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0 16:17:12

창경궁 관덕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 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 세답방 수궁
영안문 환취정 자경전 장고 요화당 통화전 명광문
건인문 통명전 양화당 정일재 집복헌 영춘헌
여휘문 여휘당 채원합 소주방 연희당 연춘헌 천오문 만입문 보정문 통화문
정양문 연경당
경춘전 환경전 소주방 장방 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 공목합 수랏간
함안각
교태문 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 협문 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 누국 오위도총부 고문관 주자소 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 계방 등룡문 선인문
춘방 사주문 내사복시
시민당 종묘 수문 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관덕정
昌慶宮 觀德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건축시기 창건연대 미상
1642년 (중건)
파일:창경궁 관덕정.png
파일:pal_ckk_pct19_ori.jpg
<colbgcolor=#bf1400> 관덕정[1]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창경궁 정자이다. 춘당지 동북쪽 야산 기슭에 있다.

임금이 신하들과 주로 쏘는 곳으로 활용했다.

2. 이름

예기》의 〈사의(射義)〉 편에 나오는 "활쏘기란 그의 높은 살펴보는 것(射者所以也)"이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지방에 있는 관아들에도 관덕정이란 이름의 정자가 많이 설치되었다. 대표적으로 제주도 관덕정을 들 수 있다. 현재에도 여러 활터의 이름으로 많이 쓰인다.

3. 역사

파일:동궐도 관덕정.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관덕정
《궁궐지》에 의하면 '관덕정은 영화당의 동쪽 잠원봉 북쪽에 있고 남쪽에는 잠단(蠶壇)이 있는데 바로 성종 3년(1472)에 채상단(採桑壇)을 옛터에 지었다. 공혜왕후 한씨가 항상 잠례를 거행했다.'고 한다. 이를 보아 조선 전기에는 누에 관련 행사를 하는 공간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다 임진왜란 때 불탄 후 1642년( 인조 20년)에 그 자리에 관덕정을 세웠다. 처음에는 취미정(翠微亭)이라 부르다가 1664년( 현종 5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위에 언급했듯 활쏘는 곳으로 주로 쓰였으며, 이외에도 관덕정 앞 빈터에서 군사훈련과 무과 시험을 치르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창경궁 창경원이 되면서 많은 전각들이 헐렸음에도, 관덕정은 살아남았다. 다만 모습이 많이 바뀌었다. 이후 1980년대 복원되어 오늘에 이른다.

4. 구조

5. 여담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 [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3]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