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1 10:13:59

청선공주

청선군주에서 넘어옴

조선 군주 · 현주
[[틀:조선 군주 · 현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4945, #CA5E59 20%, #CA5E59 80%, #C4494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양녕대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d;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5E59; font-size: .7em"
}}}}}}}}}


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장종의 왕녀
청선공주 | 淸璿公主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조선 장헌세자의 세자녀
청선군주 | 淸璿郡主
대한제국 장조의 황녀
청선공주 | 淸璿公主
}}}}}}}}}
파일:청선공주묘.jpg
흥은위 정재화 묘 전경
출생 1756년 윤9월
조선 한성부 궁중 내[1]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802년 8월 17일[2] (향년 47세)
묘소 흥은위 정재화 묘[3]
재위기간 조선 청선군주
1762년 ~ 1821년 7월 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황 장조 의황제
모후 헌경의황후
형제자매 부황 기준 5남 3녀 중 차녀
모친 기준 2남 2녀 중 차녀
배우자 흥은위 정재화
(興恩尉 鄭在和, 1754 ~ 1790)
자녀
1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정의(鄭漪, 1782 ~ 1832)
장녀 - 민치성(閔致成)의 처
차녀 - 홍혁(洪赫)의 처
봉호 청선군주(淸璿郡主)
청선공주(淸璿公主)
별호 이궁자가(二宮自家)
이군주자가(二郡主自家)
}}}}}}}}} ||
1. 개요2. 생애
2.1. 탄생2.2. 아버지의 죽음2.3. 혼인 생활2.4. 죽음
3. 가족 관계4. 대중매체
4.1. 드라마4.2. 광고4.3. 소설

[clearfix]

1. 개요

조선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의 적차녀. 정조 청연공주 동복동생이다.

본래 작위는 세자의 적녀에게 주어지는 정2품 군주(郡主)였으며, 1899년(고종 36)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이 사도세자를 추존하면서 청선군주에서 청선공주로 추증되었다.

보통 이궁자가(二宮自家) 또는 이군주자가(二郡主自家)라고 불렸다. 훈국등록에 이군주자가라고 부른 기록 #이 있으며, 일본 동양문고소장 현숙전 주기사항에 언니 청연군주를 '장헌세자의 딸 청연군주일궁김기성부인(莊獻世子之女淸衍郡主 一宮金箕性夫人)' #이라고 한 기록이 있다.[4]

2. 생애

2.1. 탄생

1756년( 영조 32) 윤9월에 태어났다. 사실 청선군주가 태어났을 시기는 부모인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 부부 모두가 힘들어하던 때였다. 청선이 태어나기 전 지난해에 혜경궁 홍씨의 어머니인 한산부부인 이씨가 세상을 떠났는데, 《한중록》에 따르면 혜경궁은 임신 상태에서 모친의 상을 치르느라 고기 반찬도 먹지 않고 채소로 연명하다가 몸이 상했다. 이에 영조의 명으로 홍봉한이 보약을 써서 무사히 출산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태어나기 전에 엄청난 사고도 일어났었다. 혜경궁 홍씨가 청선을 임신한 5~6개월 경에 사도세자의 실수로 창경궁 낙선당에 불이 난 것이다. 그런데 낙선당은 원손이 있는 관의합과 '한 일(一)' 자로 매우 가까웠다. 이때문에 혜경궁 홍씨는 임신한 몸으로 바삐 뛰어서 잠든 자식을 구해야 했다. 게다가 영조는 일부러 불을 냈다고 생각하여 함인정에 여러 신하를 모아놓고 사도세자에게 화를 냈고, 세자는 설움이 북받쳐 저승전 앞뜰 우물에 뛰어들려고 했다. 이때 정말 사도세자가 자살로 사망했다면, 청선군주는 하마터면 유복녀로 태어날 뻔한 셈이다.

게다가 청선이 태어났을 당시 사도세자의 태도도 2년 전 태어난 동복언니 청연군주 때와는 달랐다.[5] 보통 때같으면 사도세자가 자식의 탄생을 기뻐하며 해산한 아내 혜경궁에게도 찾아와 안부를 물었을텐데, 이때 당시 사도세자는 이미 정신병 증세가 심각해져 갓 태어난 딸도 거의 외면했다.
그해 윤 9월에 내가 둘째딸 청선을 낳으니, 경모궁께서 전 같으면 오죽 좋아하시리오마는 한번 들어와 보신 일이 없으니, 병환이 심하심을 가히 알지라.
한중록[6]

2.2. 아버지의 죽음

1757년(영조 33) 사도세자를 아껴준 할머니 인원왕후 어머니 정성왕후가 불과 1달 간격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나마 사도세자를 보호할 수 있는 사람들이 없어지고, 1762년(영조 38년) 임오화변이 일어났다.

