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7:59:44

D4Y 스이세이

D4Y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 Ki-87, ◈ Ki-88, ◈ Ki-94, ◈ Ki-98, Ki-100, †ⓩ Ki-162, ◈ⓩ Ki-200 슈스이, ◈ⓩ Ki-201 카류, †ⓩ Ku-4
복좌 전투기 Ki-45 토류, ◈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 Ki-91
자살 공격기 Ki-115 츠루기
훈련기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 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colbgcolor=#2f4f2f> 함재기 <colbgcolor=#2f4f2f> 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20시 갑전투기,† 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 C3N, C5M, C6N 사이운,▼ 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 F1M, F1A
G 육상공격기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 G10N 후가쿠
H 비행정 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 J4M 센덴, ◈ J5N 텐라이, ◈ J6K 진푸, ◈ J7W 신덴, †ⓩ J7W2/J7W3 신덴 카이, ◈ⓩ J8M 슈스이, ◈ⓩ J9Y 킷카, ▼ N1K-J 시덴, ▼ N1K2-J 시덴 카이, ▼ N1K3-J 시덴 카이 一, ▼ N1K4-J 시덴 카이 三, ▼†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 A6M2-K, ▼ M6A1-K 난잔
L 수송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 H6K-L, ▼ H8K-L 세이쿠, ▼ H11K-L 소우쿠, ▼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 N1K 쿄후, ▼ A6M2-N
P 폭격기 P1Y 긴가
Q 초계기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 R2Y(세이운, 케이운), ◈ⓩ R2Y2 케이운 카이, ▼ J1N1-R
S 야간전투기 ◈S1A 덴코, ▼ J1N-S 겟코, ▼ P1Y1-S 바야코, ▼ P1Y2-S 쿗쿄, ▼ D4Y2-S 스이세이
<colbgcolor=#000000> 노획 항공기 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D/E), P-51C,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하인켈 72,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 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 메서슈미트 Me163, †ⓩ 메서슈미트 Me 262, † 포케불프 Ta 152, † 융커스 Ju 390, †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Ki-147, † Ki-148, †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4Y2_before_take_off.jpg
파일:external/www.defence.org.cn/2004716121510734.gif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8114d4a13c787892702e9b811fdf5c11.jpg
艦上爆撃機 D4Y 彗星

1. 개요2. 제원3. 파생형4. 특징5. 실전6. 기타7. 대중 매체

1. 개요

이름 제식 명칭 스이세이 ・ 2식 함상정찰기 / [ruby(彗星, ruby=すいせい)] ・ [ruby(二式艦上偵察機, ruby=にしきかんじょうていさつき)]
연합국
코드명
주디(Judy)
제식 기호&명칭(뜻) D4Y 제식 채용년도 서기 1943년[1]
영문명 Japanese Navy Yokosuka D4Y3 Suisei
일본군 해군 태평양 전쟁 기간 운용했던 함상폭격기 겸 함상정찰기. D3A보다 많은 숫자인 2038대가 생산되었다.

2. 제원

함상폭격기 D4Y 스이세이 (艦上爆撃機 D4Y 彗星)
Carrier-Borne Dive-bomber 'Suisei' (Judy)
운용국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운용집단 일본 제국 해군
제조사 요코스카 해군 공창
초도비행 1940년 11월 15일
생산년도 1943년 6월
생산대수 D4Y 2,253기
D4Y1-C 2식 함상정찰기 11형
전폭 11.5m
전장 10.22m
전고 3.295m
주익면적 23.6m²
자체중량 2,440kg
전비중량 3,870kg
엔진 아이치 아츠타 21형 12기통 역Y자 수랭식 엔진, 1200마력
최고속도 3000m에서 533km/h
상승고도 10,700m
항속거리 1,519km
무장 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600발)
후방 포수석에 7.7mm 1식 선회기총 1정(97발 탄창 6개)
폭장 없음
D4Y1 스이세이 11형
전폭 11.5m
전장 10.22m
전고 3.175m
주익면적 23.6m²
자체중량 2,510kg
전비중량 3,960kg
엔진 아이치 아츠타 21형 12기통 역Y자 수랭식 엔진, 1200마력
최고속도 4,750m에서 546.3km/h
상승고도 10,700m
항속거리 1,783 ~ 2,196km
무장 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600발)
후방 포수석에 7.7mm 선회기총 1정(97발 탄창 6개)
폭장 250kg 폭탄 1발 또는 500kg 폭탄 1발
D4Y1 스이세이 12형
전폭 11.5m
전장 10.22m
전고 3.175m
주익면적 23.6m²
자체중량 2,635kg
전비중량 4,353kg
엔진 아이치 아츠타 32형 12기통 역Y자 수랭식 엔진, 1400마력
최고속도 5,250m에서 579.7km/h
항속거리 1,517km ~ 2,389km
무장 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600발)
후방 포수석에 7.7mm 선회기총 1정(97발 탄창 6개)[2]
폭장 250kg 폭탄 1발 또는 500kg 폭탄 1발
D4Y3 스이세이 33형
전폭 11.5m
전장 10.24m
전고 3.069m[3]
주익면적 23.6m²
자체중량 2,501kg
전비중량 4,657kg
엔진 킨세이 62형, 1560마력
최고속도 6,050m에서 574.1km/h
상승고도 10,700m
항속거리 1,519 ~ 2,911km
무장 기수 상면에 97식 기총 7.7mm 기관총 2정(장탄수 각 400발)
후방 포수석에 7.92mm 1식 선회기총 1정(75발 탄창 3개)[4]
폭장 250kg 폭탄 1발 또는 500kg 폭탄 1발 / 주익에 250kg 폭탄 2발과 동체에 250kg 폭탄 1발

3. 파생형

크게 시제 함상폭격기, 2식 함상정찰기, 스이세이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스이세이 12형 무형은 후방기총으로 20mm를 장착하여 야간전투기로도 사용되었다.

