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5:18:41

서리고룡

프웜에서 넘어옴


||<tablewidth=6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cc33><bgcolor=#ffcc33><color=#373a3c> 워크래프트 시리즈 용군단 ||
주류 용군단
파생 용군단
기타 용족
원시비룡 | 서리고룡 | 폭풍비룡 | 운룡 | 용혈족 | 용기병 | 요정용 | 드랙티르
같이 보기
유닛 | 용의 위상

1. 개요2. 워크래프트 3
2.1. 능력치2.2. 음성2.3. 기술2.4. 장단점
2.4.1. 장점2.4.2. 단점
2.5. 운용2.6. 그 외
3.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3.1. 서리고룡족

1. 개요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Sindragosa_AoIC.jpg
서리고룡족의 여왕 신드라고사 ( 이미지 출처)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종족 중 하나로, 언데드 본 드래곤, 드라코리치다. 이중 푸른용군단의 시체로부터 되살아 난 것을 서리고룡(Frost Wyrm)이라 한다.[1] 고룡(wyrm)급 푸른용을 되살린 서리고룡과 푸른용군단의 알을 조작해 만든 서리 새끼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컬지측이 노스렌드를 장악하며, 용의 안식처 도처에 깔려있던 용들의 사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강령술로 되살린 것이 서리고룡이다. 정확히는 고대의 전쟁 등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고, 또 노스렌드가 본거지이기도 한 푸른용군단의 시체를 구하기가 가장 쉬웠던 것으로 보인다.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용족의 위치를 생각하면 당연한 얘기지만 설정상 스컬지 세력에서도 손에 꼽히는 최흉의 강적들이다. 언데드 유닛 중 혼자서 인구수 7을 잡아먹고 한 방에 100이 넘어가는 데미지를 꽂는 워3에서의 묘사는 말할 것도 없고, WOW에서도 여타 스컬지 세력 병종(구울, 누더기골렘, 지하마귀, 강령술사 등)은 꽤 많은 수가 일반 몹으로 나타나는데, 서리고룡들은 압도적 다수가 금빛 고룡 테두리를 두른 정예몹으로 나타난다. 죽음의 기사 초반 퀘스트에서도 아케루스의 공격을 제법 버티던 붉은십자군 군대가 티르의 손 수도원과 하스글렌에서 다수의 병력을 지원받은 상태임에도 죽음의 기사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서리고룡 한 마리가 뜨자마자 죄다 박살이 난다.

2. 워크래프트 3

워크래프트 3 언데드 스컬지 영웅, 유닛, 건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font-size:.9em; letter-spacing:-0.05em"
<colcolor=#d5c1e9><colbgcolor=#96c> 어둠의 제단
알터 오브 다크니스
[[죽음의 기사(워크래프트 3)|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eathknight.gif
죽음의 기사
데스 나이트
]]
[[공포의 군주|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readlord.gif
공포의 군주
드레드로드
]]
[[리치(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lich.gif
리치
]]
[[지하군주|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ryptlord.gif
지하군주
크립트 로드
]]
납골당
크립트
저주받은 자들의 사원
템플 오브 뎀드
도살장
슬래터하우스
뼈무덤
본 야드
죽음의 요새
네크로폴리스
[[수행사제|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acolyte.gif
수행사제
애콜라이트
]]
[[구울(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9d21c0256050f772e58f17d77fc298f8981adfed6b3c339f632d2dcf69fba960.gif
구울
]]
[[지하마귀|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ryptfiend.gif
지하마귀
크립트 핀드
]]
망자의 전당
홀 오브 더 데드
희생의 구덩이
새크리피셜 핏
[[가고일(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bfa5efec04783176c48cd02d20793764fe781756b6919d2dc01b954be98f9868.gif
가고일
]]
[[강령술사(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necromancer.gif
강령술사
네크로맨서
]]
[[밴시(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banshee.gif
밴시
]]
[[시체 수레|
파일:external/69dc5dcaae15280d0b47375fbdfd7c15c633f07ac4f2cf2c4f5d18636f8b9007.gif
시체 수레
미트 웨건
]]
[[흑요석 석상|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obsidianstatue.gif
흑요석 조각상
옵시디언 스태츄
]]
[[망령(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attachment/틀:워크래프트 3/언데드 스콜지/shade.png
망령
셰이드
]]
검은 성채
블랙 시타델
[[누더기골렘|
파일:external/b21da7ff2b47321afb28f878d0aa271259103ef08593490793ee7b22aef16653.gif
누더기골렘
어보미네이션
]]
[[흑요석 파괴자|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destroyer-small.gif
파괴자
디스트로이어
]]
[[서리고룡|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frostwyrm.gif
서리고룡
프로스트 웜
]]
소환 유닛들 [[지옥불정령|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infernal.gif
지옥불정령
인페르날
]]
[[해골(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BTNSkeletonWarrior.png
해골 전사
스켈레톤 워리어
]]
[[해골(워크래프트 시리즈)|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keletalmasterylarge.gif
해골 마법사
스켈레톤 메이지
]]
[[지하군주#캐리언 비틀/흡혈 딱정벌레 (Carrion Beetles / C)|
파일:attachment/크립트 로드/carrionbeetles.png
흡혈 딱정벌레
캐리언 비틀
]]
기타 건물들 {{{#!wiki style="margin:-15px -11px" 지구라트 영혼의 탑
스피릿 타워
네루비안 탑
네루비안 타워
귀신 들린 금광
헌티드 골드 마인
무덤
그레이브야드
유물의 무덤
툼 오브 렐릭스
}}} }}}}}}}}}
파일:external/c73470a0a17cb2127190a84af927e3b72b46439f19e923b26e592cbbc6ff4604.gif 파일:external/191cdd45982c97e6ff6cdaf7be9fd077c52c53011435d65b06bdf5a11aa2cef9.gif

