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5:05:03

타이베이역

타이베이 중앙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타오위안 공항 첩운의 역에 대한 내용은 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이베이 권역의 대중교통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시철도 파일:타이페이 첩운 로고.svg 타이베이 첩운 파일:타오위안 대중첩운 주식회사 로고.svg 타오위안 첩운 파일:ntmetro.png 신베이 첩운
주요 역 타이베이역 난강역 반차오역 타오위안역(TRA) ・ 타오위안역(THSR)
시내버스 타이베이 버스 신베이 버스 지룽 버스 타오위안 버스
주요 버스 터미널 타이베이 버스 터미널, 타이베이 시정부 버스 터미널
공항 타오위안 공항 쑹산 공항
교통카드 이지카드 아이패스 아이캐시
}}} ||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타이완 고속철로 주식회사
난강 방면
난 강
← 9.2 km
쭤잉 방면
반차오
7.2 km →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타이완철로유한회사
타이베이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타이베이 첩운
타이베이역
단수이 방면
중 산
← 0.8 km
샹산 방면
타이완대학병원
0.5 km →
딩푸 방면
시 먼
← km
난강전람관 방면
산다오사
km →
파일:타오위안 공항 첩운 로고.svg 타오위안 공항 첩운으로 갈아타기
주소
공통: 타이베이시 중정구 (台北市中正區)
고속철도 베이핑시루 3호
北平西路3號
종관선
첩운 중샤오시루1가 49호
忠孝西路一段49號
다국어 표기
관습표기(번체) 臺北車站
간체자 台北车站
한어병음 tái běi chē zhàn
주음부호 ㄊㄞˊ ㄅㄟˇ ㄔㄜ ㄓㄢˋ
개업일
타이완 고속철도 2007년 3월 2일
종관선 1893년 7월 5일
단수이신이선 1997년 12월 25일
반난선 1999년 12월 24일
승강장 구조
복선 쌍섬식 승강장 (타이완 고속철도, 종관선)
복선 섬식 승강장 (단수이신이선, 반난선)
노선거리표
(기점)
← 5.9 km[1]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베이
쭤잉 방면
반차오
7.2 km →
지룽 방면
쑹 산
← 6.4 km
종관선
타이베이
가오슝 방면
완 화
2.8 km →
단수이 방면
중 산
← 0.8 km
단수이선
타이베이역
중정기념당 방면
타이완대학병원
0.5 km →
시먼 방면
시 먼
← km
난강선
타이베이역
난강전람관 방면
산다오사
km →
파일:TRA_Taipei_Station.jpg
타이베이역 역사 모습

1. 개요2. 역 정보3. 노선
3.1. 타이완 고속철도3.2. 타이완철로유한회사3.3. 타이베이 첩운
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
5.1. 연계 교통
6. 시간표7. 일평균 이용객

[clearfix]

1. 개요

대만 타이베이시 중정구에 위치한 역으로,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완철로유한회사, 타이베이 MRT의 노선이 정차한다.

2. 역 정보

타이베이 구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한 역으로 대만 철도교통의 중심이다. 타이베이역은 1891년 7월 5일, 종관선 개통과 함께 개업했다.

1891년 개통 당시 타이베이역은 현재 위치가 아니라 현재의 다퉁구 다다오청(大稻埕)이라는 지역에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베이먼역 3번 출구에 위치한 타이베이시립연합병원(台北市立聯合醫院) 자리에 있었다. 당시 타이베이역은 단수이허(淡水河) 수운과의 연락을 위해 두단식 승강장 구조를 취하고 있었으며, 여기서 지룽역 방향과 신주역 방향이 모두 역 동남쪽으로 향한 구조였다.

