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22:33:07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

코큰아저씨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143C, #cf0921 20%, #cf0921 80%, #DC143C);"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파일:바트주의 이라크 및 이라크 국장(1991-2004).svg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1920 - 1932)
압드 알 라흐만 알 길라니 · 압둘 무흐신 알 사둔 · 자파르 알 아스카리 · 야신 알하셰미 · 압둘 무흐신 알 사둔 · 자파르 알 아스카리 · 압둘 무흐신 알 사둔 · 퉈피크 알 수와이디· 압둘 무흐신 알 사둔 · 나지 알 수와이디 · 누리 알 사이드
파일:이라크 국장.svg 이라크 왕국 (1932 - 1958)
나지 샤우캇 ·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
자밀 알 미드파이 · 알리 자우다트 알 아유비 · 자밀 알 미드파이 · 야신 알하셰미 · 히크마트 술라이만 · 자밀 알 미드파이
누리 알 사이드 ·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 · 타하 알하셰미 ·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 · 자밀 알 미드파이 · 누리 알 사이드 · 함디 알 파차치 · 퉈피크 알 수와이디 · 아르샤드 알 우마리 · 누리 알 사이드 · 살레 야브르 · 모하마드 하산 알 알사드르 · 함디 알 파차치 · 누리 알 사이드 · 알리 자우다트 알 아유비 · 퉈피크 알 수와이디 · 누리 알 사이드 · 무스타파 마흐무드 알 우마리 · 누레딘 마흐무드 · 자밀 알 미드파이 · 무하마드 파드헬 알 자말리 · 아르샤드 알 우마리· 누리 알 사이드 · 알리 자우다트 알 아유비 · 압둘 와합 미르잔 · 누리 알 사이드 · 아마드 무크타르 바반
파일:이라크 국장.svg 이라크 제1공화국 (1958 - 1968)
압드 알 카림 카심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 타히르 야히아 · 아리프 압드 아르라자크 · 압드 알 라흐만 알 바자즈
나지 탈리브 · 압둘 라흐만 아리프 · 타히르 야히아
파일:이라크 국장.svg 바트주의 이라크 (1968 - 2003)
압드 아르라자크 안나이프 ·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사담 후세인 · 사둔 함마디 · 모하메드 함자 주베이디 · 아마드 후세인 쿠다이르 아스사마라이 · 사담 후세인
파일:이라크 국장.svg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2003 - 2004)
모하마드 바르알 울룸 · 이브라힘 알자파리 · 아메드 알찰라비 · 아야드 알라위 · 잘랄 탈라바니 · 압둘 아지즈 알하킴 · 아드난 알파차치 · 모흐센 압델 하미드 · 모하마드 바르알 울룸 · 마수드 바르자니 · 에제딘 살림 · 가지 마샬 아질 알야워
파일:이라크 국장.svg 이라크 공화국 (2004 - 현재)
아야드 알라위
이브라힘 알자파리
누리 알말리키
하이다르 알아바디 · 아딜 압둘 마흐디 · 무스타파 알카디미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
<colbgcolor=#000><colcolor=#FFF> 2·10·12대 이라크 왕국 총리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
رشيد عالي الكيلاني
파일:Rashid_Ali_al-Gaylani.jpg
출생 1892년
오스만 제국 바그다드 빌라예트 바그다드
(現 이라크 바그다드)
사망 1965년 8월 28일 (향년 72~73세)
레바논 베이루트
정당 민족 형제당
재임기간 제2대 총리
1933년 3월 20일 ~ 11월 9일
제10대 총리
1940년 3월 31일 ~ 1941년 2월 3일
제12대 총리
1941년 4월 13일 ~ 5월 30일

1. 개요2. 생애
2.1. 어린 시절2.2. 젊은 시절2.3. 1941년 쿠데타2.4. 영국-이라크 전쟁2.5. 망명 생활2.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 대중매체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는 당시 가장 인기 있고 지지 받던 이라크 왕국 정치인이자 총리였다.

2. 생애

2.1. 어린 시절

1892년 가일라니는 매우 보수적이고 유서 깊은 수니파 가정에서 태어났다. 이후 몇년이 지나 바그다드 법학교에서 매우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후 당시 거의 대부분의 법하고 관련된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변호사로 일했다.

2.2. 젊은 시절

1924년 민족주의자 야신 알 알하셰미 총리에 의해 이라크 왕국 초대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에 내무부 장관까지 역임하였다.

가일라니와 야신 알 알하셰미 총리는 두 가지 이념을 공유했는데 이는 민족주의 반영국주의였다. 그들은 누리 알 사이드 총리가 서명한 영국-이라크 통행권 조약(1930년)을 파기했고. 이에 힘입어, 야신 알 알하셰미과 함께 민족 형제당[1]을 창당했다. 그리고 마침내 1933년 가일라니는 총리가 되지만 당시 혼란스러웠던 이라크 왕국의 내부적인 문제와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겨우 8개월밖에 총리직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후 1940년 3월 31일 그는 다시 총리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은 이미 시작된 뒤였다. 또한 이라크 왕국은 국왕 가지 1세의 죽음을 겪었다.[2]

압둘-일라 섭정은 영국을 지지했지만, 가일라니의 이미 커질대로 커진 권력은 막을수 없었는데, 섭정은 연합국 병력이 이라크를 통과할수 있도록 군사통행권을 허가했지만, 민족주의자 총리 가일라니는 이것을 거부했고, 심지어는 추축국인 이탈리아 왕국과 갑자기 단교까지 하는 이해할수 없는 외교 정책등등으로 이 정책을 시작으로 가일라니의 폭정이 시작됐다.

