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15:14:28

중국 해군 vs 인도 해군

국가 vs 국가 해군력 비교
한국 해군 vs 북한 해군 한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한국 해군 vs 중국 해군
러시아 해군 vs 해상자위대 중국 해군 vs 해상자위대 미해군 vs 중국 해군
중국 해군 vs 인도 해군 러시아 해군 vs 중국 해군 미해군 vs 러시아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VS 인도 해군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1. 개요2. 총 전력 비교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 해군은 세계적인 규모의 해군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해군력의 주요 전력인 항공모함, 상륙함, 구축함, 잠수함 보유수에서 인도군에 비해 4:1~5:1의 양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주요 항공모함 전력은 각각 1대씩 운용중인 001형, 002형, 003형이며, 구축함으로는 현재 8척 운용중인 055형, 25척 운용중인 052D형 정도가 있으며, 잠수함 전력은 094형 계열 6척, 093형 6척이 있다.

이에 대항하는 인도 해군 역시 수준급의 해군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양에서는 최고의 해상전력을 보유중인 국가[1]로, 이스라엘로부터 EL/M-2248 AESA 레이더를 도입하여 만재배수량이 7,000톤인 콜카타급 구축함 3척, 최신형 항전/방공시스템을 장착한 8,200톤급 비샤카파트남급 3척, 델리급 3척을 운용중이다.

2000년대까지 대만 해군에게도 뒤쳐졌던 연안해군에 머무른 중국에 비해 오랫동안 인도양을 앞마당으로 삼은 인도가 앞섰으나, 80년대부터 크게 추월당하기 시작한 경제력, 그리고 2010년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이후 중국의 경제가 성장하면서 중국 해군은 신형 구축함과 상륙함을 대량으로 건조하면서 인도 해군에 비해 확연한 우위를 보유하게 되었다.

2. 총 전력 비교[2]

2.1. 수상함 [3]

수상 전투함 전력 비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함종 인도 해군 인민해방군 해군
보유 대수 추가 주문 보유 대수 추가 주문
10,000톤 이상 ~ 15,000톤 미만 준이지스함 - - 8척[4]
7,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준이지스함 6척 1척[5] 33척[6] 13척
7,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전투함 6척[7]
6,000톤 이상 ~ 7,000톤 미만 전투함 6척[8] 7척[9] 3척 [10]
5,000톤 이상 ~ 6,000톤 미만 전투함
4,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전투함 9척[11] 41척[12]
3,000톤 이상 ~ 4,000톤 미만 전투함 7척[13] 2척[14]
2,500톤 이상 ~ 3,000톤 미만 전투함
2,000톤 이상 ~ 2,500톤 미만 전투함 4척[15] 8척[16]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 전투함 10척[17]
1,000톤 이상 ~ 1,500톤 미만 전투함 2척[18] 50척[19]
600톤 이상 ~ 700톤 미만 전투함
500톤 이상 ~ 600톤 미만 미사일 고속함 7척[20] 6척[21]
400톤 이상 ~ 5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1척[22] 20척[23]
200톤 이상 ~ 3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60척[24]
100톤 이상 ~ 2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50톤 이상 ~ 1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20톤 이상 ~ 5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500톤 이상 ~ 600톤 미만 초계함
400톤 이상 ~ 500톤 미만 고속정, 초계정 114척[25]
300톤 이상 ~ 400톤 미만 초계함 14척[26]
200톤 이상 ~ 300톤 미만 고속정, 초계정 6척[27]
100톤 이상 ~ 200톤 미만 고속정, 초계정 117척[28]
50톤 이상 ~ 100톤 미만 고속정, 초계정 6척[29] }}}}}}

중국은 2010년대 말부터 최신형 1만 3천톤급 055형 구축함을 본격적으로 건조하게 되면서 중국 해군의 구축함 전력은 인도군보다 우세하며. 중국은 055형을 2018년부터 매년 두 척씩 취역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20여척을 진수할 예정이다.
때문에 2021년 현재 비샤카파트남급 (8200톤급) 세척, 콜카타급 (7500톤급) 세척, 델리급 (6200톤급) 세척을 주력으로 하는 인도군에 비해 중국 해군은 이미 30척 가량을 운용하는 052C형, 052D형 만으로 인도 해군을 압도하고 있으며 호위함, 초계함에서도 물량 우위, 그리고 독특하게도 대만 해군을 상대하기 위해서 대량으로 배치된 022형 미사일 고속정을 비롯한 압도적인 미사일 고속정 전력에 비해 인도 해군은 단 한척도 미사일 고속정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그래도 인도 해군은 중국 해군과는 다르게 현대 해상전을 경험해 본 해군이라는 점이 강점이며, 아시아에서 가장 오랜 기간[30] 항모를 다량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경험 또한 강점이다.

