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에위니아 | 말릭시 | 개미 | 프라피룬 | 마리아 |
손띤 | 암필 | 우쿵 | 종다리* | 산산* | |
야기 | 리피 | 버빙카* | 풀라산* | 솔릭 | |
시마론 | 제비 | 끄라톤 | 바리자트 | 짜미 | |
콩레이* | 인싱 | 도라지 | 마니 | 우사기 | |
파북 | |||||
← 2023년 태풍 |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25년 태풍 → | }}}}}}}}} |
2024년 태풍 |
제8호 우쿵 → 제9호 종다리 → 제10호 산산 |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 #ffffff"''' | ||
<colbgcolor=#3594D3,#27658f><colcolor=#fff>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24년 8월 19일 03시 ~ 2024년 8월 20일 21시 | |
영향 지역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류큐 제도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제주도, 호남 지방 |
|
태풍 등급 | 열대폭풍[JTWC] | |
10분 등급 | 열대폭풍[JMA] | |
태풍 크기 | 소형(직경 445km) | |
최저 기압 | 998hPa[3] | |
순간최대풍속 | 30m/s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18m/s[4] |
10분 평균 | 21m/s | |
피해 | 사망자 | 1명 |
<colcolor=#fff> 기상 현황 서비스 및 국민행동요령 정보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기상 현황 및 수치 모델 예측 정보 제공 서비스
|
기상청 기상특보
|
- 기상특보 통보문 ||
기상청 국민행동요령
|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heavy-rain.do| 호우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lightning.do|낙뢰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coldwave.do|한파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typhoon.do|태풍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wind-wave.do|풍랑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heavy-snow.do|대설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asiandust.do|황사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strong-wind.do|강풍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heatwave.do|폭염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drought.do|가뭄 ]]
|
}}}}}}}}}}}} |
[clearfix]
1. 개요
2024년 8월 한국을 내습한 태풍.2. 발생 이전
===# 98W 열대요란 → TDa #===8월 16일 9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6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6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3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9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11시, JTWC에서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분석했다.
8월 17일 12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8일 10시, JTWC가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EDIUM[중간]으로 격상했다.
8월 18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2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였다.
8월 18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상승하였다.
8월 19일 0시, JTWC가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높음]로 격상했다.
3. 발생 이후
3.1. 8월 19일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는 8월 19일 03시에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445km[5]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8월 19일 09시에 JTWC에서 10W TD로 지정되었다.
8월 19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21m/s로 발달했다.
3.2. 8월 20일
8월 20일 02시에 KMA에서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동중국해)에 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04시다.8월 20일 07시 10분에 KMA에서 제주도먼바다[6]에 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09시다.
8월 20일 09시에 KMA에서 제주도 남쪽 바깥 먼바다(동중국해)에 내려졌던 태풍주의보를 태풍경보로 격상한다고 발표했으며 서해남부먼바다[7], 제주도 서부 앞바다에 태풍주의보를 확대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11시다.
8월 20일 12시에 KMA에서 제주도와 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제주도 앞바다[8]에 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14시다.
8월 20일 15시에 강한 연직 시어로 인해 JMA 기준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로 약화되었다.
8월 20일 21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태풍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8월 20일 21시 40분에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발효중이던 태풍특보를 모두 해제하였다.
4. 열대저압부 약화 후
종다리는 8월 20일 21시에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어 공식적인 태풍으로서의 활동기간은 종료되었으며 이 문단은 그 후의 내용을 서술합니다
|
4.1. 8월 21일
8월 21일 3시에 JTWC에서도 태풍 종다리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그리고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상승했다.8월 21일 9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저압부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4hPa로 강화도에 상륙했다고 분석하면서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8월 21일 15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했다.
8월 21일 21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했고 동해상으로 진출하였다.
4.2. 8월 22일
8월 22일 3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4hPa로 해석했다.8월 22일 9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가 100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했다.
5. 피해
현재까지 1명 사망, 1명이 부상당했으며, 2건의 인명구조가 있는 등 피해는 대체적으로 미미하다.- 태풍 이외의 규슈 서부에서 발달한 1006hPa의 TD가 북진해 부울경 지역에 20일 오전 엄청난 폭우를 쏟아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는 비공식 일강수량 142mm의 폭우가 쏟아지며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속출했다. 13대의 차량이 침수되었으며, 토사가 유출되기도 했다. #
-
20일 14시 53분 경
경남
남해군 미조면 조도 앞바다에서 선박이 송전선과 충돌해 112가구에 정전이 발생했다.
- 20일 15시 27분 경 제주 제주시 한림읍 월령포구에서 태풍주의보를 무시하고 스노클링을 하던 20대 남성이 구조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해안가 대피명령이 발표되었음에도 불구, 본인의 부주의로 발생한 안전사고로 보인다.
