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8:21:48

카카오스토리

파일:카카오(기업) 국문 로고.svg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다음 아이콘.svg
다음
파일:icon_daum_mediadaum.png
다음 뉴스
파일:icon_daum_mail.png
다음 메일
파일:icon_daum_realestate.png
다음 부동산
파일:icon_kakao_iconnect.png
헤이카카오
파일:다음 사전 아이콘.png
다음 사전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
다음 카페
파일:멜론 아이콘.svg
멜론
파일:브런치 아이콘.svg
브런치스토리
파일:쇼핑하우 아이콘.png
쇼핑하우
파일:스토리채널 아이콘.svg
스토리채널
파일:아지트 아이콘.png
아지트
파일:증권플러스 아이콘.png
증권플러스
파일:카카오 i 번역 아이콘.png
카카오 i 번역
파일:카카오 T 아이콘.svg
카카오 T
파일:카카오드라이버2016.png
카카오 T 대리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카카오 TV
파일:카카오같이가치 아이콘.svg
카카오같이가치
파일:ic_kakao_games.png
카카오게임
파일:카카오내비 아이콘.svg
카카오내비
파일:카카오맵 아이콘.svg
카카오맵
파일:카카오메이커스 아이콘.svg
카카오메이커스
파일:카카오메일 아이콘.png
카카오메일
파일:카카오뮤직 아이콘.png
카카오뮤직
파일:카카오뱅크 아이콘.svg
카카오뱅크
파일:카카오버스2016.png
카카오버스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카카오스토리
파일:카카오이모티콘 아이콘.svg
카카오 이모티콘
파일:카카오워크.png
카카오워크
파일:카카오웹툰 아이콘.svg
카카오웹툰
파일:카카오지하철2016.png
카카오지하철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카카오톡 채널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카카오톡
파일:카카오톡 선물하기 아이콘.svg
카카오톡 선물하기
파일:카카오톡 쇼핑하기 아이콘.svg
카카오톡 쇼핑하기
파일:카카오쇼핑라이브 1대1 로고.png
카카오쇼핑라이브
파일:카카오페이 BI.svg
카카오페이
파일:카카오페이지 아이콘.svg
카카오페이지
파일:카카오프렌즈 아이콘.png
카카오프렌즈
( 니니즈)
파일:카카오홈 아이콘.svg
카카오홈
파일:클립 아이콘.png
클립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티스토리
파일:팟플레이어 아이콘.svg
팟플레이어
파일:카카오스타일2016.png
패션
★ (주)카카오의 계열사 또는 관계사에서 위탁 운영하는 서비스 }}}}}}}}}

[[마이크로 블로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에서 서비스되는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운영 중
[[싸이월드|
파일:싸이월드 아이콘.svg

싸이월드]]
[[카카오스토리|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카카오스토리]]
[[미니맵(SNS)|
파일:미니맵(SNS) 아이콘.svg

미니맵]]
[[아이러브스쿨|
파일:아이러브스쿨 아이콘.png

아이러브스쿨]]
[[틴스튜디오(어플리케이션)|
파일:틴스튜디오 아이콘.png

틴스튜디오]]
[[베터|
파일:베터 아이콘.jpg

베터]]
[[나쁜기억지우개|
파일:나기지 로고.webp

나쁜기억지우개]]
[[비트윈|
파일:external/engineering.vcnc.co.kr/between_icon.png

비트윈]]
서비스 종료
[[미투데이|
파일:미투데이 아이콘.svg

미투데이]]
[[미소일기|
파일:미소일기 아이콘.png

미소일기]]
[[요즘|
파일:다음 요즘 로고.png

다음 요즘]]
[[어라운드|
파일:어라운드 아이콘.png

어라운드]]
[[모두해 #s-3.3|
파일:이맘때 아이콘.png

이맘때]]
}}}}}}}}}

<colbgcolor=#6a5cff><colcolor=#fff> 카카오스토리
KakaoStory
파일:카카오스토리 로고.svg
운영사 카카오
설립 2012년 3월 20일 ([age(2012-03-20)]주년)
유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회원가입 필요
현재 상태 운영 중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로고3. 특징4. 문제점5. 업데이트 내역6. 기타
6.1. 문화
6.1.1. 사라진 문화
7. 제재8. 주요 이용자
8.1. 젊은 이용자들의 특징8.2. 중,장년층 이용자들의 특징
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소소한 일상 속 소소한 스토리, 카카오스토리.[1]
기존 SNS 서비스인 트위터 페이스북이 문자 중심 SNS였다면, 이쪽은 텀블러 인스타그램을 의식한 듯한 사진 중심 SNS이다. 보통은 이미지를 업로드하지만 글 작성도 가능하다.

