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 |
문서가 존재하는 V1 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등급별 ] {{{#!wiki style="margin: -6px -5px -11px" |
일반 [[블랙 코튼 V1|
블랙 코튼 V1 ]][[썬더 버스트 V1|
썬더 버스트 V1 ]][[마라톤 V1|
마라톤 V1 ]][[세이버 V1|
세이버 V1 ]]레어 [[아이언 솔리드 V1|
아이언 솔리드 V1 ]][[비트 V1|
비트 V1 ]][[파이어 마라톤 V1|
파이어 마라톤 V1 ]][[나이트 세이버 V1|
나이트 세이버 V1 ]][[크롬 버스트 V1|
크롬 버스트 V1 ]][[폭스 V1|
폭스 V1 ]][[검은 케라우노스 V1|
검은 케라우노스 V1 ]]레전드 스페셜 [[로티 범퍼카 V1|
로티 범퍼카 V1 ]][[달구지 V1|
달구지 V1 ]][[Liiv SANDBOX V1 W3|
LSB V1 W3 [A]]][[드리프트 V1|
드리프트 V1 ]][[몰리(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몰리 ]][[경찰차 V1|
경찰차 V1 ]][[소닉 V1|
소닉 V1 ]][[너클즈 V1|
너클즈 V1 ]][[슈퍼 소닉 V1|
슈퍼 소닉 V1 ]][[L4HC V1|
L4HC V1 ]][[BLADES V1 W4|
BLADES V1 W4 ]][[진라면 매운맛 V1|
진라면 매운맛 V1 ]][[데몬플레임 V1|
데몬플레임 V1 ]][[Liiv SANDBOX V1 W4|
LSB V1 W4 [B]]] |
모든 카트바디는 출시순으로 나열되었습니다.
|
|
카트바디명 - 기간 한정으로 판매했던 카트바디.카트바디명 - PC방에서 사용 가능했던 카트바디.[A] Liiv SANDBOX V1 W3 [B] Liiv SANDBOX V1 W4
|
- [ 익시드 타입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L+타입
L타입
[[코튼 V1|코튼 V1]][[솔리드 V1|솔리드 V1]][[비트 V1|비트 V1]][[Liiv SANDBOX V1 W3|LSB V1 W3[A]]][[검은 케라우노스 V1|검은 케라우노스 V1]][[어벤저 V1|어벤저 V1]][[경찰차 V1|경찰차 V1]][[너클즈 V1|너클즈 V1]][[L4HC V1|L4HC V1]][[진라면 매운맛 V1|진라면 매운맛 V1]][[데몬플레임 V1|데몬플레임 V1]]
B타입
[[세이버 V1|세이버 V1]][[나이트 세이버 V1|나이트 세이버 V1]][[폭스 V1|폭스 V1]][[드리프트 V1|드리프트 V1]][[BLADES V1 W4|BLADES V1 W4]]
S타입
[[버스트 V1|버스트 V1]][[산군 V1|산군 V1]][[로티 범퍼카 V1|로티 범퍼카 V1]][[달구지 V1|달구지 V1]][[크롬 버스트 V1|크롬 버스트 V1]][[몰리(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몰리]][[소닉 V1|소닉 V1]][[슈퍼 소닉 V1|슈퍼 소닉 V1]][[Liiv SANDBOX V1 W4|LSB V1 W4[B]]]
C타입
||모든 카트바디는 출시순으로 나열되었습니다.카트바디명- 기간 한정으로 판매했던 카트바디.카트바디명- PC방에서 사용 가능했던 카트바디.[A] Liiv SANDBOX V1 W3 [B] Liiv SANDBOX V1 W4
문서가 존재하는 카트바디 목록 |
버스트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버스트 C1 C1 엔진 |
버스트 E2 E2 엔진 |
버스트 G3 G3 엔진 |
버스트 R4 R4 엔진 |
|
버스트 PRO PRO 엔진 |
버스트 SR SR 엔진 |
버스트 SR Type-W SR 엔진 |
버스트 SR-Z SR 엔진 |
|
버스트 Z7 Z7 엔진 |
버스트 HT HT 엔진 |
뉴 버스트 뉴 엔진 |
뉴 버스트 B 뉴 엔진 |