2.1. 능력치

||<table width=60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9966cc><table bgcolor=#d6c1ea,#2a153e><colbgcolor=#9966cc><colcolor=#d5c1e9><width=16%> 레벨 ||<width=16%> 6 ||<colbgcolor=#9966cc><colcolor=#d5c1e9><width=16%> 공격속도 ||<width=16%> 3 ||<colbgcolor=#9966cc><colcolor=#d5c1e9><width=16%> 사거리 ||<width=16%> 300 ||
비용 파일:warcraft3_icon_gold.gif 385
파일:warcraft3_icon_lumber.gif 120
파일:warcraft3_icon_supply.gif 7
100% 피해 범위 25 주간시야 1600
특성 일반 20% 피해 범위 50 야간시야 800
공격유형 마법 10% 피해 범위 200 이동속도 평균 (270)
무기유형 미사일 / 스플래시 체력 1350 생산시간 65
방어유형 경장갑 체력재생 역병 위[2] 생산건물 뼈무덤
방어력 1-7[3] 마나 없음 요구사항 없음
지상 공격력 평균 104-123.5[4] 마나재생 없음 생산 단축키 F
공중 공격력 평균 89-107[5]

2.2. 음성


성우는 글렌 스태퍼드.

2.3. 기술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freezingbreath2.gif

2.4. 장단점

2.4.1. 장점

2.4.2. 단점

2.5. 운용

워크래프트 3의 언데드 종족의 최종 테크트리 유닛. 워크래프트 3 초창기에는 장점보다 단점이 훨씬 더 부각되어 우주쓰레기라는 별명을 들으며 워크래프트 3에서 가장 쓸모 없는 유닛 등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후 재발견되어 대 나엘전 및 대 오크전에서 큰 활약을 하게 된다. 이후 카운터 유닛의 상향과 메타 변경 등으로 잘 쓰이지 않게 되기는 했으나, 과거의 우주쓰레기 취급까지는 아니고 그냥 메타에서 밀려나 잘 안 쓰는 유닛 정도의 취급을 받는다.

1.32.10 패치로 드디어 본 야드의 건설 조건에서 새크리피셜 핏이 삭제되었다. 크립트, 슬레터 하우스, 템플 오브 뎀드, 본야드를 하나씩 지어서 핀드, 옵시(+디스), 밴시, 프웜을 뽑는 1/1/1/1 빌드를 운용하는 언데드 유저도 생겼다.