KakaoStory. 2012년 3월 20일 카카오에서 서비스를 출시한 사진 공유 기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안드로이드, iOS, 버전을 지원한다.

카카오톡의 인지도에 힘입어서 서비스 시작 3개월 만에 가입자수 2,000만명을 돌파하였고, 5개월만에 가입자수 2,500만명, 게시물 작성 수 5억을 돌파했다. # 이후 2014년까지 10, 20대 사용자 위주로 큰 인기를 끌었으나[2], 2015년부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이 본격적으로 SNS 시장을 잠식하면서 10대~30대 이용자들은 이탈했으며, 중/장년층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다운로드 수가 7000만회를 넘었다.

약칭은 ' 카스', '카토리' 등이 있다.

2023년 4월 1일 이후로 기존의 노란색이 아닌 보라색 아이콘으로 바뀌었다.

2. 로고

파일:카카오스토리 로고 (2012~2023).svg 파일:카카오스토리 로고.svg
<rowcolor=#fff> 2012년 3월~2023년 3월 2023년 3월~

3. 특징

네이버 밴드와 함께 40~50대 이용자들이 극단적으로 많은 SNS이다. 40~50대의 거진 절반이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고 있으나 10대~20대는 거의 없다. 스마트폰이 학생들에게 빠르게 보급되고 싸이월드가 망해가던 과도기적 시절, 즉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10~20대들이 카카오스토리를 꽤 이용했으나 2015년부터 페이스북이 대유행하면서 주류로 자리를 잡자 카카오스토리는 젊은 층에게서는 아예 사장되었다.[3]

2014년까지 중, 고등학교에 다니던 1996년생부터 2001년생은[4] 2014년 하반기~2015년 사이에 대거 카카오스토리에서 페이스북으로 갈아탔으며 동시에 중, 고등학교 재학 시절에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한 세대이기도 하다.[5] 반면에 카카오스토리 끝물인 2014년에 초등학교에 재학중이던 2002년생부터 2007년생은[6] 초등학교때만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했으며 동시에 2014년 하반기[7] 이후에는 페이스북의 대세와 맞물려 당시 초등학생 사이에서도 페이스북이 관심을 끌기 시작하면서 부모님 계정을 통한 페이스북 가입 절차를 거쳐 새롭게 갈아탄 학생들이 생기기 시작했기 때문에 중학교 때까지 카카오스토리의 인기는 이어지지 못했다.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소규모 SNS라고 생각하면 큰 착각이고, 카카오스토리는 대한민국 SNS 이용 빈도의 30%가 넘는 절대적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 마디로 중장년층의 인스타그램인 셈. # 반 농담 반 진담으로 중장년층과 친해지고 싶다면 카카오스토리나 밴드를 이용해보라는 말이 있다.

꼭 필요한 기능(글, 이미지, 촬영, 필독, 공유, 덧글 등)만 담았고, 모바일 기반이기 때문에 다른 SNS에 비해 훨씬 단순하고 이용하기 편하며 꽤 직관적이다. 이미지 기반이라는 점에서 2세대 SNS로 분류하기도 한다.

글자수 제한이 2,081자로 작은 편이라고 하지만 140자 제한인 트위터와 비교할 때 그렇게 적은 편은 아니며, 현재는 5천자로 늘어나 더욱 넉넉해졌다.

한때 카카오스토리를 통해서만 GIF 이미지를 배경사진으로 설정할 수 있었기에 GIF를 배경사진으로 하고자 하는 사람들만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했다. 지금은 당연히 카카오톡만 있어도 가능.

카카오톡과 연결된 카카오스토리 사용자는 설정 > 카카오톡 프로필 연결에서 카카오톡에 글 공개, 카스 버튼, 생일, 직장, 학교 등의 공개를 설정할 수 있고, 검색 설정에서 ID, 이름으로 검색하거나 다음 모바일웹, 카카오톡 검색에 자신의 전체공개 글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단순하던 초반과 달리 기능도 많아지고 화려하기만 하다고 페이스북처럼 변해가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사람에 따라서는 호불호가 갈리고 있으나, 폐쇄성 자체는 옅어진 편.

2014년 5월 26일 업데이트로 아이콘과 시작 테마가 새롭게 바뀌고[8] 웹 버전이 나오면서 이제 컴퓨터로도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4. 문제점

자체의 문제점들을 적는 곳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불편사항이나 친목질에 관련된 내용은 문서를 따로 만들어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5. 업데이트 내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카오스토리/업데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6.1. 문화

6.1.1. 사라진 문화

7. 제재

카카오스토리 운영 정책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면 카카오에서 그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정지시킨다. 이를 올 블라인드 (줄여서 올블) 이라고 한다.