|
뉴 버스트 S 뉴 엔진 |
뉴 버스트 Black-B 뉴 엔진 |
뉴 버스트 Black-S 뉴 엔진 |
뉴 버스트 Black-H 뉴 엔진 |
|
뉴 버스트 White-C 뉴 엔진 |
뉴 버스트 P-B 뉴 엔진 |
뉴 버스트 P-S 뉴 엔진 |
버스트 9 JIU 엔진 |
|
버스트 X X 엔진 |
버스트 X LE X 엔진 |
버스트 V1 V1 엔진 |
썬더 버스트 V1 V1 엔진 |
|
크롬 버스트 V1 V1 엔진 |
버스트 SRX V1 V1 엔진 |
|
|
|
음영 표기 : PC방에서 사용 가능한 카트바디 보라색 글씨 : 현재는 획득이 불가능한 카트바디 |
카트바디 설명 |
트랜스폼 |
냉혹한 레이싱을 각오했다면, 크롬 버스트 V1
1. 개요
2021년 10월 28일, 레어 파츠 V1과 같이 출시된 버스트 V1, 썬더 버스트 V1의 상위 호환 카트바디이다.2. 국가별 획득 경로
2.1. 한국
<colbgcolor=#fff,#000> 카트 명칭 | 크롬 버스트 V1 |
획득 방법 | 흑기사 V1 업그레이드 기어 2등급 보상, 카트 컬렉터 상자 IV, 무제한 카트 카드 |
대박 보스전 이벤트와 쇼타임 등으로 입수할 수 있는 디스오더 상자와, 양피지 보석 2개를 사용하여 홈페이지에서 참여할 수 있는 카밀라의 마법 도서관에서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다. 골드 디스오더 상자에서 무제한 크롬 버스트 V1을 입수할 확률은 0.1%, 10일을 입수할 확률은 0.5%이다. 다른 획득 경로의 확률은 공개되지 않았다.
디스오더 상자는 상점에서 판매하는 디스오더 열쇠를 같이 사용해야 개봉할 수 있는데, 문제는 골드 디스오더 열쇠는 캐시로만 판매하고 있고 다른 획득 경로도 한정적이다. 실버 디스오더 열쇠는 루찌로 판매하고 있지만 디스오더 상자는 아이템 팀 배틀을 통해서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필살기 살 루찌도 아깝다. 보스전도 정해진 양을 주는 게 아니라 직접 보스를 때려잡아서 상자를 드롭시켜야 하고 아이템 팀 배틀 모드 또한 시간당 효율이 좋은 편은 아니다.[1] 획득량이 1판에 적으면 2개, 많으면 8~12개 정도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노가다 과정에서조차 운빨이 요구된다. 3+1스테이지를 플레이 해야 하는 아이템 팀배틀의 특성상 늘어나는 피로는 덤. 스틸 솔리드 V1이 나오기 전까지는 V1 레어 스피드 카트바디 최초의 S타입이었기 때문에 대체할 다른 카트바디도 없고, 레어급 카트바디가 풀리는 데 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에 얻는 것이 강요된다.
그래도 카밀라의 마법 도서관 이벤트는 인게임 이벤트가 아닌 홈페이지에서 참여가 가능했으며, 이 때문에 쿠폰번호로 아이템이 배포되었다. 즉 자신이 크롬 버스트 V1을 정말 간절히 원한다면 계정 여러 개를 돌리거나 지인이나 커뮤니티에서 구걸할 수도 있으며, 아이템 거래 사이트에서도 입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유저간 쿠폰 거래는 사기의 위험이 있는데다 접근성이 떨어지며, 디스오더 상자는 플라즈마 FT-R의 악몽의 재림이라 해도 될 만큼 확률이 너무 낮아서 약간의 돈만 투자하면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던 다른 레어 등급 V1 카트바디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획득 난이도가 어려웠다. 특히 카트 패스로 쉽게 뿌렸던 다른 라인업 카트바디에 비해 특출나게 어려웠던 편이라[2] 출시 당시 V1 최악의 현질 유도니 사행성 논란이니 말이 많았고, 현재도 공방에서 이 카트바디를 탑승한 사람은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적은 편이다.
