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9:39:04

LH아파트/목록/서울특별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H아파트/목록

1. 강남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영동AID[1]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80세대 1974년 10월
영동주공 1단지[2]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1,050세대 1974년 11월
영동주공 2단지[3] 840세대 1974년 11월
영동주공 3단지[4] 700세대 1974년 11월
도곡주공 1차[5]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3,136세대 1977년 6월
도곡주공 2차[6] 610세대 1977년 6월
도곡주공 3-1차[7] 336세대 1979년 ?월
대치주공 3-2차[8]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552세대 1980년 12월
개포주공 1단지[9]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5,040세대 1982년 11월
개포주공 2단지[10] 1,400세대 1982년 11월
개포주공 3단지[11] 1,160세대 1982년 11월
개포주공 4단지[12] 2,840세대 1982년 11월
개포주공 5단지[13] 940세대 1983년 10월
개포주공 6단지[14] 1,060세대 1983년 10월
개포주공 7단지[15] 900세대 1983년 10월
개포상록 8단지[A][17]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1,680세대 1984년 ?월
개포상록 9단지[A][19] 690세대 1983년 ?월
수서주공[B]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2,562세대 1992년 10월
강남LH 1단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809세대 2013년 6월
세곡푸르지오[21] 912세대 2012년 8월
강남LH 3단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1,065세대 2013년 11월
강남자곡 힐스테이트[22] 1,339세대 2015년 6월
강남자곡 아이파크[23] 716세대 2014년 10월
강남LH 8단지 96세대 2013년 11월

2. 강동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둔촌주공 1단지[O]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1,370세대 1980년 3월
둔촌주공 2단지[O] 900세대 1980년 2월
둔촌주공 3단지[O] 1,480세대 1980년 12월
둔촌주공 4단지[O] 2,180세대 1980년 12월
고덕주공 1단지[28]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780세대 1983년 11월
고덕주공 2단지[29] 2,360세대 1983년 12월
고덕주공 3단지[30]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2,580세대 1983년 12월
고덕주공 4단지[31] 410세대 1983년 12월
고덕주공 5단지[32] 890세대 1983년 12월
고덕주공 6단지[33] 880세대 1983년 12월
고덕주공 7단지[34] 890세대 1983년 12월
고덕주공 8단지[A][36]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700세대 1984년 12월
명일주공 9단지[37] 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 1,320세대 1985년 12월

3. 강북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미아임대아파트[38]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780세대 1974년 12월
번동주공 1단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 1,430세대 1991년 5월
번동주공 2단지[B] 1,766세대 1991년 5월
번동주공 3단지[B] 1,292세대 1990년 11월
번동주공 4단지 900세대 1991년 4월
번동주공 5단지[B] 1,123세대 1991년 5월

4. 강서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내발산주공[42] 서울특별시 강서구 내발산동 1,550세대 1978년 ?월
화곡아파트[43]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374세대 1969년 8월
화곡시범주공[44] 810세대 1977년 ?월
화곡주공[45] 1,730세대 1978년 ?월
가양주공 7단지[B][47]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1,998세대 1992년 9월
등촌주공 1단지[B]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 1,670세대 1994년 11월
등촌주공 2단지 505세대 1995년 6월
등촌주공 3단지 1,016세대 1995년 10월
등촌주공 4단지[B] 1,575세대 1995년 5월
등촌주공 5단지 1,045세대 1995년 10월
등촌주공 6단지[A] 559세대 1995년 10월
등촌주공 7단지[B] 1,146세대 1994년 11월
등촌주공 8단지 445세대 1994년 11월
등촌주공 9단지[B] 1,445세대 1994년 11월
등촌주공 10단지 566세대 1995년 10월
등촌주공 11단지[A] 350세대 2004년 10월

5. 관악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복권아파트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108세대 1971년 11월
신림주공 1단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959세대 1995년 10월
신림주공 2단지[54] 818세대 2000년 8월
삼성산주공 3단지[55] 1,482세대 2000년 8월
관악산 휴먼시아 1단지[56] 545세대 2008년 3월
관악산 휴먼시아 2단지[57] 2,265세대
관악산 휴먼시아 3단지[58] 512세대

6. 광진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아차산 포레안[59][60]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125세대 2010년 12월

7. 구로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개봉임대아파트[61]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 300세대 1971년 3월
구로주공 1단지[62]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1,400세대 1986년 6월
구로주공 2단지[63] 726세대 1987년 7월

8. 금천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독산주공 13단지[B][65]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1,226세대 1990년 11월
독산주공 14단지 840세대 1990년 11월