혜경궁 홍씨와 자녀들은 모두 가마를 타고 본방[7]으로 나갔다. 이때 세손은 남여를 타고, 세손빈 청연군주는 같이 가마를 탔다고 하였으므로, 청선군주도 가마를 타고 뒤를 따랐을 것으로 추측된다.

2.3. 혼인 생활

1766년(영조 42) 1월 25일 초간택, 1월 26일 재간택을 거쳐 2월 10일 삼간택에서 유학 정인환의 아들이자 송강 정철의 6대손인 정재화가 부마로 결정되었다.

정재화는 부마가 된 뒤로 크고 작은 사건사고를 일으켰는데, 그중에서 당시 세손이었던 처남 정조와 관련해 일으킨 사건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766년 작은딸 청선의 남편 흥은부위(興恩副尉) 정재화가 부마가 되니, 용모와 행동이 아름다운지라. 세손이 매부를 예쁘게 보시더니, 1769년 사이 그 아이가 빗나가 별감들을 데리고 외입이 무궁하고, 세손 체면을 깎는 일도 많더라.
《한중록》[8]

당시 정재화는 궁성의 경호를 맡은 오위도총부의 총관으로 숙직을 설 때마다 세손이었던 정조를 만나서 어울렸던 것이다. 이런 사실을 혜경궁에게 알린 사람이 바로 화완옹주다.

화완옹주는 "이번 잔치에 지방에서 올라온 기녀 얘기도 세손께 전하고, 잔칫날 자기가 가까이한 계집도 보시게 하고, 자기가 사귄 별감들도 소개한다"고 했는데, 이걸 보면 청선이 남편 때문에 속 꽤나 썩었을 듯.

2.4. 죽음

"천붕지통(天崩之痛)을 만난 이후로부터 의지하고 앙모하는 정이 더욱 깊었는데 어찌 오늘날에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게 될 줄을 생각이나 했겠는가? 소자(小子)의 비통한 마음은 진실로 말할 것이 없지만 자궁(慈宮)의 늠철(凛綴)한 가운데의 정리(情理)는 장차 무슨 말로써 위로를 드릴 수가 있을 것인가?"
순조실록》 순조 2년 7월 20일

1790년(정조 14) 정재화가 먼저 사망하면서, 오랫동안 홀로 보냈다. 이에 혜경궁 홍씨는 "남편이 일찍 죽어 신세 그릇되니, 이는 어미 운명과 흡사하다"고 말했는데, 정조처럼 어머니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자식이 되고 말았다.

청선공주와 정재화 내외의 유물 1,014점이 이들의 후손 분들의 기증 덕분에 수원시에 전시되어있다. 부마의 초상화와 출가한 공주 내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하나같이 진귀하고 가치가 높은 유물들이 오늘날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3. 가족 관계

4. 대중매체

4.1. 드라마

파일:옷소매청선.jpg
2021년 MBC 금토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배우: 조승희

4.2. 광고

파일:청선군주제니.jpg
2019년 파라다이스시티 CF Check-in to Fantasy
배우: 제니

4.3. 소설


[1] 어느 궁인지는 불명 [2] 음력 순조 2년 7월 20일 [3]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도청길 82 양평군 향토유적 제15호 [4] 일부 작품을 통해 자가의 표기가 慈駕라고 알려졌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조선왕실 왕족 경칭 자가는 自家가 맞다. 자가 문서 참고. [5] 그동안 혜경궁 홍씨는 17세에 의소세손을 낳고 연이어 임신과 출산을 반복했는데, 청선공주의 탄생 이후부터는 더이상 회임하지 않았다. 인원왕후 정성왕후의 연이은 삼년상 때문에 임신을 못한 걸 수도 있으나, 정작 사도세자는 인원왕후의 상중에 궁녀 빙애를 건드려 은전군을 임신시킨 걸 생각하면(...) [6] 혜경궁 홍씨, 정병설 편역, 『한중록』, 문학동네, 2010. [7] 혜경궁의 친정. [8] 혜경궁 홍씨, 정병설 편역, 『한중록』, 문학동네, 2010. [9] 훗날 이세영은 정조와 남매가 아닌 연인으로써의 인연을 맺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