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아시아의 체명악기 | ||
동아시아 | 목어 · 목탁 · 징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 |||
동남아시아 | 떠릉 · 공 |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 ||||
유럽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 |||
아프리카 | 마림바 · 음비라( 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 |||
아메리카 |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 |||
지역 공통 | ||||
셰이커 · 주즈하프 | ||||
막명악기 | 아시아의 막명악기 | |||
동아시아 |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
중앙아시아 | 도이라 | |||
남아시아 | 타블라 · 바얀 | |||
서아시아 | 다르부카 | |||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 ||||
유럽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 |||
아프리카 |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 |||
아메리카·오세아니아 | 쿠이카 · 랄리 · 티파 | |||
타현악기 | ||||
양금 |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 |||
피아노 | 피아노( 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 |||
이외 | 베림바우 | |||
기명악기 | ||||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
}}}}}}}}} |
|
출처: 위키피디아 |
1. 개요
[clearfix]
1. 개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Temple block [1]서양의 타악기. 악기 몸체를 쳐서 소리내기 때문에 '이디오폰( 체명악기)'으로 분류하고, 일정한 음정이 없어 무율 타악기로도 분류한다.
한국이나 중국, 일본 등의 사찰에서 승려들이 예불 등에 쓰는 목탁에서 유래한 악기다.
모양도 목탁과 거의 비슷한데, 차이점이 있다면 다섯 개의 크기가 다른 목탁들을 스탠드에 배열해 고정시킨 정도. 그리고 우드블록보다는 소리가 좀 더 부드럽고 어두우면서 강한 공명을 갖고, 유래가 유래다 보니 느리고 정적인 음악에서 동양풍의 명상과 관련된 정취를 낼 때 자주 사용된다.
연주는 우드블록과 마찬가지로 비금속 재질의 채를 양손에 잡고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현대음악에서는 특별히 오리엔탈리즘이나 불교적 색채를 내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음색의 대규모 타악기군을 운용하는 음악에서 편입시켜 연주되고 있다. 물론 윤이상이나 호소카와 토시오 같은 동양 출신 작곡가들의 경우에도 친숙한 악기라는 이미지 때문인지 자주 활용하는 듯.
흔치 않기는 하지만 간혹 재즈 등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드러머들의 경우 악세사리 악기로 드럼 세트에 배치해 연주하기도 하며, 특히 동양 음악에서 영향을 받은 뮤지션들이 종종 중용한다.
아래는 과거 재즈시대에 드럼( 트랩셋)에 고정시켜놓고 사용하는 모습이다. 차이니즈 템플블록(Chinese Temple blocks) 이라고 하기도 한다.
차이니스 템플블록 연주 영상 |
유희왕에는 본 템플 블록이라는 카드가 있다.
[1]
독일어로는 Tempelblock이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