이후 캍톡 상자와 22 선물 상자에서 한 번 더 뿌리기도 했다. 하지만 캍톡 상자와 22 선물 상자는 두 개만 획득할 수 있기에 여기서 획득한 사람 역시 적다.
아무쪼록, 지금까지의 V1 레어 카트바디 중 가장 어려운 획득 난이도를 가졌기 때문에 이후 랜덤박스 형식으로 카트바디가 출시되면 이 카트바디가 자주 비교된다. 그리고 레전드 카트바디는 꾸준히 창렬 가챠로 출시되었다가, 최근엔 레어 급에도 이에 버금가는 경로로 출시되고 말았다.
이후 22년 04월 28일 패치로 마술모자 골드 슬롯 칸에 등장하였다.
9월 1일 패치로 업그레이드 기어 2등급 보상에서 무제한을 획득 할 수 있다.
2.2. 중국
<colbgcolor=#fff,#000> 카트 명칭 | 镀铬爆烈 V1 (도락폭렬 V1) |
획득 방법 | 크롬 버스트 V1 카드 20장 조합, 카트 컬렉터 캡슐 |
현재는 카트 컬렉터 캡슐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2.3. 대만
<colbgcolor=#fff,#000> 카트 명칭 | 銀礦爆烈 V1 (은광폭렬 V1) |
획득 방법 | 이벤트 패스 |
3. 성능
<colcolor=#000> 성능 수치 | |||
서버 | |||
<colbgcolor=#dcdcdc,#8d8d8d> 드리프트 | 1015 | ||
가속력 | 1099 | ||
코너링 | 960 | ||
부스터 시간 | 930 | ||
부스터 충전량 | 520 | ||
속도 | |||
직선 속도 | 209km/h | ||
부스터 속도 | 293km/h | ||
출발 부스터 | 309km/h | ||
헤어핀 감속 | 128 ~ 132km/h | ||
익시드 시스템 | |||
최고 속도 | 224km/h | ||
부스터 속도 | 321km/h | ||
지속 시간 | 1초 (Type S) | ||
쿨타임 | 10.2초 | ||
주행 물리 | |||
안정성 | 상 | ||
접지력 | 중상 | ||
몸싸움 | 상 | ||
무게중심 | 중간 | ||
발동 조건 | |||
자동 변신 | 140km/h | ||
익시드 | 20% | ||
크래시 게이지 | 200km/h |
레어 파츠 최고 수준의 엔진을 장착해 높은 가속력과 S타입 익시드를 활용할 수 있는 공격적인 카트바디. 현존하는 버스트 라인업들 중에서 가장 높은 위상을 가졌으며 버레기라는 인식을 한번에 지워버린 카트바디이다. 아무쪼록 이번 크롬 버스트 V1 덕분에 버스트의 위상이 과거와는 다르게 급상승했다.
이 카트바디를 주력으로 쓰고 싶은 유저라면 S타입 익시드의 활용법을 충분히 숙지할 필요가 있고, 상대와의 몸싸움에서 지지 않으려는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반대로 개인전에서는 상대의 몸싸움 공격을 이리저리 피하기 좋은 편으로 멀티센스는 있으나 몸싸움 설정을 몰라 몸싸움이 약하다면 고려해 볼 만한 선택.
-
높은 순정 가속력
버스트의 특징인 가속력이 강하다는 것을 돋보이게 하고 레어급 강화판인 점을 고려해서 엔진의 기본 파츠가 무려 1099라는 것이 주목할 만한데[3] 이러한 높은 가속도 덕에 최고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타 카트바디들 보다 2km/h 정도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4] 또한 S타입 익시드 가속력도 기존의 버스트 V1, 썬더 버스트 V1보다 조금 더 좋다. 정지 상태에서 발동 시 5km/h/s정도 더 빠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순간 가속만큼은 레어급 최상위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톡톡이의 존재로 인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가속력이긴 하나, 감속 후 가속을 받는 느낌은 확실하며 멀티플레이에서 변칙적 플레이에 능한 S타입이기에 공격적이고 날렵한 스위핑 플레이를 할 수 있다.
