴 · 행렬표현 · 라그랑주 보간법
주요 정리 선형대수학의 기본정리 · 차원 정리 · 가역행렬의 기본정리 · 스펙트럼 정리
기타 제곱근행렬 · 멱등행렬 · 멱영행렬 · 에르미트 행렬 · 야코비 행렬 · 방데르몽드 행렬 · 아다마르 행렬 변환 · 노름(수학)
벡터공간의 분해 상사 · 고유치 문제 · 케일리-해밀턴 정리 · 대각화( 대각행렬) · 삼각화 · 조르당 분해
벡터의 연산 노름 · 거리함수 · 내적 · 외적( 신발끈 공식) · 다중선형형식 · · 크로네커 델타
내적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에르미트 내적)
다중선형대수 텐서 · 텐서곱 · 레비치비타 기호 }}}}}}}}}


1. 개요2. rank와 nullity
2.1. 행렬의 경우2.2. 선형 변환의 경우
3. 행렬 버전
3.1. 증명
3.1.1. 보조정리: 행동치와 계수3.1.2. 본정리의 증명
4. 선형 변환 버전
4.1. 증명
5. 같이 보기

1. 개요

차원 정리[1]는 rank와 nullity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정리이다.

2. rank와 nullity

Rank는 계수, 차수로도 불린다.

2.1. 행렬의 경우

행렬의 행벡터들로 생성(span, generate)[2] 벡터공간행공간(row space), 열벡터들로 생성한 벡터공간을 열공간(column space) 또는 상(image)이라 하고, 행렬 [math(A)]의 행공간을 [math({\rm row}(A))], 열공간을 [math({\rm col}(A))] 또는 [math({\rm im}(A))][3]라 표기한다. 이때 다음의 정리가 성립한다.
[math(\dim({\rm row}(A)) = \dim({\rm col}(A)) )][4]
이때 이 값을 행렬 [math(A)]의 rank라고 하고 [math({\rm rank}(A))]로 표기한다. 즉, [math({\rm rank}(A) = \dim({\rm row}(A)) = \dim({\rm col}(A)))]이다.

행렬 [math(A)]에 대해 [math(A{\bf x} = {\bf 0})][5]의 해 [math(\bf x)]들을 모은 집합은 벡터공간이 된다. 이때 이 공간을 영공간(null space) 또는 핵(kernel)이라 하며 [math({\rm null}(A))] 또는 [math(\ker(A))]라고 표기한다. 영공간의 차원nullity라고 하며 [math({\rm nullity}(A))]로 표기한다. 이때 [math(\dim({\rm null}(A)) = {\rm nullity}(A) )]가 성립한다.

2.2. 선형 변환의 경우

선형 변환 참고.

3. 행렬 버전


이는 선형 시스템 Ax=b에서 성립하는 rank(A)+(#free variables)[6]=n의 특수한 경우(Ax=0)라고 해석할 수 있다.

3.1. 증명

3.1.1. 보조정리: 행동치와 계수

이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유용한 경우가 많으나, 본 정리의 증명에 필수적이기에 보조정리로 분류하였다.
A와 B가 행동치(Row Equivalent)[7]인 행렬이라고 하자. 이때 [math(\operatorname{row}(A)=\operatorname{row}(B))]이다.

[math(A)]는 기본행연산을 통해 [math(B)]로 변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math(B)]의 각 행은 [math(A)]의 각 행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이다.
이는 [math(B)]의 각 행의 임의의 선형결합이 [math(A)]의 각 행 사이 어떤 선형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math(\operatorname{row}(B) \subset \operatorname{row}(A))].
마찬가지로, [math(A)]의 각 행의 모든 선형결합을 [math(B)]의 각 행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math(\operatorname{row}(A) \subset \operatorname{row}(B))].
위 두 결과에 의해, [math(\operatorname{row}(A)=\operatorname{row}(B))]. ■

3.1.2. 본정리의 증명

[math(A)]가 [math(m \times n)] 행렬일 때 [math(\mathrm{rank}(A)+\mathrm{nullity}(A)=n)]이다.

4. 선형 변환 버전

4.1. 증명

5. 같이 보기


[1] 영어로는 dimension theorem, rank theorem, rank-nullity theorem 등으로 부른다. [2] 선형결합(일차결합, linear combination)을 다 모은다는 뜻이다. [3] 대소문자에 주의할 것. [math({\rm Im}(A))]라고 쓰면 허수부만 취한다는 뜻이 된다. 때문에 허수부를 취하는 함수 표기를 [math(\Im(A))]로 쓰기도 한다. [4] 벡터공간 [math(V)]에 대해 [math(V)]의 차원을 [math(\dim(V))]로 표기한다. [5] 영벡터 [6] free variables의 개수 [7] 기본행연산을 통해 서로 변환될 수 있는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