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아시아의 체명악기 | ||
동아시아 | 목어 · 목탁 · 박 · 징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 |||
동남아시아 | 떠릉 · 공 |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 ||||
유럽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슬레이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 |||
아프리카 | 마림바 · 음비라( 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 |||
아메리카 |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 |||
지역 공통 | ||||
셰이커 · 주즈하프 | ||||
막명악기 | 아시아의 막명악기 | |||
동아시아 |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
중앙아시아 | 도이라 | |||
남아시아 | 타블라 · 바얀 | |||
서아시아 | 다르부카 | |||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 ||||
유럽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 |||
아프리카 |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 |||
아메리카·오세아니아 | 쿠이카 · 랄리 · 티파 | |||
타현악기 | ||||
양금 |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 |||
피아노 | 피아노( 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 |||
이외 | 베림바우 | |||
기명악기 | ||||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
}}}}}}}}} |
사진 출처 :
위키피디아
영어 | Cowbell |
독일어 | Kuhglocken / Herdenglocken / Almglocken |
프랑스어 | Cencerro / Cloche de vache |
이탈리아어 | Campanaccio |
1. 개요
서양의 타악기. 악기 전체가 진동해 소리가 나기 때문에 '이디오폰( 체명악기)'으로 분류된다. 본래 유율 타악기였으나, 정확한 음정이 나지 않는 무율 타악기로 개량되었다. 현재는 무율 타악기 쪽이 더 인지도가 높아 유율 카우벨은 Almglocken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구분하는 중. 일반 카우벨과 Almglocken을 비교하는 영상.2. 상세
한국어로 직역하면 워낭이나 소방울인데, 실제로 인간이 동물들을 방목할 때부터 가축들의 위치 파악을 위해 목에 매달던 신호용 방울에서 파생된 악기다. 서양에서 보편화된 카우벨은 유럽, 특히 알프스 인근의 목장들에서 소들의 목에 매달던 방울에서 유래했다.[1] 이때까지는 소 각각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유율 타악기로 만들어 소마다 다른 음고의 카우벨을 걸었다.이것이 악기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는데, 오스트리아 출신 작곡가인 구스타프 말러가 자신의 6번 교향곡에서 등장시킨 것을 시초로 보고 있다. 이후 후속작인 7번에서도 나왔고, 말러의 라이벌이었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도 알프스 등산 경험을 살려 작곡한 알프스 교향곡의 전원 묘사 장면에 등장시켰다.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악기 회사들에서 제작하는 양산형 악기들은 무율 타악기로 개량되면서 다소 축소되고 미끈한 사다리꼴 모양이 되었다. 또한 벨 속에 딸랑이(clapper)를 뺀 버전도 나오면서, 딸랑이 없는 무율 카우벨과 딸랑이 유무가 갈리는 유율 카우벨, 이렇게 세 종류로 분화되었다.
유율 카우벨의 경우 딸랑이 있는 것은 주로 손잡이를 들고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데, 위에 열거한 말러와 슈트라우스의 작품 연주에 자주 쓰인다.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딸랑이 없는 유율 카우벨의 경우, 대체로 여러 규격의 카우벨을 스탠드에 매달아놓고 편종처럼 쳐서 연주하며, 메시앙이나 진은숙을 비롯한 많은 현대 작곡가의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다.[2]
이제는 더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사다리꼴 형태의 카우벨은 라틴 음악에서 리듬 악기로 많이 쓰는데, 주로 여러 가지 채로 겉을 쳐서 소리낸다. 대표적으로 Phonk의 카우벨도 이런 형식이다. 간혹 벨 속에 펠트채나 드럼스틱을 넣어 쳐서 딸랑이를 넣은 것과 비슷한 효과를 주기도 한다. 브라질 삼바 음악에서 쓰는 '아고고(Agogô)' 라는 타악기도 넓게 보면 이 종류의 카우벨로 볼 수 있다. 다만 아고고의 경우 유럽이 아닌, 아프리카 지역의 소방울에서 유래한 악기인 점이 큰 차이점. 외관도 원뿔형 금속관 두 개를 붙여놓은 식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phonk와 합쳐지는 듯한 추세를 보인다.
복잡한 구성의 드럼 세트에 배합해서 연주하기도 하고,[3]
카우벨-트랩셋 소개 영상. ( 영어) |
드럼머신 TR-808의 카우벨 소리는 미국의 힙합 장르 중에서도 서부와 동부에 밀려 지역 음악에 머물러 있었고 재정적으로도 어려웠던 남부 힙합 뮤지션들이 사용하기 시작해 멤피스 랩과 G-funk, 마이애미 베이스, 뉴올리언스 바운스, 요즘에는 Phonk에서도 쓰인다.
연주 방법에 따라 목탁소리처럼 들리는 경우도 있다.
[1]
소나 소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에게서 간혹 볼 수 있는, 목에 걸고 있는 작은 종이나 방울이 바로 이것.
[2]
진은숙의 작품 <구갈론>의 3악장 초반에 카우벨 솔로 파트가 있어 잘 확인할 수 있다.
#
[3]
드럼셋에 카우벨을 장착해 함께 연주한 것은 1910년
재즈시대 부터였다. 이후 록과 메탈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레드 제플린의
Good Times Bad Times,
롤링 스톤스의
Honky Tonk Women,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Readymade 등의 노래에서 록 드럼 연주에 쓰이는 카우벨의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