9. 노원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상계주공 1단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2,064세대 1988년 5월
상계주공 2단지 2,029세대 1987년 11월
상계주공 3단지 2,213세대 1987년 11월
상계주공 4단지 2,136세대 1988년 5월
상계주공 5단지 840세대 1987년 11월
상계주공 6단지 2,646세대 1988년 5월
상계주공 7단지 2,634세대 1988년 7월
상계주공 8단지[66] 830세대 1988년 5월
상계주공 9단지 2,830세대 1988년 10월
상계주공 10단지 2,654세대 1988년 9월
상계주공 11단지 1,944세대 1988년 9월
상계주공 12단지 1,739세대 1988년 10월
상계주공 13단지 939세대 1989년 4월
상계주공 14단지 2,265세대 1989년 4월
상계주공 15단지[A] 2,100세대 1988년 7월
상계주공 16단지[68] 2,392세대 1988년 9월
보람아파트[69] 3,315세대 1988년 6월
중계주공 1단지[B]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882세대 1990년 12월
중계주공 2단지 1,800세대 1992년 6월
중계주공 3단지[B][72] 1455세대[73] 1991년 11월[74],
2016년 5월[75]
중계주공 4단지 690세대 1991년 9월
중계주공 5단지 2,328세대 1992년 4월
중계주공 6단지[PC] 600세대 1993년 3월
중계주공 7단지[PC] 630세대 1993년 3월
중계주공 8단지[PC] 696세대 1993년 3월
중계주공 9단지[B][80]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2,634세대 1992년 9월
중계주공 10단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330세대 1995년 4월
월계주공 1단지[B]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2,298세대 1992년 11월
월계주공 2단지 2,002세대 1992년 10월

10. 도봉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창동주공 1단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808세대 1990년 9월
창동주공 2단지 750세대 1990년 7월
창동주공 3단지 2,856세대 1990년 9월
창동주공 4단지 1,710세대 1991년 11월
상계주공 17단지[82] 1,980세대 1989년 7월
상계주공 18단지 910세대 1988년 10월
상계주공 19단지 1,764세대 1988년 11월

11. 동대문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휘경주공 1단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1,224세대 2001년 11월
휘경주공 2단지 800세대 2001년 11월

12. 동작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대방주공 1단지[B]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 925세대 1993년 4월
대방주공 2단지 798세대 1995년 4월
사당휴먼시아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480세대 2009년 3월

13. 마포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마포아파트[84] 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동 642세대 1962년 12월~1964년 11월[85]
연남아파트[86]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70세대 1970년 11월
DMC상암센트럴파크 1단지[87]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213세대 2009년 6월
DMC상암센트럴파크 2단지[88] 184세대 2009년 6월
공덕 푸르지오 펜트라우스[89]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공덕동 476세대 2011년 5월

14. 서대문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인왕아파트[9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132세대 1968년 11월
천연뜨란채[9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천연동 1,008세대 2006년 3월

15. 서초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반포주공 1단지[92]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3,590세대 1973년 1월~1974년 12월[93]
반포주공 2단지[94] 1,720세대 1978년 12월
반포주공 3단지[95] 3,410세대 1978년 12월
우면주공[B]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984세대 1994년 7월
LH서초 3단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790세대 2013년 12월
LH서초 4단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424세대 2013년 12월
LH서초 5단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358세대 2013년 12월

16. 성북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종암아파트[97]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152세대 1957년 ?월
정릉아파트[98]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162세대 1967년 11월

17. 송파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잠실주공 1단지[99]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5,390세대 1976년 3월
잠실주공 2단지[100] 4,450세대 1976년 3월
잠실주공 3단지[101] 3,280세대 1976년 3월
잠실주공 4단지[102] 2,130세대 1976년 3월
잠실주공 5단지[103] 3,930세대 1977년 11월
가락주공[104]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200세대 1981년 ?월
문정주공[105] 서울특별시 송파구 문정동 1,320세대 1981년 11월

18. 용산구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힐탑아파트[리모델링][107]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120세대 1968년 10월[108]
선라이즈[109] 30세대 1970년 5월
한강외인아파트[110]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500세대 1970년 11월
한강맨션 660세대 1971년 3월
남산외인아파트[111]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427세대 1972년 12월
한남외인아파트[112]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684세대[113] 1980년 5월~1982년 6월[114]
이태원주공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130세대 1993년 4월

