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
경전 | 불경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 |
1. 개요
예불( 禮 佛)이란 붓다를 공경하고 따르겠다는 마음의 표시를 불상 앞에 드리는 것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불교에서 예불이라고 하면 사찰의 모든 대중이 새벽과 저녁에 두번 모여 형식을 갖추어 불상에게 예배하는 의식을 가리킨다. 노전스님이 도량석을 하는 동안 대중은 자리에서 일어나 세수를 하고 법복을 걸친 다음 법당에 들어가 불전에 삼배를 올리고 각자 자리에 앉아 아침예불 준비를 한다.이때 큰 절에서는 대중이 제각각 법당으로 걸어오는 것이 아니라 두 손을 모으고 줄을 지어서 법당으로 오는 관습이 있다. 이렇게 예불을 하러 승려들이 법당으로 가는 행렬을 가리켜 '손을 모으고(차수) 기러기처럼 줄지어 간다(안행)' 하여 차수안행(叉手雁行)이라고 부른다.
곳에 따라서 사시불공을 사시예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불교의 예불문은 일곱 번 절한다고 하여 칠정례(七頂禮)라고도 부른다.
2. 석문의범의 영향
한국 불교계에서 예불 등 의례은 오랜 세월 표준화되지 않아서 전라도 승려가 경상도 절에 가서 같이 예불을 드리지 못했을 정도였다. 조선시대에 백파긍선(白坡亘璇)의 ≪작법귀감(作法龜鑑)≫ 등 몇몇 학식 있는 승려들이 집필한 의례서가 있었지만, 각종 의례에 필요한 의례서를 따로 펴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한문으로만 써서 한계가 있었다. 먼저 한문을 읽을 줄 알아야만 했고, 의례서 한두 권으로는 승려가 주관이 되어 거행하는 의례들을 모두 감당할 수도 없었다.이런 상황이 바뀐 때는 일제강점기였다. 승려 안진호(安震湖, 1880-1965)는 이러한 문제를 타파하고자 조선 불교계에 전해지던 의례서 등을 종합하고 참고하여 1935년에 ≪석문의범(釋門儀範)≫을 출판했다. 책 제목의 뜻을 풀이하면 ' 석가모니 문중(승가)의 의례규범'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름에 걸맞게 조선에서 승려들이 거행할 법한 온갖 의례에 쓰일 의례문들을 한문과 한글을 병기하여 수록했다. 당시 조선 불교계에서 얼마나 호응이 좋았는지, 안진호가 책을 출판하기 5개월 전부터 주문 예약이 밀렸을 정도였다고 한다. 아마도 다른 승려들도 이러한 표준 의례서가 있으면 좋겠다고 간절히 원했던 듯하다.
안진호는 석문의범을 집필하면서 당시 조선 불교계에 전수되는 의례서들을 참고하여 각종 의례에 필요한 의례문들을 모두 모았을 뿐만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 편집하여 다듬었다. 그리하여 석문의범은 출판 이후로 오랫동안 한국 불교계에서 승려라면 마땅히 익히고 공부해야 될 책이 되었다. 현대 한국 불교계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조계종은 비록 예불 등에서 석문의범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지는 않지만, 석문의범에 수록된 의례를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정리하여 종단 내 의례를 표준화했다.
3. 예불문
이하의 예불문은 한국 불교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판본이다.'우리말 예불문'은 2012년 대한불교조계종에서 발표한 ≪표준 한글 칠정례≫를 기재하였다.
[절]이라고 표시된 대목에서 큰절을 올리고, [반배]라고 표시된 대목에서 저두례(합장한 상태에서 고개숙여 인사)를 한다.
한문 | 한글 한자음 | 우리말 |
(새벽예불에만 독송)(獻茶偈) 我今淸淨水 變爲甘露茶 奉獻三寶前 願垂哀納受[절] 願垂哀納受[절] 願垂慈悲哀納受[절] |
(새벽예불에만 독송)(헌다게) 아금청정수 변위감로다 봉헌삼보전 원수애납수[절] 원수애납수[절] 원수자비애납수[절] |
(새벽예불에만 독송)(차를 올리는 게송) 저희 이제 청정수를 감로다삼아 삼보님전 올리오니 자비로 받으소서[절] 자비로 받으소서[절] 대자비로 받으옵소서[절] |
戒香 定香 慧香 解脫香 解脫知見香 光明雲臺 周邊法界 供養十方 無量佛法僧 獻香眞言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반배] 至心歸命禮 三界導師 四生慈父 是我本師 釋迦牟尼佛[절]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佛陀耶衆[절]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達摩耶衆[절] 至心歸命禮 大智文殊舍利菩薩 大行普賢菩薩 大悲觀世音菩薩 大願本尊 地藏菩薩摩訶薩[절] 至心歸命禮 靈山當時 受佛付囑 十大弟子 十六聖 五百聖 獨修聖 乃至 千二百 諸大阿羅漢 無量慈悲聖衆[절] 至心歸命禮 西乾東震 及我海東 歷代傳燈 諸大祖師 天下宗師 一切微塵數 諸大善知識[절]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僧伽耶衆[절] 唯願無盡三寶 大慈大悲 受我頂禮 冥熏加被力 願共法界 諸衆生 自他一時成佛道[반배] |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불법승 헌향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반배]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절]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절]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제대 아라한 무량자비성중[절] 지심귀명례 서건 동진 급아 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절] 유원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 제중생 자타일시 성불도[반배] |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광명구름 두루하여 시방세계 한량없는 삼보님전 공양합니다. 헌향진언(獻香眞言, 향 올리는 진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 옴 바아라 도비야 훔[반배] 지극한 마음으로 온 세계 스승이며 모든 중생 어버이신 석가모니 부처님께 절하옵니다.[절] 지극한 마음으로, 온 세계 항상 계신 거룩하신 부처님께 절하옵니다.[절] 지극한 마음으로, 온 세계 항상 계신 거룩하신 가르침에 절하옵니다.[절] 지극한 마음으로,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님께 절하옵니다.[절]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께 부촉받은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아라한께 절하옵니다.[절] 지극한 마음으로, 불법 전한 역대조사 천하종사 한량없는 선지식께 절하옵니다.[절] 지극한 마음으로, 온 세계 항상 계신 거룩하신 스님들께 절하옵니다.[절] 다함없는 삼보시여 저희 예경 받으시고 가피력을 내리시어 법계중생 모두 함께 성불 하여지이다.[반배] |
4. 여담
사시불공의 중간에도 예불문이 나오는데, 이때엔 지심귀명례를 지심정례 공양(至心頂禮供養)으로, 수아정례를 수차공양(受此供養)으로 바꿔 독송한다.위의 예불문 이외에도 여러 전각이 있는 절에서는 각 건물 및 불단별로 주로 모셔진 불보살에 따라 다른 예불용 문장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