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16:12:17

스네어드럼


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아시아의 체명악기
동아시아 목어 · 목탁 ·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동남아시아 떠릉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유럽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아프리카 마림바 · 음비라( 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아메리카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지역 공통
셰이커 · 주즈하프
막명​악기 아시아의 막명악기
동아시아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중앙아시아 도이라
남아시아 타블라 · 바얀
서아시아 다르부카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유럽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아프리카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쿠이카 · 랄리 · 티파
타현악기
양금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피아노( 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기명악기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1. 개요2. 구조3. 규격별 차이4. 재질5. 연주법6. 활용7. 관련 문서


파일:스네어드럼.jpg
영어 Snare Drum, Side Drum
독일어 Kleine Trommel
프랑스어 Caisse claire
이탈리아어 Tamburo piccolo, Rullante

1. 개요

서양의 타악기 중 하나. 공명통 양 쪽에 가죽 혹은 플라스틱막을 씌우고 채로 쳐서 연주하므로 '멤브라노폰(막명악기)' 에 속하고, 일정한 음정이 없으므로 무율 타악기로 분류된다. 한국어로는 흔히 '작은북' 이라고 하고, 북한에서도 작은북 혹은 소고라고 표기한다.

2. 구조

다른 서양 북들과 가장 큰 차이점은 양면 북임에도 치는 면은 일반적으로 한 쪽에 국한된다는 것이다. 채로 치는 면은 영어로 탑 헤드(top head)라고 하고, 반대편 면은 바텀 헤드(bottom head)라 하며, 이 바텀 헤드에는 스내어(snare)[1]라는 이름의 가는 줄들이 북면을 가로질러 한묶음 걸려 있다. 초기에는 동물의 창자 조직으로 만드는 거트(gut) 재질이었다가 20세기 이후의 금속제로까지 개량되었다.

북면 옆에는 스내어를 조작하기 위한 스트레이너[2]가 붙어 있는데, 이것으로 스네어를 바텀 헤드에 떼거나 붙일 수 있다. 흔히 듣는 스네어드럼 소리는 스내어를 붙이고 쳐서 내는 소린데, 북면을 칠 때의 진동이 스내어에까지 전해져 같이 떨리기 때문에 특유의 착 착거리는 소리가 나온다. 떼고 치면 중간 크기의 톰톰같은 뚱 하는 약간 둔탁한 소리가 나고, 스내어의 탈착 지시를 할 경우에는 별도로 악보에 기입해야 한다.[3]

치는 채는 흔히 목제 드럼스틱을 쓰는데, 재즈 등에서는 특히 느리고 조용한 발라드 계통 곡을 연주할 때 빗자루 모양의 와이어브러시를 쓰기도 한다. 와이어브러시로 잔잔하게 반주하는 소리 들어보기 들어보면 땅땅거리는 일반적인 소리 대신 삭삭거리는 소리가 나는데, 실제로도 빗자루를 쓸듯이 연주하기 때문이다. 브러시 말렛의 연주 특징 중 하나. 곡에 따라서는 팀파니처럼 펠트채나 고무채 등 여러 종류의 스틱도 사용된다.

북면은 동물 가죽, 통은 나무로 만들곤 했지만, 2차대전 이후로는 북면에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북통은 나무 뿐만 아니라 금속제로 만들기도 하며, 림 역시 마찬가지로 금속, 나무[4] 두가지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나무통 스네어는 울림이 부드럽고 소리가 둥글며 금속제 스네어는 울림이 날카롭고 소리가 날카롭다. 아직은 마이너하지만 아크릴로도 만든다. 특이하기도 하거니와 일단 관리가 쉽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므로 만드는 업체가 의외로 많다. 자세한 재질에 대한 설명은 아래 참고.

3. 규격별 차이

인치와 깊이 역시 종류별로 다르다. 인치가 좁을수록 피치가 높고 볼륨이 작아지며, 깊이가 깊을수록 울림이 더 커진다. 보통 14인치의 스네어를 주로, 더 작은 스네어는 서브 스네어[5]로 쓰는 경향이 크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지만. 깊이는 펑크(Funk), 재즈 등에서는 주로 깊이가 낮은 스네어를 쓰며, , 헤비메탈 등에서는 통이 깊은 스네어를 쓰지만 극단적인 익스트림 메탈에서는 오히려 깊이가 낮은 스네어를 쓴다. 또한 그라인드코어, 고어그라인드, 블랙 메탈등에서는 블래스트비트시 과격한 사운드를 얻기 위해 스네어를 깡통소리가 날 정도로 조이기도 한다. 트랩이나 덥스텝같은 클럽음악에선 매우 타이트하게 튜닝된 스네어가 대세.

4. 재질

나무 계통은 금속 계열에 비해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편.
금속 계통은 나무 계통에 비해 일반적으로 어택이 강한 편.
이외의 재질
사실 하드웨어만 잘 갖추어진다면 웬만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탄소섬유, 티타늄, 콘크리트, 골판지(이쪽은 드럼 세트를 만들었다), PVC 파이프 심지어는 레고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얼음으로도 만든다.