그러나 얼마 못가 대만이 일본 영토가 되고 일본이 종관선을 전면 개량하면서 타이베이 - 신주 구간의 경로를 대폭 변경했고, 지룽역 방면과 신주역 방면의 직통이 가능하도록 타이베이역의 위치를 1901년에 현재 자리로 옮겨버렸다. 기존 타이베이역은 다다오청(大稻埕, Tuā-tiū-tiânn/ Daitotei)으로 이름을 바꾸고 화물역으로만 기능하다가 1937년에 타이베이역 인근의 신규 화물역인 화산(華山)역[2]이 개통하면서 폐지되었다. 타이베이역 인근에는 대규모 차량기지와 철도공장이 마련되어 대만 철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대만의 성장과 함께 타이베이도 급격히 발전하면서 타이베이를 관통하는 철도 노선은 타이베이 개발과 교통 흐름에 큰 장애가 되었다. 이에 따라 1980년대부터 타이베이 철도 지하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눈여겨볼 것은 지하화 대상이 지하철 선로가 아닌 타이베이를 지나는 일반철도의 전 구간 선로였다는 점이다. 1989년 9월 2일에 지하화 프로젝트 1단계 종료와 함께 현재의 타이베이역(台北車站/Taipei Main Station) 영업이 개시됐다. 이 때 지상에 있는 철도공장과 차량기지 부지는 정리되었고 화산역도 폐지되었다.[3] 아울러 이 프로젝트와 MRT 공사를 통해 본래 일반철도였던 단수이선 타이베이 MRT 단수이신이선의 일부 구간이 되었다.

타이베이역은 넓은 광장 가운데 직육면체를 이룬 거대한 건물로 그 위용이 대단한데, 막상 역의 주 업무는 지상 1층의 주매표소를 제외하면 모두 지하에서 이루어진다.[4] 지상역사는 대부분 타이완철로유한회사 본부로 사용되며, 1~2층에는 각종 상업시설과 레스토랑이 입점해 있다.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완철로유한회사, 타이베이 첩운를 합친 타이베이역의 하루 승하차 인원은 52만여 명( 2016년 기준)[5]에 달하는데, 비슷한 인구를 가진 대구광역시[6] 동대구역의 일반철도+지하철 이용객을 합쳐도 약 10만명 수준이고 서울역의 모든 노선 승하차 인원과 비교해도 압도적이다. 승차인원만 따져도 세계 20위권 안에 드는 매우 바쁜 역.

일반철도 하나만 놓고 봐도 타이중역, 타이난역, 가오슝역 세 개역이 처리하는 승하차 인원 수를 합해야 겨우 타이베이역의 승하차 인원 수를 넘어설 정도다. 더구나 타이베이 도시권의 수요를 반차오역 쑹산역, 난강역이 분담하고 있는데, 이 역들 또한 승하차 인원 수 5~10위 안에 들어갈 정도로 타 역으로 수요를 분산하고도 일반열차 하나만으로도 다른 역들을 압도할 정도로 수요가 많다. 하루 승차인원 수백만 명을 당연하다는 듯 기록하는 일본 대도시의 역들을 제외하면 타이베이역은 파리 북역 다음으로 승차 인원이 가장 많은 역 중 하나이다.

타이베이역 대합실은 어마어마한 규모를 자랑하지만, 정작 벤치나 앉아있을 곳이 없어 사람들이 대합실 바닥에 옹기종기 앉아있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원래는 대합실 중앙에 큰 매표소가 있었고 다른 역들처럼 매표소 앞에 평범한 의자들이 있었는데 표를 사지도 않으면서 의자를 장시간 점유하는 사례들이 많았다. 한국의 큰 기차역도 그렇듯 타이베이역에도 노숙자가 많기 때문이다. 결국 2010년 역사 리모델링시 매표소를 사이드로 옮기면서 의자도 없애버렸다. 이 공간에 팝업스토어나 임시 공연무대 등을 설치하는 빈도가 많아지는 추세. 대신 지하에 위치한 운임구역으로 넘어가는 순간부터는 벤치가 많아진다.