19. 관련 문서



[1] 미국 국제개발처(AID;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의 차관을 도입해서 지었다고 해서 차관아파트라는 별칭이 되었다. 삼성동 힐스테이트로 재건축되었다. [2] 역삼 래미안으로 재건축되었다. [3] 역삼 e편한세상으로 재건축되었다. [4] 역삼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 [5] 도곡렉슬로 재건축되었다. [6] 대치 아이파크로 재건축되었다. [7] 도곡 삼성래미안으로 재건축되었다. 주공 고층아파트 단지 중 전국 최초로 타 아파트로 재건축된 단지이다. 1998년에 철거되어 고층 주공아파트 중에서는 유일하게 20년을 넘기지 못했는데, 1989년 부터 시작된 매봉터널 공사로 지반이 약해져서 빠르게 재건축이 추진되었기 때문이다. [8] 대치 동부센트레빌로 재건축되었다. 전국 주공 고층아파트 단지 중에 두 번째로 타 아파트로 재건축 된 단지이다. 2001년에 철거되었다. [9]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로 재건축되었다. 1단지의 1개 동과 4단지의 2개 동이 서울시 미래문화유산(등록문화재 제도와는 다른 서울시가 단독 추진하는 제도)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조합원들이 재건축 분담금 상승의 이유로 반대하였고 서울시장이 교체되면서 계획이 무산되었다. 결국 모두 철거되었다. [10] 래미안 블레스티지로 재건축되었다. [11] 디에이치 아너힐즈로 재건축되었다. [12] 개포자이 프레지던스로 재건축되었다. [13] 대우건설에서 시공. [14] 현대건설에서 시공. [15] 삼익주택에서 시공. [A] 공무원 임대 아파트 [17] 디에이치 자이 개포로 재건축되었다. 8단지와 9단지는 공무원임대아파트라서 명칭이 주공x단지로 부르지 않고 그냥 개포(상록)8,9단지다. [A] [19] 상록 서희스타힐스로 재건축되었다. [B] 영구임대아파트 [21] (구) LH푸르지오 [22] (구) LH강남 힐스테이트 [23] (구) LH강남 아이파크 [O] 올림픽파크 포레온으로 재건축 중이다. [O] [O] [O] [28] 고덕 아이파크로 재건축되었다. [29] 고덕 그라시움으로 재건축되었다. [30] 고덕 아르테온으로 재건축되었다. [31] 고덕숲 아이파크로 재건축되었다. [32]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로 재건축되었다. [33] 고덕자이로 재건축되었다. [34]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로 재건축되었다. [A] [36] 재건축 추진 중으로 재건축 후에도 공무원 임대 아파트로 사용된다. 모든 입주자의 퇴거가 완료된 상태이나 2년째 방치 중이다. [37] 고덕지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덕주공 9단지로도 불린다. [38] 미아 경남 아너스빌로 재건축되었다. [B] [B] [B] [42] 2003년 철거되어 우장산 힐스테이트로 재건축되었다. [43] 1990년 철거되어 화곡 대림아파트로 재건축되었다. [44] 3~4층짜리 저층 아파트와 구릉지를 따라 형성된 '타운하우스' 형태로 된 서구형 연립주택 세대가 섞여 있었다고 한다. 당시 전경 1999년 철거되어 화곡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 [45] 2005년 철거되어 우장산 아이파크·e편한세상으로 재건축되었다. [B] [47] 7단지지만 동번호가 100번대다. 1-6단지는 서울도시개발공사에서 시행한 아파트이다. [B] [B] [A] [B] [B] [A] [54] 신림2-1구역 주택재개발 [55] 신림2-1구역 주택재개발 [56] 신림1구역 주택재개발 [57] 신림1구역 주택재개발 [58] 신림1구역 주택재개발 [59] 구의2-1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60] (구) 아차산 휴먼시아 [61] 1971년에 입주한 최초의 임대아파트이다. 개봉한진타운으로 재건축되었다. [62] 101~113동 [63] 114~119동 [B] [65] 광명 하안지구의 일부로 건설되었으나 13단지 1314~1320동과 14단지 5개동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에 위치해 있다. [66] 조립식 건축으로 시공하여 안전 문제로 인해 철거 후 포레나 노원으로 재건축되었다. [A] 임대아파트라 매매가 안된다. [68] 2013년에 분양전환 되었다. [69] 일반 주공아파트와는 달리 군인공제회에서 시행하였고 대한주택공사에서 군 간부 가족들을 대상으로 분양하였다. [B] 영구임대 아파트라 매매가 안된다. [B] [72] 중계주공4단지와 부지를 공유한다. [73] 301동~305동 1325세대, 306동 130세대 [74] 301동~305동 [75] 306동 [PC] 조립식 공법 아파트. [PC] [PC] [B] [80] 9단지는 하계동에 소재하나 명칭은 중계주공이다. [B] [82] 완공 당시인 1988년에는 상계주공 17~19단지였다. 