그후, 전 이라크 왕국 총리이자 당시 법무부 장관인 나지 샤우캇 터키로 보내 당시 주 터키 독일 대사로 있던 프란츠 폰 파펜과 만나, 독일의 지지를 얻었고, 지지를 받는 대가로, 이라크는 아프베어의 중동 기지가 되었다.

2.3. 1941년 쿠데타

파일:440px-Rashid_Ali_al-Gaylani_and_Haj_Amin_al-Husseini_at_anniversary_of_the_1941_coup_in_Iraq.jpg
1941년 쿠데타 성공을 발표중인 가일라니와 아민 알후세이니[3]

이렇게 막나가던 가일라니의 이라크는 곧 영국의 강력한 경제 제재를 얻어맞았다. 한편, 북아프리카에서 추축국이 지고있다는 소식은 가일라니의 지지율을 떨어트렸다. 1941년 1월 31일 결국 가일라니는 압둘-일라 섭정의 압력으로 총리직을 사임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영국 정부와 지지자들이 가진 그에 대한 불신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번에는 황금 광장의 구성원들과 함께 가일라니는 섭정을 암살하고 또 권력을 장악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3월 31일 압둘-일라 섭정은 자신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알아채고 이라크를 탈출했다. 1941년 4월 1일, 가일라니는 그의 지지자들과 황금 광장의 구성원들과 쿠데타를 시작했다. 이틀후, 가일라니는 국가 방위 정부를 설립하고, 그리고 섭정 주도로 돌아가던 나라를, 총리 체제로 바꿨다.

이후 권력을 다시 잡은 가일라니는 이라크 포병 부대를 영국군이 사용하는 하바니야 공군 기지로 보내 포격하기 시작했고 공성전이 시작되었다.

이것을 가만히 볼리가 없던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아치볼드 웨이벌 원수를 파견해 하바니야 공군 기지 방어를 명령했다.

2.4. 영국-이라크 전쟁

한편 하바니야에서는 이라크군 영국 공군에게 모든 훈련 및 작전을 중단하라고 통보했다. 5월 2일, 하바니야 공군 기지 사령관 해리 조지 스마트이라크군의 통보를 가볍게 씹고, 오히려 반격을 개시했다. 거기에다 웨이벌 원수의 지원군까지 온다는 소식을 둘운 이라크군은 팔루자로 도망가버렸다.[4] 5월 29일, 가일라니의 집무실에서 보일 정도로 영국군이 가까이 오자, 가일라니는 빨리 망명할 준비를 하였고, 다음날 이란 제국으로 망명해버렸다.

이틀 뒤인 5월 31일, 이라크와 영국은 정전 협정에 서명했다. 뒤이어 압둘 알-일라 섭정도 6월 1일에 이라크로 귀국했다.

2.5. 망명 생활

가일라니는 이란으로 망명했지만 오래 머무를 수 없었는데 1941년 영국과 소련이 이란을 침공하자 가일라니는 총리 시절 단교한 이탈리아로 갔다.

그후 이탈리아 왕국을 통해 나치 독일 베를린에서 아돌프 히틀러를 만났다. 그리고 베를린 아민 알후세이니와 이라크 망명 정부를 설립했다.
파일:hitler-with-el-gailani-1942-C45BR0.jpg
히틀러를 만나는 가일라니
1945년 나치 독일이 패망하자 가일라니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넘어가 난민으로 전락했다.

2.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8년 이번에는 압둘 카림 카짐 정부를 상대로 쿠데타를 시도하다 발각되었고, 이라크 법원은 그에게 사형을 구형했다. 하지만 카짐은 그를 죽이진 않고 레바논으로 추방시키는 것으로 형을 대체했고 가일라니는 죽을 때까지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살았다.

3. 대중매체

파일:Rashid Ali al-Gaylani(Hearts of Iron IV).jpg
Hearts of Iron IV에서 이라크로 파시스트가 집권하면 지도자로 나오며, 국가명은 알무탄나 이라크. 소속 정당은 황금 사인조으로 나온다.

4. 여담

파일:Rashid_Ali_and_Nasser.jpg
1958년,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을 만났다.

5. 둘러보기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colcolor=#fff>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1] (حزب الاخاء الوطني) [2] 원래 가지 1세의 아들 파이살 2세에게 왕위가 계승 되어야 했지만 당시 파이살 2세는 겨우 4살이였다. 이러한 이유로 하심 가문은 섭정으로 가지 1세의 삼촌 압둘-일라를 세웠다. [3] 아민 알후세이니는 나중에 가일라니가 독일로 망명하는걸 도와주웠고 이라크 망명 정부 수립을 지원했으며, 또한 독일 현지에서 나치랑 접선하는 것을 주선하였다. [4] 이후 이라크군과 영국군이 바그다드로 가는 것을 두고 전투를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