대만 철도역 중 유일하게 플랩 안내판이 존재했던 역이다. 동영상 ①, 동영상 ② 지상 1층 주매표소에 있던 대형 플랩 안내판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통용병음, 한어병음이 혼재된, 그리고 열차 지연을 300분까지 표시할 수 있는 안내판이었다. 그러나 역사 리모델링을 거치면서 이 플랩 안내판은 LED로 교체됐고, 더는 플랩 안내판을 볼 수 없게 됐다. 현재 타이베이역의 플랩 안내판은 역사 곳곳에 극히 일부만 남아 있으며 이마저도 2024년 1월에 철거를 시작했다. 철거 후 LED 안내판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타이완철로유한회사의 기념품샵이 있다. 臺鐵夢工場이라고 불리는 일반철도 기념품 가게는 지상 1층 대합실 서3문(西3門) 입구 바로 옆에 있다. 타로코호에 헬로키티 도장 열차가 도입되면서 헬로키티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다른 역의 기념품샵은 타이완철로유한회사 문서 참고. 온라인 몰 역 지하에 타이베이첩운상품관은 관광객들이 자주 들르는 곳이었으나 2022년 초 영업을 종료하였다.

타이베이역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네이버 코레일 공식 블로그에 있는 이 게시글을 참고하면 된다. 대만 신문이나 뉴스에서는 거의 대부분 北車라고 줄여 표기한다.

3. 노선

3.1. 타이완 고속철도

쌍섬식 승강장으로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위치한다. 당초 TRA에서 사용하던 플랫폼을 전용하였으며, TRA 역과 기둥을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다. TRA 승강장의 남쪽에 위치한다.

인상선이 충분하지 않아 상하행 합쳐 1시간에 10편 이상 열차를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회차용량이 상당히 빡빡할 뿐만 아니라, 고속철도 승강장 자체가 TRA 승강장 일부를 전용해 만들었기에 이용객수에 비해 매우 좁아 혼잡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난강역까지 연장되었다.

2016년부터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가동하고 있다. 고속철도 역 중에서는 유일.

3.2. 타이완철로유한회사

쌍섬식 승강장으로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위치한다. 통과선이 1선 존재한다. THSR 승강장의 북쪽에 위치한다.

운영되는 노선은 가오슝 방향의 서부간선, 화롄 및 타이둥 방향의 동부간선을 운행하는 쯔창하오, 타로코호, 푸유마호, 쥐광하오 등의 특급열차가 있으며, 그 외에 지롱 및 신주, 자이 등으로 향하는 구간차가 시간 당 4~6회 정도 운행한다. O자형 간선으로 이루어진 대만철도의 특성과 함께 타이베이역 용량 문제로 관광열차나 임시열차를 제외하면 타이베이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거의 없다시피하며 현재는 타이베이역발 타이베이역착으로 대만섬을 순환하는 쥐광 1, 2호[7]로 관광열차 편성이 남아있다. 참고로 이 쥐광호는 입석이 없는 전석 지정석이라 학생용 TR패스로는 이용이 불가능하니 주의바람.

타이베이역에 각종 철도시설들이 있을 때도 이 곳을 종착하는 열차보다는 서부간선의 경우 쑹산역에서 종착하고 동부간선의 경우 반차오역[8]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대부분이었다. 현재는 특급열차 기준으로 가오슝, 타이중방면에서 오는 서부간선은 치두역, 타이동, 화롄방면에서 오는 동부간선은 수린역이 종착지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3.3. 타이베이 첩운

파일:attachment/dfadfadfa.png

첩운 타이베이역은 서울 지하철 서울역의 역명과 같은 이치로 '타이베이역'이 정식 역명이다. 고속열차와 일반열차 역에서는 역명을 '타이베이'라고만 표기하지만, 첩운역에서는 역명을 '타이베이역'으로 표기하고 있다. 고로 '타이베이 기차역 앞에 있는 첩운역'이라는 의미. 영어 명칭은 Taipei Main Station.