사유는 중랑천 건너 상계동과 같이 '상계신시가지' 구역으로 묶여 동시에 건설되었기 때문. 그래서 그랬는지 1988년에 노원구가 신설되며 해당 지역이 속해있던 창동이 잠시 노원구으로 편입되었으나 바로 다음 해인 1989년, 해당 지역이 다시 도봉구 창동으로 환원되면서 창동에 위치한 주공아파트가 되었고 주위에서도 창동주공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등기상 명칭은 아직도 상계주공 17~19단지다. 여담으로, 이 상계주공아파트를 지을 당시에 19단지까지 있는 아파트는 이게 유일했다. [B] [84] 대한주택공사가 지었던 국내 최초의 아파트단지. 1991년 3월 28일부터 철거 공사에 들어가 1994년 7월에 마포삼성아파트로 재건축되었다. [85] 1962년 12월 Y자형 주택 완공.(1차), 1964년 11월 판상형 주택 완공.(2차) [86] 연남 새마을 아파트 라고도 불린다. 2024년 시공사 선정이 완료되었다. [87] (구) 상암휴먼시아 1단지 [88] (구) 상암휴먼시아 2단지 [89] 대우건설, 태영건설, LH 컨소시엄 [90] 현존하는 주공아파트 중에 가장 오래된 단지. 사업시행인가 단계에 있다. [91] 1968년에 준공된 금화시민아파트를 재건축하였으며 113~115동은 테라스하우스로 지어졌다. [92] 1973년 대한주택공사에서 서울 한강 이남지역에 지은 최초의 주공아파트였으며, 1, 2, 4 주구는 디에이치 클래스트, 3주구(AID 차관아파트)는 래미안 트리니원으로 재건축될 예정이다. 1/2/4주구의 조합원간 갈등이 심했으며 조합장의 폭정으로 반대파가 항의하는 등 재건축의 난항이 예상되었고 더불어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자격 논란이 있는 만큼 예정보다 오래 걸릴 가능성이 컸으나 현재 모든 주구가 철거된 상태다. [93] 58동~61동, 66동~69동, 76동~86동, 94동, 95동 1973년 1월, 48동~55동, 62~65동 1973년 9월, 1동~35동 1974년 3월, 56동, 57동, 70동~75동, 87동~91동, 96동, 97동 1974년 4월, 98동~114동 1974년 12월. [94]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로 재건축되었다. [95] 반포자이로 재건축되었다. [B] [97] 대한민국의 최초의 아파트 단지였다. 1996년에 종암선경아파트로 재건축되었다. 철거되기 전 사진을 보면 대한주택공사 로고인 개집마크가 희미하게 그려져있다.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된 후에 편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98] 추후 정릉주공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정릉 중앙하이츠로 재건축되었다. [99] 잠실엘스로 재건축되었다. [100] 잠실 리센츠로 재건축되었다. [101] 잠실 트리지움로 재건축되었다. [102] 잠실 레이크팰리스로 재건축되었다. [103] 전국에서 주공아파트 중 고층으로 지어진 최초의 주공아파트이다. [104] 가락 동부센트레빌로 재건축되었다. 정식 명칭은 가락원호주공아파트. 철거 전 사진 [105] 문정 래미안으로 재건축되었다. [리모델링] [107] 군인공제회에 의해 바로 앞 선라이즈빌라와 통합해서 힐탑아파트는 리모델링되었고 현재는 ‘힐탑트레져’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108] 힐탑트레져는 2003년 12월에 입주했다. [109] 군인공제회에 의해 바로 뒤 힐탑아파트와 통합해서 선라이즈는 재건축되었고 현재는 ‘힐탑트레져’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했다. [110] LG 한강자이로 재건축되었다. [111] 1994년에 남산 제 모습 찾기의 일환으로 발파 공법으로 철거되었으며, 철거 당시 전국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현재는 남산야외식물원으로 조성되었다. 또한 이 일대 지적편집도를 자세히 보면 지금도 이 아파트의 흔적이 남아있다. [112] 2016년 통매각되어 이듬해인 2017년 철거되었고, 2019년 나인원 한남으로 재건축되었다. [113] 2000년대 들어서 실내 리모델링을 거치는 과정에서 두 집을 하나로 합치는 공사로 512세대까지 줄어들었다. [114] 한남대로와 가까운 저층 동이 먼저 지어져 입주했고 뒤이어 고층 동이 순차적으로 지어져 입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