4. 특징

D4Y는 일본기로써는 특이하게 수랭식 엔진을 가지고 있는데, 이 수랭식 엔진은 독일의 DB 601의 라이센스이긴 하지만 Ki-61 히엔에 사용되었던 Ha-40 계열 엔진과는 근본부터 다른 것이다.[5] 여러 기술을 사용하고, 폭탄마저 동체 내의 폭탄창에 수납하며, 수랭식 엔진을 이용한 매끈한 기체 형상으로 함상폭격기임에도 주력 전투기인 제로센에 필적하는 고속 성능을 얻었다. 그러나 동시에 제로센과 같이 장대한 항속력을 요구받은 바람에 별도의 장갑이나 자동 봉입 연료탱크 등의 방호장비가 없다는 단점까지 같이 얻어, 마리아나 해전에서는 B6N 텐잔과 함께 칠면조의 운명을 면치 못했다.
또한 보급선 등을 고려하지 않고 수랭식 엔진을 장착하여 최전선에 내보낸 기체답게 크고 작은 엔진 트러블이 빗발쳤다. 또한 의욕적으로 사용된 전기 모터 등이 오히려 문제를 일으켜, 주력 함상폭격기로 수많은 항모에서 운용되었음에도 평가는 아주 좋지 않았다. 이렇게 제대로 정비 받지 못한 엔진이 자꾸 말썽을 부리자 엔진을 널리 사용되던 미츠비시 킨세이 공랭식 엔진으로 환장한 D4Y3/D4Y4가 생산되었다. 그 결과 기존의 수랭식 엔진을 장착한 D4Y1(1200마력 아츠타 12엔진)과 D4Y2(1400마력 아츠타 32형엔진)는 산더미처럼 쌓여 심지어 카미카제에도 동원되지 않는 애물단지가 되었다. 오죽하면 우가키 마토메 카미카제에 돌입할 때에도 킨세이를 얹은 혜성에 탑승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4Y3_pulling_up.jpg

최후기형이지 특공용으로 많이 쓰인 버전인 D4Y4는 후부 총좌가 폐지되어 1인승이 되었고, 조종석과 연료탱크에 방탄장갑이 추가됨과 동시에 방탄유리가 채용되었다.

5. 실전

한편 제131항공대(통칭 '후요 부대')는 미노베 타다시 소좌의 지휘아래, 특공을 거부하고 야간폭격을 실시하여 활약 했다. # 131항공대는 제조사와의 협력으로 가동률을 80% 까지 끌어올리는데 성공했으며, 나카가와 요시마사 상비조가 20mm 상향포로 P-61 블랙위도우를 격추하는 희귀한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폭격기 요격에 동원되어 나카 요시미츠 상비조가 B-29를 격추하기도 했다.

1945년에 스이세이 한기가 엔터프라이즈에게 폭격을 성공한 적 있었으나 해당 폭탄은 불발탄이었고, 수병들이 재빨리 폭탄을 바다에 던져버려서 엔터프라이즈는 별다른 상처 없이 돌아갔다. [6] 1944년 10월 20일, 방공망을 뚫고 온 1기의 스이세이가 인디펜던스급 항모 프린스턴(CVL-23)에게 급강하 폭격을 가하여 폭탄을 명중시켰다. 주변에 있던 버밍엄(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 CL-62), 모리슨(플레처급 구축함, DD-560), 어윈(플레처급 구축함, DD-794), 리노(애틀랜타급 경순양함, CL-96)가 구조와 소화작업을 실시했으나, 탄약고 유폭으로 추정되는 대폭발이 일어나 소화작업을 돕던 주변함까지 피해를 입었고, 결국 구축함 어윈이 프린스턴에게 어뢰를 발사하여 자침시켰다.

6. 기타

7. 대중 매체

파일:d4y1.png 파일:d4y2.png 파일:d4y3.png
D4Y1 D4Y2 D4Y3 갑

파일:윙듀D4Y2.jpg
[1] 쇼와 18년, 황기 2603년 [2] 12형 후기형은 33형처럼 1식 선회기총이 달리고 후방기총이 13.2 밀리 기총인 갑형도 있었다고 한다. [3] 후기형으로 갈 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4] 이쪽도 D4Y3 갑형은 후방기총이 13.2mm 기총이고 D4Y2-S,D4Y3-S 야간전투기에는 20mm 상향후방기총(독일의 슈레게 무지크의 일본판) 이 탑재되었다. [5]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문서 참조. [6] 정보출처 히스토리 채널의 다큐멘터리 'Battle 360' 중 마지막 화. [7] 일본은 게임 내에서 고질적으로 대공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