반난선은 지하 3층에 승강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단수이신이선은 지하 4층에 승강장이 위치한다. 단수이신이선 역사는 타이베이역 지하화와 함께 미리 만들어놨다.

4. 승강장

4.1. 타이완 고속철도, 종관선

쑹산 난강
4B 4A 3B 3A 2B 2A 1B 1A
완화 반차오
1A·1B 타이완 고속철도 신주· 타이중· 타이난· 쭤잉 방면
2A·2B 난강 방면
3A·3B 서부간선 타이중· 가오슝 방면
4A·4B 서부간선, 동부간선 지룽 방면 / 타이둥 방면

두 쌍섬식 승강장 사이에 대피선이 1개가 있는 구조다.

4.2.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중산
2 1
타이완대학병원
1 파일: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중산· 민취안시루· 베이터우· 단수이 방면
2 중정기념당· 둥먼· 다안· 샹산 방면

4.3.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

산다오사
4 3
시먼
3 파일:타이베이 첩운 반난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 중샤오신성· 중샤오푸싱· 난강전람관 방면
4 시먼· 반차오· 딩푸 방면

5. 역 주변 정보

파일:external/cg2010studio.files.wordpress.com/e58fb0e58c97e8bb8ae7ab99e7ab8be9ab94e5b08ee8a6bde59c96.png
타이베이역 역사 안내도.

타이베이역 주변은 MRT 타이베이역뿐만 아니라, 공항철도역, 종합버스터미널 신광싼웨(新光三越)백화점, Q Square(京站時尚廣場), 여러 쇼핑몰과 타이베이시티몰, 중산지하상가 등 여러 지하상가가 얽혀 있어 초행인 경우 길을 헤매기 십상이다. 급기야 2018년 3월 시청에서 Taipei Main Station이라는 앱을 만들어 배포하기에 이른다...

게다가 대만 전역과 해외를 연결하는 교통망[9]이 모두 모이는 지점이기에 춘절과 같은 연휴만 되면 푸드코트에서 밥 먹기도 어려울 만큼 혼잡도가 높다. 서울역 앞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터미널, 서울남부터미널까지 모여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공항철도를 이용해서 이 쪽으로는 오는 승객들이 많은 특성상 캐리어를 끌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은데, 맞은 편으로 건너갈만한 횡단보도 찾기가 매우 어려운데다 막상 역 맞은편으로 나가는 출구 쪽에는 에스컬레이터조차 매우 적다. 역 남쪽 맞은 편으로 갈 경우에는 M8번 출구를 이용하거나 아예 1층으로 나와서 미츠코시 백화점 쪽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게 좋다. 나머지 출구는 에스컬레이터가 아예 없다. 역 북쪽 맞은편으로 갈 경우에는 Q Square(京站) 방면으로 이동해서 해당 쇼핑몰에 설치된 출구를 통해서 나와야 한다. 공항철도역에서 바로 나오는 경우 연결통로와 이어진 지하상가 출구를 이용하는 것이 편한데 역 남쪽은 K12번 출구로 나와 횡단보도를 이용하고, 역 북쪽은 Y13번 출구를 이용하면 된다.

타이베이시티몰이라고 불리는 지하상가 Y 구역은 대만의 아키하바라라고 손색없을 정도로 오덕의 성지로 유명하다. 콘솔 게임매장 및 완구점과 피규어샵, 에어소프트건 상점, 게임센터 등이 있지만 일본에 비해 단종 제품 취급 비율이나 전체 매장 규모가 작다. 단종 제품보다 국내 미수입 아이템을 구하는 것에 의의를 두는 것이 좋다. #

역 북동쪽에 쑨원이 1913년 투숙했던 국부사적관이 있다. 일부러 갈만한 곳은 아니지만 애매하게 시간이 남을 때 방문하기에 괜찮다. 오후 5시까지만 개방하니 방문시 참고하면 좋다.