2.2. 항공모함, 헬기항모, 수송함, 강습상륙함

항공모함 및 상륙함 전력 비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함종[31] 인도 해군 인민해방군 해군
보유 대수 추가 주문 보유 대수 추가 주문
60,000톤 이상 ~ 70,000톤 미만 항공모함 1척[32] 2척[33], 1척 [34]
50,000톤 이상 ~ 60,000톤 미만 항공모함
40,000톤 이상 ~ 50,000톤 미만 항공모함 1척[35] 3척 1척
25,000톤 이상 ~ 30,000톤 미만 항공모함 1척[36]
15,000톤 이상 ~ 20,000톤 미만 강습상륙함
10,000톤 이상 ~ 15,000톤 미만 강습상륙함
20,000톤 이상 ~ 25,000톤 미만 LPD, LSD 8척[37]
15,000톤 이상 ~ 20,000톤 미만 LPD, LSD 1척[38]
5,000톤 이상 ~ 10,000톤 미만 LPD, LSD
5,000톤 이상 ~ 10,000톤 미만 LST 5척[39]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LST 30척[40]
1,000톤 이상 ~ 2,000톤 미만 LST 4척[41]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LSU, LSM 수송함 11척[42]
1,000톤 이상 ~ 2,000톤 미만 LSU, LSM 수송함 12척[43]
500톤 이상 ~ 1,000톤 미만 LSU, LSM 수송함 45척[44]
500톤 이상 ~ 1,000톤 미만 LCM, LC 수송함 100척[45]
400톤 이상 ~ 500톤 미만 LCM, LC 수송정
300톤 이상 ~ 400톤 미만 LCM, LC 수송정
100톤 이상 ~ 200톤 미만 LCM, LC 수송정 200척[46]
50톤 이상 ~ 100톤 미만 LCM, LC 수송정 6척[47] 30척[48] }}}}}}

항공모함을 바탕으로 한 해군항공대는 두나라 모두 본격적인 운용의 초기 단계라서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항공모함 (랴오닝함, 산둥함) 두 척 보유하고 있고, 2022년에는 003형 항공모함을 진수하였다. 인도는 소련의 키예프급을 넘겨받은 비크라마디티야함을 운용하고 있다. 인도는 2018년 비크란트급 항모도 진수할 예정이었지만 여러가지 문제점 때문에 2022년 9월에야 취역했다. 인도는 1950년대부터 항공모함을 운용해 왔기 때문에[49] 아무래도 운용 노하우는 인도쪽이 조금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양국의 함재기들은 여러가지로 문제가 많은데, 중국 해군의 J-15는 Su-33의 프로토타입 T-10K-3을 복제하다가 여러 문제점이 생겼다고 보도되고 있고,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도군의 함재기인 러시아제 MiG-29K도 여러 문제점을 보이고 있으며, 가동율은 15~30%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50]

하지만 두 나라의 영해가 서로 맞닿아 있지 않은 관계로 각국의 항모전단 수준의 주력함대 간의 교전은 없을 가능성이 크다. 물론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인도 접경 친중국가들에 중국의 해군기지들이 배치돼 있기 때문에 인도 근처에서 국지적인 교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결국은 양국의 주력함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적국의 영해까지 가지 못하고 자기네들의 앞마당인 남중국해 인도양에만 주둔해 있을 것이다.