2.6. 그 외

별명 우주쓰레기. 재평가 이전까지는 아무리 짱구를 굴려도 답이 안 나오는 유닛이었으며, 포트레이트 너머에 별 같은 게[12] 보여서 우주+쓰레기가 돼버렸다. 한때 암흑기 시절 이러한 프로스트 웜과 비견할 만한 쓰레기 유닛으로는 지구 쓰레기, 글러먹은 쓰레기로 불리는 나이트 엘프 수리검 투척기 영웅의 자격이 의심되는 숲의 수호자가 있었다.[13]

파일:external/www.scrollsoflore.com/118.jpg
베타 시절 (참고)에는 푸른용의 스킨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 때는 지금보다 나은 게 있었는데, 이때 서리고룡은 리치가 궁극기로 소환하는 유닛이라 공짜였기 때문이다. 당시 뼈무덤의 테크 위치에는 가고일을 만드는 가고일의 둥지라는 건물이 있었다.

파일:external/www.scrollsoflore.com/111.jpg
당시 리치의 궁극기가 프웜 소환이었다 (참고). 커스도 이땐 리치가 사용했다.
파일:external/www.scrollsoflore.com/059.jpg 파일:external/www.scrollsoflore.com/068.jpg
알파 시절에는 지상 유닛이었다.

파일:external/www.scrollsoflore.com/004.jpg
더 앞선 시점, 워크래프트 3가 지금보다 RPG적 요소가 더 강했던 리즈시절에는 최종보스적 유닛이었다. 이 녀석도 영고라인일지도?

'프로스트 웜'이라는 한글 표기를 처음 봤을 때 프로토스+웜(Worm)인 줄 아는 사람들도 있다.

중국판 버전에서, 뼈가 드러나지 않아 푸른용에 가까운 모양으로 변했다.

유닛을 확대해 보면 몸통 안에 왠 수정이 들어있다. 수정은 플레이어가 선택한 팀 컬러와 똑같은 색으로 나오지만 리포지드에서는 팀 컬러를 무슨 색으로 선택하든 무조건 푸른 수정으로 나오며 이게 얼음 수정인건지 드라이아이스처럼 냉기가 풀풀 뿜어져 나온다.

폭력성 완화 옵션을 체크하면 그냥 푸른용이 되어버린다.

3.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rost_Wyrm.png
오리지널 낙스라마스 패치 때 스톰윈드 오그리마를 침공한 언데드 무리 사이에 끼여 첫 등장했으며, 이후 낙스라마스에서 사피론이 보스 몬스터로 등장했다. 이때 나온 서리고룡은 모델이 영 멋이 없다는 평을 들었다. 용의 모델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하필이면 머리가 큰 용 모델로 만들어버려서, 안 그래도 뼈만 남아 비쩍 말라 보이는데 대두로 보인다는 것. 리치 왕의 분노에서 새로 만들어진 서리고룡 모델은 멋있지만, 얼음왕관 지역 외의 지역에서 등장하는 서리고룡이나 리뉴얼된 낙스라마스의 사피론은 옛 모델을 그대로 쓰고 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투기장 5시즌부터는 검투사 보상으로 서리고룡을 준다. 얼음왕관 성채의 공개 전까지는 이것만이 유일한 서리고룡을 타는 방법이었으나, 얼음왕관의 '영예의 얼음왕관 공격대원' 업적을 달성하여도 서리고룡을 탈 수 있게 되었다.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Kasha.jpg
대격변 이후 언덕마루 구릉지의 호드 퀘스트에서는 왕을 쓰러뜨린 자 오르쿠스라는 오크 전사의 탈것 '카샤'가 등장한다. 이전까지는 악의 상징이었던 서리고룡답지 않게 매우 충직하고 하는 행동이 귀엽다.


군단에서는 죽음의 기사 전용 탈것이 되었다. 죽음군주(플레이어)가 루비 성소와 각종 용군단들을 탈탈 턴 끝에 얼음왕관 북쪽 끝에서 붉은용 키라나스트라즈의 유해를 찾아내고, 아서스가 신드라고사를 깨우듯 그를 스컬지 고룡으로 부활시켜 탈것으로 삼는다. 알렉스트라자도 이 일을 알게 되었는지 크로미의 죽음 시나리오에서 언데드가 루비 제단을 침공했다는 이야기를 한다. 냉기는 청색의 고룡, 부정은 녹색의 고룡, 혈기는 적색의 고룡을 탄다.