5. 연주법

연주법은 다른 북 종류와 마찬가지로 단타부터 트레몰로(혹은 롤,트릴) 주법까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장례 행렬이나 그와 관련된 음악을 연주할 경우, 배터에 헝겊조각을 올려놓거나 배터 전체를 헝겊으로 싸서 약음(mute)시켜 연주하는 것이 관례다. 외에도 애초에 타악기다보니 치는 대로 다 다른 소리가 나기 때문에[6] 림만 치거나, 림이랑 면을 같이 때리거나[7] 스틱을 면에 올린 채로 림을 때리는 크로스스틱(사이드스틱,rim knocks)[8] 등 다양한 연주가 가능하다.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여타 악기들과 마찬가지로 진취적인 드러머나 퍼커셔니스트, 작곡가들에 의해 온갖 새로운 형태의 연주법이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다. 가령 흔히 치는 탑 헤드가 아닌 바텀 헤드로 북을 뒤집어놓고 친다던가, 바텀 헤드의 스내피를 손가락이나 북채로 문지른다거나, 스틱이 아닌 팔꿈치나 손바닥, 주먹으로 치거나, 탑 헤드에 동전이나 못 등을 올려놓고 치거나, 한손으로 롤을 하거나[9] 등등.

6. 활용

관현악부터 대중음악에 이르기까지 매우 보편화되어 있는 악기고, 특히 드럼 세트에서 빠지면 안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0][11] 정확히 말해 드럼 세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드러머 자체의 특유의 톤은 스네어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이 상당히 커서, 드럼 세트가 없는 드러머라도 자신의 스네어는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드럼에 설치할 경우 흔히 하이햇 심벌즈의 오른쪽, 그러니까 드러머 가랑이 사이에 오게 놓는다. 이 세팅은 거의 필수이며 하이햇의 왼쪽, 혹은 마음에 드는 곳에 몇개를 더 놓기도 한다.

그리고 군악대 같이 행진하며 연주하는 취주악단의 경우에는 의장 행사에서 스네어드럼 주자를 최대 10~20명까지 기용해 대열의 맨 앞에 놓고 행진하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연주자가 아닌 입장에서는 그냥 대중음악 전반에 통용되는 비트인 쿵치따치 중 "따"를 생각하면 된다.[12] 변칙적인 드럼 루프가 아닌 기본적인 드럼 루프에서는 한 마디에 보통 스네어를 두 번, 통상적으로 4/4기준 2박, 4박에 친다.

7. 관련 문서


[1] 사실 본래 명칭은 스네어가 맞다. '스네어'가 달려있는 드럼이라 '스네어'드럼인 것. 물론 이와 별개로 스내피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인다. [2] 반대편에 스네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금속 부품인 버트가 있다. [3] 영어로는 snare on/off, 독일어로는 mit/ohne Schnarrsaite 등등. [4] 나무 림은 강도가 약해서 림샷이나 크로스 스틱에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5] 보통 이런 작은 인치의 스네어(일반적으로 14×4 미만의 사이즈)는 서브 스네어라고 부른다. [6] 내공은 있지만 돈이 없는 몇 드러머들의 꼼수인데, 스네어의 가운데 쪽이 아닌 림과 가까운 쪽의 헤드를 때리면 통이 더 깊은 스네어의 소리와 비슷해진다. [7] 전자를 클로즈드 림샷(closed rim-shot), 후자를 오픈 림샷(open rim-shot)이라고 한다. 오픈 림샷의 경우, 평범하게 헤드만 때렸을 때보다 소리가 단단해지고 훨씬 커지며 울림 또한 깊어진다. 진짜로 땅! 하고 소리가 난다. 스틱 조기사망의 주범이다. [8] '딱딱' 거리는 높고 경쾌한 소리가 난다. 잔잔한 비트에서 주로 사용. [9] 원 핸드 롤, 혹은 그래비티 블래스트. 전자는 재즈, 후자는 메탈에서 쓰이는 용어다. 둘 다 싱글 롤로 거의 같은 소리를 내는 방식인데, 같은 주법이다. 그래비티 블래스트는 투베이스를 넣어서 소리를 가득 채울 뿐 동일한 방식이다. 데릭 로디의 비디오에서 그래비티 블래스트 예시를 위해 조니 랩을 초청해 보여주기도 하는 등. [10] 드럼 세트의 가장 기초적인 구성 요소로 베이스드럼, 스네어드럼, 하이햇 심벌을 꼽는다. 외국에선 이런 최소한의 형태를 통틀어 Kick, Snare, Hat이라 칭하는 편. 실제로 휴대용 트래블러 드럼 킷들을 보면 하이햇, 스네어, 베이스드럼만 딱 달려있다. [11] 그리고 드러머들은 외부 드럼을 쓸 때도, 스네어와 심벌들은 웬만하면 자기 개인 장비를 들고 온다. [12] 나머지 "쿵"과 "치"는 각각 베이스 드럼 하이햇 심벌로, 가장 기초적인 8비트 진행을 입으로 표현한게 '쿵치따치' 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