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1:01:30

표국


1. 개요2. 표국의 주요 업무3. 매체에서의 묘사
3.1. 무협물 속의 표국3.2. 표국이 등장하는 작품

1. 개요

표국(鏢局)은 옛 중국의 운송 · 보험 · 경비 업체다. 정확한 기원은 불명확하지만 송나라 시절에 이미 시스템은 확립되어 있었고 청나라 시대에 융성했다. 표국에서 일하는 경비원을 두고 보표(保鏢), 표사(鏢師), 표객(鏢客)이라 부른다.

2. 표국의 주요 업무

표국은 "타인의 재물을 받고 그들이 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경비, 보호 업무를 받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운송업이다. 다만 표국은 꼭 표물(鏢物)이라 불리는 화물을 지키고 운송하는데만 종사한 것은 아니고, 집이나 가게를 지키는 업무도 맡아보고 있었다. 현대의 보안업체 민간군사기업과 유사한 입장이었던 것이다. 더욱이 이렇게 표국이 지키던 재물을 잃거나 손해를 보는 상황이 생기면 보상을 했는데, 이는 현대의 보험과 유사하다.

표국과 비슷한 유형의 사업은 중국에서 일찍부터 존재했지만, 그 형태가 정립된 것은 청나라 건륭제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건륭-가경 시대에 북경을 비롯한 대도시에 무사들을 중심으로 표국을 시작하였고, 이것이 흥하자 크게 성행했다고 한다. 문헌에서 전해지는 대표적인 표국은 장흑오가 연 흥륭표興隆镖局국이며, 이를 시작으로 10개의 유명한 표국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무협소설의 세계는 아니지만 역사적으로 중국은 이미 진나라-한나라 시대에 광대한 대륙이 하나의 단일한 시장을 형성하였고 이에 따른 전국적인 물류의 이동도 활발하였다. 더불어 치안도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었고, 화물은 언제나 도둑의 표적이 되었으므로 표사들은 상당한 무예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예초에 표사는 전직 군인이거나 무술문파나 가전의 무술을 익힌 이들을 위주로 고용했다.

3. 매체에서의 묘사

3.1. 무협물 속의 표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무협소설/용어
<keepall> {{{#!wiki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cdcdc, #fff 20% 80%, #dcdcdc); color: #000"
[[문파|
파일:20210614035618.png
무림의 세력
]]{{{#!wiki style="padding-top: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border-top: 1px solid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colbgcolor=#010101><colcolor=#fff,#e0e0e0> 정파
( 무림맹)
<colbgcolor=#808080,#43454d><colcolor=#fff,#e0e0e0> 무림세가 남궁세가 · 모용세가 · 사천당가 · 제갈세가 · 하북팽가 / 황보세가 · 산동악가 · 진주언가
구파일방 개방 · 소림사 · 무당파 · 아미파 · 화산파 · 곤륜파 · 종남파 · 공동파 · 점창파 · 청성파 · 해남파
정교 전진교
기타 모산파 · 형산파
사파
( 사도련)
흑도 녹림 · 장강수로채 · 하오문 · 살막
사교 마교 ( 천마신교 · 천마) · 혈교 ( 혈마) · 배교 · 밀교 · 명교 · 일월신교
기타 세력 황실 동창 · 금군 ( 금의위)
새외무림 남만 · 광풍사 · 북해빙궁 · 동영 · 해동 · 포달랍궁 · 뢰음사 · 장백파
기타 표국 · 신비세력 ( 암중세력)
문파 · 틀:무협 용어 · 틀:무공의 경지 · 분류:무협 용어 · 무공/목록 }}}}}}}}}}}}

표국
鏢局
파일:800px-平遥古城的镖局.jpg
핑야오 고성의 표국 모습
<colbgcolor=#C23352> 소속 민간
중심지 중국 전역

[clearfix]
무협소설에서도 표국은 빠질 수 없는 존재. 무협소설 내에서 묘사되는 표국은 운송업에 치중되어있는 면이 있다. 그것도 보통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수로운송이 아니라, 수레를 이용한 육로운송이 대부분이다. 사실 사설무장조직인 표국이 동원될 정도라면 상당히 중요한 물품이거나 대량의 물자일 가능성이 높다. 보통 상회나 관부에서 장거리로 물품을 옮길 때 고용하는 경우가 많다.