3.1. 서리고룡족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Chillmaw.jpg
Frostbrood. 스컬지의 하부 집단으로, 얼음왕관의 '신드라고사의 추락지'에 있던 푸른용 뼈로 만들어진 정예 서리고룡 집단이다. 기존 서리고룡과는 디자인이 조금 달라서 일반 서리고룡과는 구별할 수 있다. 보통 서리고룡(Frostwyrm)과는 다르다.

우두머리는 리치 왕이 직접 되살려냈고 최초의 서리고룡족이기도 한 신드라고사다.

새끼용과 비룡(제압자), 고룡으로 이루어져 있다. 얼음왕관 성채의 서리날개 전당에 가면 새끼용과 고룡을 볼 수 있다. 새끼용은 얼음왕관 지역에서 푸른용의 알을 아예 바꿔버려 알에서 서리고룡족이 태어나도록 해버리는 작업에 의해 생산된다.

파괴된 싸움터, 신드라고사의 추락지, 코프레타르 등 얼음왕관 곳곳에서 서리고룡족을 찾아볼 수 있다.

[1] 푸른용군단이 제일 많이 당하긴 했지만 스컬지는 다른 용군단 역시 되살려 자기 편으로 만들려고 했다. 붉은용군단을 되살린 용은 잿불고룡(Emberwyrm), 검은용군단은 용암고룡(Magmawyrm)이라 한다. 녹색용군단 만들려고 했으나 모험가의 난입으로 실패했고, 청동용군단의 스컬지 고룡은 등장하지 않았다. [2] 초당 2 [3] 생명체 갑피 업그레이드 당 +2 →최대 +7 [4] 생명체 공격 업그레이드 당 +6.5 → 최대 평균 123.5 [5] 생명체 공격 업그레이드 당 +6 → 최대 평균 107 [6] 다만 스킬창에 해당 능력이 표시 된 건물들과 달리 스킬창에는 프리징 브레스 밖에 표시되지 않는데, 이상하게 프리징 브레스의 위치가 두 번째 칸에 존재하기 때문에 아마 첫 번째 스킬창에 프로스트 어택이 들어갔지만, 개발과정에서 뭔가 잘 못돼서 보이지 않게 된듯하다. [7] 게다가 공중 공격력이 더 약하기 때문에 프웜의 공중공격은 그냥 부가적인 기능이라 생각해야 한다. 플머 체력 상향 후로는 플머도 한방에 못잡고, 애초에 공대공이 달린 모든 유닛은 동자원 동인구수에서 프웜을 이긴다. [8] 다른 종족과 비교하자면 휴먼의 클라우드는 원거리 공격만 무력화시키고, 생산 건물은 잘 돌아간다. 오크는 필리지로 적 건물을 때리면 돈을 버는 좋은 혜택이 있고 버닝 오일은 건물 수리를 막지만, 둘 다 건물의 주기능은 막지 못한다. 나이트 엘프는 그런거 없이 사나난으로 밀면 되니까 건물 무력화가 아예 없다. 굳이 따지자면 키메라의 코로시브 브레스로 마법 피해를 공성 피해로 전환이 가능하긴 하지만 어쨌든 건물 무력화와는 거리가 있다. [9] 크립트 핀드의 '웹' 사정거리가 400이다. [10] 금광테러로 터진 후 발끈러시에서 프웜으로 곰을 다 녹이고 이긴 경기 [11] 언데드가 핀드 배제하고 구울체제로 갔다면 나엘이 역으로 유리하다. 구울은 드라의 힛앤런에 농락당하는데 디스와 프웜만 남아있으면 드라가 파고들어가서 하나씩 녹인다. 그렇다고 보험으로 핀드 1-2기만 가지고 떼로 몰려오는 드라 잘 잡는것도 아니고. [12] 서리 효과를 표현한 거지만 그래픽의 한계 때문에 너무나 적절하게도 우주공간 같아 보인다. [13] 갑자기 밸런스 패치가 활발히 진행된 후에는 위에 언급된 3유닛이 모두 재발견되어 자주 쓰이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