2.3. 잠수함

잠수함 전력 비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함종(수상 배수량) 인도 해군 인민해방군 해군
보유 대수 추가 주문 보유 대수 추가 주문
10,000톤 이상 ~ 15,000톤 미만 SSBN ?[51]
8,000톤 이상 ~ 9,000톤 미만 SSBN 6척[52]
6,000톤 이상 ~ 7,000톤 미만 SSBN 2척[53] 2척
7,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SSN
4,000톤 이상 ~ 6,000톤 미만 SSN 6+척[54] 6척
2,300톤 이상 ~ 2,4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7척[55] 10척[56]
1,900톤 이상 ~ 2,0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33척[57] 2척[58]
1,800톤 이상 ~ 1,9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5척[59] 4척
1,500톤 이상 ~ 1,6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5척[60]
1,400톤 이상 ~ 1,5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4척[61] }}}}}}

잠수함 전력 역시 중국 해군이 우세한 상황이다. 인도 해군도 나름대로 러시아제 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도입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지만 인도 입장에서는 이 격차가 더 커질 전망이다.

인도군도 나름 핵잠수함을 진수했으나, 취역하자마자 문제가 생기는 등, 잠수함 전력 뿐만 아니라 운용 능력 역시 중국군과 비교시 그다지 뛰어나다고 할 수 없다. #

대잠초계기의 경우에는 인도의 경우 최근 미국으로부터 P-8I를 도입하는등 대잠초계 운영에서는 질적인 우위를 확보했다. 중국군도 Y-8파생형 대잠초계기가 존재하지만, 아무래도 검증된 P-8만큼의 성능보다는 떨어질 것이다. 다만 중국은 다량의 대잠헬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 큰 의미는 없을 전망이다.

3. 기타

기본적으로 해군 방면도 중국의 유류공 급을 책임진 인도양 해상교통로를 봉쇄할 수 있는 지리적 잇점을 가진 인도측이 전략적으로 유리하다.[62][63] 현대에는 어느나라든지 에너지 공급이 차단되면 국가 운영은 정지되므로 이런 전략적 우위는 인도 해군 전력의 상대적 열세를 만회할 수 있는 큰 이점이 된다.

중국은 이에 대항하여, 인도와 접경하면서 해안선이 존재하는 모든 국가들 (미얀마,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파키스탄)에[64] 자국의 해군기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진주목걸이 전략) 유사시 인도의 무역을 사방에서 봉쇄 가능하다.