-
우수한 차체 기본기
안정성은 물론 차체 무게중심도 모난 곳 없이 밸런스가 좋다. 무엇보다도 헤어핀 감속이 128~132km인데, 매우 빠름 속도로 환산할 시 대략 133~139km급 감속으로 기존 버스트 시리즈 카트바디랑 차이는 없다. 감속 역시 기존 차량들 중에서도 상위권이었지만, 123~127km정도의 차들이 많이 나온 22년 중반 기준에서는 경쟁력이 높은 감속 수치가 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특정 부분에서 강점을 내세우는 카트바디가 많아지고 있음에도 차체 기본기가 보장된 수준이다 보니 꾸준히 호감을 얻고 있다.
-
S타입 올라운더
다방면에서 1인분 역할이 가능한 크롬 버스트 V1은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다. 기록을 뽑기에는 그믐 산군 V1이 더 좋지만, 어비스 스카이라인 등 차체가 많이 휘청거리는 맵에서 좀 더 좋은 접지력을 가진 크롬 버스트가 더 우세인 맵도 존재하고 그믐 산군 V1은 러너, 크롬 버스트 V1은 스위퍼로 포지션 분배가 되어있어 서로 역할이 겹치지 않는다. S타입의 익시드 또한 유저들의 다양한 익시드 타입에 대한 숙련도가 올라감에 따라 상위권 유저들의 호불호가 적어지고 있다는 점도 한 몫 했다.
-
낮은 순정 바퀴 파츠
기본 바퀴가 1015로 좋지 못하기 때문에 드리프트 탈출과 톡톡이에 불리함을 안고 간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이온 V1, 켈베로스 V1, 빅토리아 중형택시 V1을 타다가 이 차를 타면 감속과는 별개로 톡톡이 가속이 탄력적이게 붙는 느낌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순정으로 진행되는 리그에서도 가속력이 매력적임에도 선택을 갸우뚱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
-
올라운더 카트바디의 한계
이온 V1도 공유하는 단점이다. 다방면에서 훌륭한 카트바디이지만 그 말인 즉슨 모든 분야에서 100점이지는 않다는 말이기도 하다. 기록을 뽑고 싶으면 그믐 산군 V1이라는 S타입 러너형 카트바디가 존재하며 스위핑으로 밀고 나가려면 스틸 솔리드 V1, 박스터 V1이라는 상위 호환이 존재한다. 따라서 카트바디 풀이 여유로운 사람이라면 실력이 상승할수록 그믐 산군 V1으로 넘어가거나 아에 한 포지션으로 특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밸런스형 올라운더가 어느 정도는 가져야 하는 패널티이기도 한데, 올라운더이면서 감속, 게이지 충전량 등 경쟁력을 좌우하는 스텟마저 뛰어나다면 사기 카트바디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5]
4. 탑승 선수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기준 |
- LSB : 정승하(RUNNER)
- KDF : 송용준(HYBRID), 유영혁(SWEEPER)
- DB : 배성빈(HYBRID), 김다원(MIDDLE)
- FNL : 윤서형(SWEEPER)
- SVG : 심우혁(SWEEPER), 최은성(SPEED ACE)
- APEX : 최준혁(MIDDLE)
- SINK : 권효진(HYBRID)
- WISH : 김민성(SPEED ACE)
- 개인전 : 박인수
출시 이전부터 10월 28일 출시 예정 카트바디라는 이름으로 규정에 포함되어 있었다. 정규 라인업 중 버스트만 아직 레어 모델이 나오지 않은 점, 리그 카트바디 중 S타입이 단 한 대도 없다는 점을 근거로 버스트가 아니냐는 유저들의 추측이 있었고 이는 실제로 적중했다.
이전 리그에서 썬더 버스트 V1이 쓰였던 것처럼, S타입 익시드를 활용하여 스위핑이나 미들에서 순위유지를 담당하는 선수들이 쓰거나 혹은 서브 러너의 역할과 스위퍼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스위퍼형 에이스가 탑승하고 있다. 레어급 다른 V1 카트바디들과 비교해도 기본 스펙과 밸런스가 잘 잡혔고 혼자서 S타입 익시드를 갖춘 상황이라 활용폭이 꽤 넓다는 평가. 파이어 마라톤, 나이트 세이버, 아이언 솔리드와 더불어 메인 카트바디 조합에 들어가며 거의 빠짐없이 사용되고 있다.