기간 정지, 영구 정지가 있는데, 올 블라인드를 당했을 시 '카카오스토리 운영 정책에 따라 이용이 정지되었습니다.' 라고 나오고 한줄 소개가 바뀐다면 기간 정지, 코드 -90013에 의해 이용을 할 수 없다고 안내가 나오면 영구 정지이니 마음을 비우고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 기간 정지일 경우 카카오에 문의하면 제재 일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아무 것도 안했는데 코드 -90013 이용정지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 카카오에 메일로 문의하면 해명도 없이 슬그머니 풀어주는 경우도 자주있다.

이외에 댓글 정지라는 제재도 있는데, 댓글이 자주 신고를 당하면 이 제재를 받게 된다. 이 제재를 먹으면 친구가 아닌 사람의 게시글에는 댓글을 달 수가 없다.[13] 간혹가다 느낌도 안 달리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사용이 매우 불편해질 수밖에 없어 계정을 옮기는 사람이 많다. 계정당 최초 한 번은 문의하기로 메일 넣으면 풀어준다. 댓글 정지는 +친구(채널)에 댓글을 못달게 된다.

특수 블라인드라고 알려진 제재도 있는데, 이 블라인드에 걸리면 댓글 정지, 글을 쓴 1시간 뒤에 타임라인에 올라옴, 친구 신청 수 제한(10인), 친구가 아닌 사람에게 쪽지발신 불가 등의 치명적인 제재 종합선물 세트가 들어온다. 심지어 계정을 옮겨도 동일인물로 추정되면 그 계정도 특수 블라인드를 먹는다. 특수 블라인드가 풀렸다는 건 알려진 적이 없으며, 특수 블라인드를 먹은 뒤 블라인드가 두개 이상 생기면 무조건 계정 정지가 된다고 한다.

특수 블라인드는 2015년 12월과 2016년 1월을 전후로 하여 '탐라밴'이라는 표현으로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소식창을 타임라인이라 부르며 그것의 줄임말 '탐라'와 추방당하다는 뜻의 '밴'이 결합된 단어이다.

당하는 기준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댓글 신고의 과도한 누적, 부계정의 과도한 생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며 카카오를 전체공개 글로 비하할 경우에도 종종 특수 블라인드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공유기밴이란 것까지 생겨난 듯. 공유기밴은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의 회선을 이용해서 새로 만든 계정도 하루만 지나면 정지를 먹는다고 한다.

3.8.4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며 '느제' 라고 불리는 '예기치 못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400 : -90009)' 라는 문구와 함께 느낌이 달리지 않는 현상이 생겼다. 느낌을 계속해서 달다보면 생기는 제재인데, 곧 풀려 정상적으로 느낌을 달 수있다. 느낌러의 적.

4.0.2 버전에서의 '느제'는 느낌이 달리지 않으며 아무런 문구도 뜨지 않아 아무런 생각 없이 느낌을 달다가 멘탈이 가출하는 느낌러들이 생겨났다.

현재로는 2020년 기준 제재 기준을 더 알 수 없게되어 이제는 욕설을 굳이 포함하지 않더라도 상대가 느끼기에 기분이 나쁘다고 느끼기에 충분할 경우, 해당 댓글 삭제나 해당 유저를 1주일간 올블 처리를 하게되었다. 물론 이걸 순전히 AI가 처리하기 때문에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제재를 받은 유저들이 등장하게되어 죄도없이 제재가 가해진 유저들은 반발감이 생겨 언론통제,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거냐며 대차게 까고있다.

8. 주요 이용자

카카오스토리에서 흔히 '일반인'이라 칭하는 라이트 유저와 함께 여러 분류의 이용자가 있다.

8.1. 젊은 이용자들의 특징

2014년까지는 과거의 싸이월드, 현재의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맞먹을 만큼 청소년층이 즐겨하는 SNS였고 그에 따라 카스의 독특한 문화가 형성되었다.[14] 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페이스북이 유행하면서 대부분 페이스북으로 이탈하고 거의 사장되었다. 그나마 2016년까지는 아이를 가진 부모들에게는 유행했지만 그마저도 2017년 이후 유행이 줄어들기 시작했고 그래서 남은 소수의 젊은 층 유저들이 일종의 커뮤니티화되며 특유의 문화와 밈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현재는 친목 문제나 몇몇 관종들을 빼면 이와 같은 특징들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나마도 지금까지 광역 어그로를 끄는 관종들은 1~2명 정도밖에 없어 좀 지난 이야기라고 봐도 된다. 그도 그럴 것이, SNS를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것은 카카오스토리가 처음 출시했을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는데, 그 당시에도 스마트폰은 비싼 물건이었던데다 지금처럼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기도 전이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스마트폰을 사주는 부모는 많지 않았다. 고로 초기 유저들은 주로 2012~2014년 당시 중-고등학생들이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이를 먹고 연령대가 높아지며[18] 철이 드는 중이다(...). 게다가 이용자 수가 적어진 요즘은 어그로를 끌기 위해서는 다른 메이져 SNS를 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도 하고.

