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5:47

한복/전통 장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복
1. 개요2. 종류
2.1. 장신구
2.1.1. 가발 및 헤어스타일
2.2. 의류
2.2.1. 소매2.2.2. 옷깃
2.3. 건축2.4. 기타

1. 개요

조선 시대부터 그 이전 시대의, 전통적인 장신구들과 한복 장식요소들을 정리한 문서.

2. 종류

2.1. 장신구

2.1.1. 가발 및 헤어스타일

가체, 댕기머리, 상투, 생머리 문서 참조.

2.2. 의류

2.2.1. 소매

한복 소매는 크게 좁은소매(직배래), 넓은소매(대수, 활수), 두리소매(콩태소매), 둥근소매(붕어배래)로 나뉜다. 좁은소매 또는 직배래는 말 그대로 현대 기성복 소매처럼 좁은 직선 형태 혹은 소매 부분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넓은소매는 사각형 혹은 겨드랑이 부분에서 소매 부분으로 사다리꼴을 그리는 사각형을 하고 있다. 두리소매는 넓은소매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는데, 소매 아래로 늘어진 부분이 막혀있는 형태로 간단한 소지품을 담을 수 있다. 둥근소매 혹은 붕어배래는 소매가 붕어의 배처럼 아래로 처진 곡선을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고구려의 둥근소매 예시 고구려 둥근소매 예시 2
삼국시대 둥근소매 예시 삼국시대 둥근소매 예시 2
고려 둥근소매 예시 고려 둥근소매 예시 2 고려 둥근소매 예시 3
조선 둥근소매 예시

흔히 한복의 곡선미를 강조하면서 한복 특유의 둥근 소매를 한복만의 것이자 모든 한복의 특징으로 해석하려고 하는 경우가 잦으나 이는 심각한 오류이다. 조선 이전의 한복은 크게 직선 소매와 넓은 소매만이 나타나며, 붕어배래는 조선시대 17세기 철릭에 관한 연구에서는 임진왜란 전후로 나타났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복식 섹션에서는 붕어배래가 1910년대에 정립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 밖에 붕어배래가 1900년대에 생겨났다고 주장하는 기사도 있다. 두 의견의 연대가 상당히 차이가 나는 편인데, 그렇다 해도 한국 복식사에서 붕어배래가 나온 시기가 조선시대 이후라는 것은 분명하다. 1900년대에 등장했다는 주장은 붕어배래가 널리 유행했던 시기를 칭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할 수도 있다. 실제로 1900년대 초부터 1980년대까지 붕어배래가 유행한 것은 사실이다. 이후 점차 활동성을 중시하게 되며 한복업계에서도 직선형의 배래로 한복을 제작하는 예가 많아졌다.

2.2.2. 옷깃

2.3. 건축

2.4. 기타



[1] 선조 대에 남자에게는 금지되었다. 1차로 금지된 것은 선조 6년인데, 30여 년이 지난 임진왜란 때에 조선과 일본 양쪽에서 귀 뚫은 자국으로 조선인을 구별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금제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2] 국어사전에서는 귀고리와 귀걸이를 같게 보지만, 사학계에서는 귀고리는 귀를 뚫고 착용하는 장신구라 하고, 귀걸이는 귓바퀴에 걸치는 장신구를 가리킨다. [3]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기를 제외하면 적의 이외의 궁중여성복에 용보를 달았는지에 대한 정보는 확실하지는 않다. [4] "검소하고 소박한 것을 숭상하고 사치를 억제해야 하는 것이 정치의 급선무인데 국가가 문승(文勝)의 폐가 있는 듯 하여 항상 염려가 된다. 단자사라(緞子紗羅)는 우리 나라의 것이 아니며, 존비등위는 금은각대(金銀角帶)로 정하고 있으니 굳이 흉배를 하여야 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5]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7 [6] 채금석 『전통한복과 한스타일』-p.200 '유물·문헌을 통해 본 고려시대 저고리' 중에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14
, 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1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