4. 관련 문서


[1] 디에고가르시아, 레위니옹 등지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가 활동중이지만 이들은 아메리카/유럽 대륙 국가들이기에 제외 [2] 중국해군 자료 [3] 배수량이나 군함의 등급 기중에 관해서는 해군력, 호위함/비교, 초계함 항목을 참고. [4] 055형 구축함 [5] 콜카타급 7,400 톤(만재), 3척 소스, 비샤카파트남급 구축함(3척) [6] 쿤밍급, 란저우급 [7] 선양급, 항저우급 [8] 델리급, (3척) 6,200 톤-만재/ 시발릭급 3척, 6115 ~ 6,200 톤(만재) [9] 시발릭급 개량형 Project 17A class frigate (7척), 6,200 톤(만재) [10] 광저우급, 선전급 [11] 라지푸트급( 카신급 II), (3척) 4,974 톤(만재)/탈와르급 (6척) 4,035 톤(만재), ( http://en.wikipedia.org/wiki/Talwar_class_frigate) [12] 루후급, 장카이급 [13] 브라마푸트라급(3척) 만재 3,850 톤/카몰타급(Project 28)(4척)만재 3,000 톤 [14] 장카이급 [15] Saryu-class patrol vessel, 경무장의 원양초계함(4척) [16] 장웨이급 [17] 수카냐급 (6척)1,890 톤(만재) http://en.wikipedia.org/wiki/Sukanya_class_patrol_craft6척소스, 한진중공업이 건조, 총7척 건조하였으나 1척은 스리랑카에 매각./ 코라급(4척)만재 1,500톤. [18] 쿠크리급(2척)만재 1,350 톤 [19] 이것은 만재배수량이 1,440톤 가량인 중국의 신형 스텔스 콜벳함 장다오급이다. [20] 미사일 고속정 비어급( 타란툴급)(7척) 타란툴급은 만재 540톤임. [21] 037 II 식 황(黃 )급 미사일 고속정, (Type 037-II) [22] 아브하이급(파우크급II) 대잠초계함 (1척) 580 톤(만재) [23] Type 037-IG Houxin, 478톤 [24] 후베이급 [25] Haiqing-class 대잠초계정(36척), Type 037 대잠초계정(78척) [26] 14척 소스, 325톤 [27] Seaward-class defense boats 건보트 만재 210톤(1척)/ Bangaram-class patrol vessel 만재 260톤(4척)/ Trinkat-class patrol vessel, 만재260톤(2척)-2척만 운용하고 나머지 2척은 해안경비대 등에서 이전함. [28] Type 062 class gunboat(100여척), Type 062-I 대잠초계정 (36척) [29] Super Dvora Mk II-class patrol boat 만재60톤 이스라엘제(6척) [30] 다만 '기간'이 아닌 '순서'로만 따진다면 일본이 30년은 앞선다. 호쇼 문서 참조. [31] 만재 배수량 기준 [32] 비샬급 65,000 톤 [33] 랴오닝급(바랴그함), 산둥함 [34] 003형 항공모함 [35] 비크란트급 44,570 톤(1척) [36] 비라트급(1척) 만재 28,700 톤 [37] 유자오급 강습상륙함 [38] 오스틴급(1척) 16,590 톤(만재), 1척 운용 [39] 샤둘급(3척) 5,650 톤/ 마갈급 (2척)5,665 톤(만재) [40] Yukan class (Type 072):7척, Yuting I class (Type 072II) :11척, Yuting II class (Type 072III):12척-추가 건조중 [41] 톤(만재), [http://indiannavy.nic.in/print/344 만재배수량 정보 [42] Yunshu IV class (Type 073): 2,000톤 [43] 만재1,850톤: Type 073-III (Yudeng Class)/ 배수량 1,100 톤이상 :Yudao II class (Type 073)/ Yubei (LCU): 1,200톤 - 10척 [44] Yuhai class (Type 074) 만재800톤-20척/ Yuliang-Yuling class (Type 079) 만재833톤-25척 [45] yupen class (Type 271): 기본 150톤, 만재 600톤 [46] Yunnan class (Type 067): 배수량 135톤 [47] LC MK.8과 MK.3 Landing craft (6척) 만재 90 톤 [48] Yuch'in class (Type 068): 배수량 58~ 70톤 [49] 1957년 영국해군의 경항모 허큘리스함을 인수해 같은 이름의 비크란트함으로 개명한 후, 1957년부터 1990년대까지 운용했다. [50] 그리하여 보잉은 F/A-18을 인도에 팔아먹으려고 인도군 항모에 설치된 스키점프 이륙시험도 해보는 등, 나름 열심히 판촉중이다. # [51] 새로건조되는 96형 탕급이 16,000톤이라는 루머가 있지만 확실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Type 096 submarine [52] 진급 수상 8,000톤, 수중 11,000톤 [53] 아리한트급 (2척 운용) 6,000 톤 (추가 2척 건조중) [54] 상급 수상배수량 4,000 ~ 5,000톤 6척 확인됨, (상급 추가 4척 불확실) [55] 킬로급 구형 877EKM(8척) 2,325 톤(수상) [56] 킬로급 Project 636 개량형(10척), 수상배수량 2,300~2,350톤 [57] 위안급 잠수함 20척소스, 수상배수량 1,900톤/ 송급 Type 039, 수상 배수량 1,992톤 (13척) [58] (위안급 추가 2척) http://en.wikipedia.org/wiki/Type_039A_submarine [59] 스코르펜급 잠수함 AM-2000, 1,870톤 (5척) [60] 035형 잠수함( 로미오급 개량형), 수상 1,584톤(17척) [61] 209급 잠수함 1,500 (4척) 1,450 톤(수상) [62] 이는 한일 대결에서 해군전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해상교통로를 막을 수 있는 한국이 유리한 것과 마찬가지다. [63] 하지만 중국-러시아간의 송유관이 존재하게 적어도 유류 공급 차단에서의 인도군의 작전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 [64] 현재 인도와 급속도로 관계가 냉랭해지는 몰디브 역시 중국에게 해군기지를 제공해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