현재 카카오스토리에 대한 추억이 남아있는 젊은 층은 [age(2007-01-01)]세~ [age(1996-01-01)]세 정도이다.[19] 즉 최소 고등학생 이상이다. 2008년 이후에 출생한 사람들은 카카오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일부 초등학생 및 중학교 1, 2학년들은 페이스북의 나이제한 때문에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한다고 한다.

2023년 3월 29일부터 브런치, 티스토리와 함께 스토리라는 브랜드를 같이 사용하게되었다.

8.2. 중,장년층 이용자들의 특징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카카오의 story 서비스 목록

텍스트 중심 마이크로 블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opad> 서비스 종료 · 사진 중심 · Q&A 기반 · 학교 }}}}}}}}}



[1] 2.0.0버젼으로 리뉴얼 되면서 생긴 멘트다. [2] 자녀를 가진 부모들에게는 2015년까지 유행 [3] 다만 2016년에도 자녀를 가진 30대 중반 이상의 중장년 부모들에게는 유행했고, 이후로도 카카오스토리 이용자층은 제법 남아있는 편이다. [4] 1996~1998년생은 고등학생, 1999~2001년생은 중학생이었다. [5] 이들이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이던 2014년은 공교롭게도 카카오톡 출시 이후 정립된 정사각형 형태의 초창기 프로필 스타일이 유지된 마지막 해이기도 하다. 이듬해인 2015년부터는 원형 디자인으로 새롭게 바뀌게 된다. [6] 2014년에 초등학생은 2002년생부터 2007년생이며 2002~2004년생은 고학년, 2005~2007년생은 저학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부터는 현재처럼 스마트폰이 활발하게 보급되어 초등학생 층에서도 카카오 스토리를 이용한 학생들도 다시 보였다. [7] 대략 2학기 시작 시점 [8] 앱 실행 시 이미지는 연한 노랑색 카메라, 렌즈가 달린 테마였는데 진한 노랑색과 하얀 반점이 있는 심플한 테마로 변경되었다. [9] 그도 그런것이 닉네임을 괴상하게 만드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이름이나 단어, '빠뻬삐뽀뿌'나 '뀁뒑뷓' 같은 말을 이름이랍시고 적어놓는 사람들도 있으니 친구신청을 받은 사람입장에서는 곤란할 뿐이다. [10] 실제로는 한 계정당 닉네임 교체 횟수가 약 10회로 한정되어 있었는데 변경되었다. 한 유저가 장난으로 자신의 닉네임을 '고추'로 바꿔뒀는데 하필 그게 마지막 횟수였던 탓에 평생 카스 닉네임을 고추로 써야 했고, 카스에게 강하게 항의해 관리진이 닉네임 변경 정책을 바꾼 것. [11] n의 배수가 맞지 않으면 생기는 빈 공간이 미리보기의 맨 위쪽에 생성되는 형태였는데, 이러면 글들의 배치가 바뀌지 않아 굳이 n의 배수로 올리지 않더라도 퍼즐이 유지될 수 있었다. [12] 빈 공간이 글들의 가장 아래에 생기는 형태다. [13] 플러스 친구 포함. [14] 카카오스토리가 유행하던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중고등학교에 다니던 세대는 1994년~2001년생까지이다. [15] 애초에 SNS이기에 어느 정도의 친목질은 한다. [16] 주로 나이, 성별, 해당 유저를 찾아온 루트 등 [17] 업로드 창에서 업로드 제한에 걸리지 않는 영상을 선택한 후, 그대로 앱을 나가 실행중인 상태로 앞서 선택한 영상을 삭제한 후 업로드 제한을 초과하는 영상을 같은 폴더에 앞선 영상과 같은 이름으로 바꿔 집어넣고, 다시 앱을 켜 업로드를 진행하면, 앱은 앞서 선택한 업로드 제한을 초과하지 않는 영상이라고 인식하고 그대로 업로드를 진행했다. 업로드 제한 검사를 영상을 선택할 때 진행하기 때문에 가능했던 방식인데, 이를 알리는 글이 많은 공유를 타자 금방 막혔다. [18] 저연령층이 카스를 안하는 것은 아니지만 초중반기부터 해왔던 사람들은 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심지어 군필자까지 나온 상황. 오죽하면 예전에는 3월 초에 개학이야기가 주를 이뤘는데 이제는 개강 출근 이야기가 더 보인다는 말도 나온다. [19] 2002~2007년생은 초등학교때 한정으로 카카오스토리가 유행했으며 동시에 초등학교때인 2015년 이후에 페이스북으로 갈아탄 세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