개인전에서는 해골 손가락에서만 유일하게 사용되었는데, 연속 U턴 코너가 반복되는 트랙 특성상 S타입 익시드를 활용해보고자 하는 판단이 있었고 이 전략이 어느정도 먹혀 들어갔다.
22-1시즌 들어서는, 해골성 대탐험이나 바올 던전 등지의 맵에서 사용이 되고 있다. 그리고 김다원이 팀전, 개인전에서 크롬 버스트로 명장면을 많이 만들어내면서 이 차에 대해 재조명이 되었다. 레전드 V1이 리그에서 쓰이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리그에 등장할 만한 경쟁력을 갖춘 카트바디로, 스틸 솔리드 V1과 함께 스위퍼를 교체하거나 또는 스솔이 있을 경우 미들에서 상대를 견제하는 용도로 주로 쓰일 것이다.
그리고 22-2에서까지 미들, 하이브리드 포지션의 선수가 주로 채용하는 카트바디로 정말 끈질기게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버레기 소리까지 듣던 X엔진 시절과 비교하면 정말 엄청난 출세. 파이어 마라톤 V1조차도 슬슬 주류에서 밀려나고 있음을 생각하면, 21-S 출신 카트바디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셈. 다만 드탈이 다소 낮아 드탈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그래피티 V1과 폭스 V1에게 밀리는 감이 없지 않아 있었다. 다만 감속이 더 높고, S타입 익시드와 다운힐 같은 맵에서는 크롬 버스트가 훨씬 자주 나온 편. 또한 서로 익시드 타입이 다 다르기 때문에 맵이나 선수들의 취향의 따라 갈린다.
2022-S 에서는 렉키 V1과 박스터 V1의 추가로 인해 자취를 감출 것으로 여겨졌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차량 풀이 점점 넓어지며 확고부동할 것만 같았던 크버의 S타입 올라운더 포지션에 있어서도 점차 대체체가 늘어나는 와중에 1년이나 주류 메타에서 버틴 것만으로도 대단한 점이지만 이젠 한계가 다가온 것.[6] 그래도 폭우속의 질주에서 김승태 선수가 오랜만에 들고 나와 아예 절멸 수준까지는 아니게 되었으나, 이처럼 다수의 S타입이 필요한 팀전의 특정 트랙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경우 깡스탯이 더 높으면서 주행/스위핑 양면 모두에서 밀리지 않는 빅토리아 중형택시 V1에게 자리를 빼앗기고 말았다. 이렇게 마지막까지 살아남았던 크롬 버스트마저도 메타에서 밀려나게 됨으로써, 21-S 출신 초기형 레어급 V1 차량들은 전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말았다.
그래도 '버레기'라는 비하성 별명과 함께 온갖 욕을 먹으며 1시즌은커녕 선수 1명만 타줘도 다행이던 버스트 시리즈였던 만큼, 무려 3시즌이나 끈질기게 살아남아서 리그에 얼굴을 비추며 5대 시리즈 중 최후의 생존자로 남았다는 점에서 크롬 버스트 V1은 버스트 라인업 최강의 카트바디로서 그 성능을 마음껏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5. 여담
- 레어 등급 정규 시리즈 중 가장 늦게 출시되었다. 또한 레어 등급 최초의 S타입 익시드이기도 하다. 이 카트 출시 전 스페셜 등급 포함 레어 등급 이상의 카트바디들 중에 S타입의 익시드가 적용된 것은 로티 범퍼카 V1, 달구지 V1, 엘레강스 루루 V1, 달토끼 V1, 곰신 V1인데 엘레강스 루루부터 곰신까지는 전부 아이템 카트바디이다. 스피드 카트바디로서는 로티 범퍼카와 달구지만 남았는데 이 카트바디들은 일단 공식적으로 레어 등급이 아닌 스페셜 등급이고, 각각 롯데월드 어드벤처 및 한국민속촌과의 제휴 이벤트를 통해 출시한 것이기에 추후에 다시 뿌려질 가능성이 거의 없으므로 정식 시리즈 중에 S타입 익시드가 적용된 레어 등급 이상의 카트바디는 크롬 버스트를 제외하곤 현재로선 사실상 전무하다고 봐도 무방했으나, 2021년 12월 2일 패치 이후로 나온 스틸 솔리드 V1, 그믐 산군 V1도 S타입 익시드가 적용되어 나왔다.