5.1. 연계 교통

藍1번 버스가 이 역을 시종점 혹은 경유하는 유일한 첩운연계버스로 이 역을 출발 싼충과 루저우 방면으로 운행하여 루저우역에서 종착한다.

역 북문 맞은편에 타이베이역 버스터미널(臺北轉運站)이 있다. 부천터미널이나 동대구터미널처럼 실내에 승강장이 있으며 Q Square(京站) 쇼핑몰이 터미널과 같은 건물에 들어가 있다. 이 자리에는 원래 젠청중학교(建成國中)가 위치해 있었다.

과거에는 역 서쪽에 타이베이서부터미널(臺北西站)이 있었는데 이 곳에서 탑승하던 1819번 공항 버스는 동문 옆 국광객운 터미널에서 탑승한다. 서부터미널의 대부분 노선은 버스터미널로 들어갔으나 B동에서 출발하던 일부노선은 타이베이역 동문에 위치한 국광객운 터미널과 북문 바로 앞에 위치한 노상정류장에서 출발한다.

6. 시간표

2023년 기준 시간표

7.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B5426><bgcolor=#DB5426> 연도 ||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bgcolor=#DB5426>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0년~2006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80 미개통 107,648
1981 105,944
1982 107,360
1983 106,018
1984 107,204
1985 108,580
1986 107,685
1987 104,758
1988 101,871
1989 101,311
1990 107,388
1991 108,184
1992 109,016
1993 115,199
1994 115,784
1995 113,299
1996 99,948
1997년 106,559
1998년 113,387
1999년 133,182
2000년 160,135
2001년 131,305
2002년 118,020
2003년 104,447
2004년 110,893
2005년 110,165
2006년 110,216 }}}}}}}}}
2007년 26,789 103,996
2008년 49,373 108,621
2009년 52,313 115,232
2010년 58,984 121,309
2011년 66,473 129,690
2012년 69,100 133,427
2013년 72,775 135,966
2014년 74,397 138,465
2015년 77,932 129,532
2016년 81,895 127,062
2017년 80,660 125,850
2018년 83,296 120,760
2019년 86,556 122,241
2020년 72,287 101,314
2021년 53,674
출처
고속철도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대만철로통계연보

타이베이 첩운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55,326명 51,608명 97,063명 174,949명 - 179,093명 176,195명 194,996명 202,647명 209,904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29,760명 256,747명 263,837명 289,284명 310,899명 313,276명 312,507명 320,162명 309,708명 314,109명
2017년 2018년
315,033명 316,363명


[1] 실제 기점은 난강역이지만, 노선거리표 상에서는 타이베이역에서 조금 더 나간곳에서 노선이 끊기고 별도의 지선으로 난강역에 연장되는 형태이다. 이는 난강역이 원래 차량기지 부속역에서 정식 종착역으로 변경되어 그렇다. [2] 개통 당시에는 樺山이라고 표기했다. [3] 당시 역사는 린썬북로에 남아있으나 제대로 보존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4] 타이완철로유한회사 매표소는 타이베이 MRT 연결통로 부근에도 있다. [5] 일반열차: 12만 7천명, 첩운: 31만 4천명(2018년 3월), 고속철도: 8만 2천명. 출처 [6] 다만 타이베이의 경우 행정구역만 나뉘었을 뿐 사실상 같은 도시인 신베이시 인구마저 합치면 6백만이 넘어서 대구광역시는 커녕 부산광역시보다도 커진다는 것을 감안하자. [7] 1호가 06:10 발 19:52 착 반차오 방향 내선순환, 2호가 08:10 발 21:40 착 자오시 방향 외선순환이다. [8] 현재의 위치가 아니라 반난선 푸중역 위치에 있었다. [9]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버스 및 타오위안 공항 첩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