표국은 돈을 받고 물건을 안전하게 이송해주거나, 사람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당연히 무력이 필요하다. 고대 중국 배경의 무협소설은 치안이 당연하단듯이 개판을 자랑하고, 강도도 여느 산적나부랭이 수준이 아니라 무공까지 익혀서 덮쳐올 수 있으므로, 물품배달에도 물품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무사들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상단 같은 경우에도 이권다툼으로 인해 이런저런 뒷세계의 일이 엮이기 마련인데다가, 재산을 지킬 무력이 필요하므로 무사들을 고용하거나 직접 훈련시켜서 부린다. 이런 까닭에 표국은 상당한 보수를 요구할 수밖에 없으며, 일반적인 서민들은 경제적인 문제로 고용하지 못한다. 즉, 무협에서의 약한 이미지와 달리 검증된 실력을 지닌 이들로 구성된 고소득 업체라 보면 된다.

문파의 수익은 당연히 사업에서 나오는 이익. 단독세력인 경우는 주로 중도적인 성향을 띠나, 수장이나 조직원의 성향에 따라 상도덕을 지키는 정파적 성향을 띠기도, 닥치고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파적 성향을 띠기도 한다. 조직 목표는 이익 창출과 규모 확장이다.

대부분의 무협지에서 표국은 유명 문파의 속가이거나 그 문파의 무관에서 훈련된 인원을 고용하여 운영된다. 당연히 상납금은 내고. 대표적인 예가 왕도려의 학철오부작에서 나오는 유수련이 무당파 출신 제자로 표국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묵향》 등 일부 작품에서는 아예 문파가 조폭인 양 표국이나 상회, 전장 등을 상납금을 받아가며 보호해주든지, 아니면 아예 하부조직으로 끼는 경우도 있다.

규모가 있는 표국은 상당한 위세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지간한 무뢰한들이나 도적들은 건드리지 않는다. 나름대로 세력을 가진 산적단인 녹림들과는 사전에 합의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녹림이 양보하는 쪽이다. 보통 상호간에 싸워봐야 인원만 축나고 손해니 그냥 사전에 합의한 통행료를 지불하고 보내는 식으로 한다. 하지만 엄청난 고가의 표물의 경우에는 통행료로 만족하지 않을테니, 표국에서도 그런 표물은 보안을 철저히 하지만 결국 들켜서 싸우게 되는 스토리가 많다. 많은 무협소설의 주인공들이 일자리를 찾다가 어느 표국에서 표사/쟁자수를 뽑는다는 소문을 듣고 취직해 산적들 혹은 이름 모를 집단의 습격에서 활약하고 이름을 떨친다.

그리고 대체로 환협지의 표사들은 더럽게 약하게 묘사되며, 3류 무사들이 용돈이나 벌려고 하는 일 정도로 취급되곤 한다. 천하 몇대고수중에 녹림의 두목이 있는 경우는 흔하지만, 웬일인지 녹림의 숙적인 표국에 그런 고수가 있는건 흔치 않다. 위급한 일이 있으면 평소에 기부금 좀 내던 무림방파에 협조나 요청하는 정도.

신용이 매우 중요한 업종으로, 표물을 빼앗기거나 분실하여 신용이 떨어지게 되면 경쟁업체에게 밀려 결과적으로 문을 닫는 일도 발생한다. 절대쌍교에 나오는 쌍사표국의 경우 단씨 가문이 보내는 은자를 중간에 강탈당해 신용이 바닥을 치게 되고, 나중에는 광사철전의 습격으로 몰살당해 아예 문을 닫는다.

김한승의 악마지존 시리즈가 예외적으로 천하몇대고수에 속하는 고수도 표국에 있을 정도로 고수들이 즐비한 것으로 묘사된다. 돈받고 남의 물건 지켜주는게 직업인데 3류들로 장사가 되느냐는 논리. 무협소설《독문무공》에서는 무림 최대세력이 상회이기도 하다.[1]

3.2. 표국이 등장하는 작품


[1] 정확히는 무림맹 내규상 '문파'는 독문무공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없기 때문에 문서상으로는 상회로 분류되고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