- 외형은 기존 버스트 V1과 동일하지만 백라이트의 변신 부스터 노즐이 3개로 변경되었다. 크롬 재질의 표현을 위해 구세대 카트바디와 히페리온 X에만 적용되어 있는 기본 윤광이 크롬 버스트에도 적용되어 있다.
- 동급의 다른 카트바디 대비 획득이 어려웠던 점, '최초'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는 점[7], 탁월한 가속력과 뛰어난 멀티 포텐셜 등 여러모로 히페리온 X와 닮아있다. 심지어는 차체에 기본적으로 크롬 코팅이 적용되어 있다는 점까지.
- 리버스 채널에서 2022 카트 순위 4위를 차지했다. 안정적인 밸런스와 몸싸움, 접지력, 중심 그리고 현 레어 V1 카트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감속인 130대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 그 이유였다. 다만 4위인 이유는, S타입에 대한 호불호가 B, L에 비해 심하다는 점과 획득 난이도가 타 5대 시리즈에 비해 월등한 난이도 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스솔이 6위, 로디 크로스 GT가 7위, 골코가 9위, 나세가 3위, 파마가 2위 등 전체 근본 시리즈에서 버스트가 상위권이라는 점이 고무적이다.
- 선호되는 코팅은 투명 또는 어두운 계열이 선호된다. 크롬 코팅, 라이트 코팅, 다크 코팅, 블랙 크롬 코팅, 밤하늘 코팅이 대표적이다. 또 나이트 세이버 V1과 마찬가지로, 은색 계열 카트이기에 무지개 코팅도 잘 어울린다는 평이 있다. 램프는 그레이 또는 민트 램프가 잘 어울린다.
- '크롬'이라는 이름이 Chrome과 비슷하기 때문인지 관련 드립이 가끔 나오기도 한다.
6. 관련 문서
[1]
파리차 정도로만 제한하고 캐릭터 제한이 없는 방이나 일일퀘만 깨려는 방에 들어가면 상자를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 널널하게 먹을 수 있지만 상자 먹겠다고 디스오더에 딜을 제대로 안 넣으면 욕을 먹을 수 있다. 이 때는 필살기를 쓰는 것으로 성의를 보이자.
[2]
5대 라인업은 모두 시즌 패스와 카트 패스로 출시되었고,
골든 코튼 V1은 출석체크,
스틸 솔리드 V1은 이벤트 패스로 얻을 수 있었다.
[3]
1099의 수치는 X엔진 파츠로 환산했을 때 X 유니크 파츠 16.3과 같은 수준이다.
[4]
실제로 2.9초(부스터 시간 860)동안 0km/h에서 264km/h가 찍힌다.
썬더 버스트 V1 같은 경우 같은 2.9초동안 0km/h에서 263km/h.
[5]
당장
스펙터 V1의 경우만 보더라도 밸런스형 올라운더의 모든 스텟이 뛰어날때 얼마나 사기적인지 알 수 있다.
[6]
이러한 크버의 한계는 파츠 장착을 금지하고 오로지 순정 상태의 차량만 허용하는 리그 룰의 영향도 컸다. 초기형 레어급 차량이니만큼 기본 파츠의 상태가 후발 주자들에 비해 눈에 띄게 낮을 수밖에 없고, 특히 레어 등급은 특성상 저파츠와 고파츠의 수치 차이가 큰 만큼 후발 주자들의 기본 파츠 인플레이션을 따라잡기 어려웠던 것. 실제로 레전드 파츠를 장착할 시 동위 파츠라면 레전드급 S타입인
흑기사 V1보다도 고점이 높다고 평가받는 크버이니만큼 파츠 장착이 허용되었더라면 여전히 메타 카트 자리를 유지했을지 모르나, 이랬다간 선수 간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고 당연히 형평성 문제부터 시작해서 온갖 논란이 따라다닐 게 불 보듯 뻔하니...
[7]
크롬 버스트 V1은 레어 등급 최초의 S타입이며, 히페리온 X는 X 엔진 최초의 유니크 등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