- 하필 백중사리 시기에 태풍이 몰아친 충남 서부에서 침수 피해가 속출했으며, 울산에서 차량 16대의 침수피해가 보고되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
6. 여담
- 2024년 제5호 태풍 마리아부터 이어져 온 몬순골의 끝을 장식한 태풍이다.
- 한국에 상륙한 태풍 중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강력한 강도의 낙뢰가 쏟아졌던 태풍이다. 태풍의 형태라기 보단 MCC에 가까운 산발적으로 급발달한 적란운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특히나 전남 부근으로는 밤 사이에 1300회에 달하는 낙뢰가 관측되었다. 수도권에서도 밤 사이 심한 낙뢰가 관측되었으며, 이 때문에 자던 중 깨는 사람이 속출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태풍은 한반도와 비교적 가까운 해상[9]에서 형성되어 제대로 힘을 얻지 못하고 열대저기압의 약한 세력을 유지한 채 상륙하여 수도권에서 소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다가 제3호 태풍 개미와 동일하게 해상의 따뜻한 열기를 한반도로 유입시켜 8월 20일~21일에 폭염과 열대야가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 예측했다. 얄궂게도
2018년 폭염에 기름을 끼얹었던 위의 태풍과 같은 이름의 태풍이
2024년 폭염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고 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10] 예측대로 공기가 더욱 습해져 폭염과 열대야가 다시 한번 절정에 달했다. 8월 20일, 수도권의 폭염이 매우 극심해졌다. 비공식 기록인 양평군 옥천면과 김포시 장기동에서 각각 39.0℃와 38.6℃를 기록하는 등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35℃를 웃도는 최고기온을 기록하였다. 8월 21일에는 비공식 기록인 서귀포시 지귀도에서 밤 사이 최저기온 29.4℃를 기록했다. 강수의 경우 남부 지방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1
#2
#3
#4
#5
#6
#7
#8
#9
#10
20일 밤부터 수도권 부근의 대기 불안정 지수(K지수)는 40 이상, CAPE 지수는 2000 이상으로 매우 심한 대기 불안정이 예상된다. 이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 강한 소낙성 강수가 예상되지만, 폭염 종식에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소나기로 지표온도가 일시적으로 하강하겠지만, 약한 태풍으로 인해 열돔을 없애기에는 역부족이며, 태풍이 소멸되면 기온이 다시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오히려 태풍의 오른쪽 위험반원에 위치한 한반도는 남풍이 불어 북태평양과 적도의 뜨겁고 습한 공기를 직접 받게 되어 폭염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과는 다른 양상이지만, 폭염을 유지 내지 심화시키는데 작용한 것은 유사하다.
다만 2018년처럼 전국적으로 폭염이 강해진 것은 아니며, 특히 중부 지방을 위주로는 기온이 떨어졌다. 찬 공기가 내려온 것은 아니고 기상 악화 및 대기 불안정 등으로 낮 기온이 하강한 경우에 속한다. 이 때문에 일교차는 오히려 더 감소했다. 또 8월 하순( 처서 경)이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11] 남부 지방은 기온 하강이 없거나 적은, 즉 폭염을 지속시키는 형태에 가깝다.
- 한미일 3국의 태풍 소멸 예측 시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8월 21일 03시, 일본 기상청은 8월 21일 18시, JTWC는 8월 21일 15시로 차이가 커봐야 12시간 이내였던 종래의 태풍들과는 다른 상황이 펼쳐진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소멸 예측과 다르게 대한민국 기상청과 일본 기상청이 같이 8월 20일 21시에 태풍 종다리의 소멸 발표를 하였다. 일본 기상청의 속보치와는 다르게 일본 기상청의 사후해석에서 소멸 시간이 8월 21일 9시로 늦춰진 것으로 확정되었다. #
- 2024년 12월 3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의 사후해석에서 발생 선언 시각이 8월 18일 21시로 앞당겨지고, 8월 19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21m/s로 최성기 세력이 상향되었다. 그리고 열대저압부로 약화된 시각이 8월 21일 9시로 늦춰졌다. #
7. 진로 경과
<rowcolor=#fff>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 JMA |
8월 18일 15시 | 15kn | 30kn | <colcolor=black> LPA | <colcolor=black> TD |
8월 18일 21시 | 20kn | |||
8월 19일 3시 | 30kn | 35kn | TD | 열대폭풍 |
8월 19일 9시 | 35kn | TS | ||
8월 19일 15시 | 40kn | |||
8월 19일 21시 | ||||
8월 20일 3시 | ||||
8월 20일 9시 | 30kn | TD | ||
8월 20일 15시 | 25kn | 35kn | ||
8월 20일 21시 | 30kn | TD | ||
8월 21일 3시 | 20kn | |||
8월 21일 9시 | ||||
8월 21일 15시 | ||||
8월 21일 21시 | 소멸 및 감시 종료 |
8. 통계
순간최대풍속 (m/s) (8/20~) |
공식 | 제주도 | 고산 17.8 성산 15.3 서귀포 14.1 |
경상도 | 부산 19.3 북부산 15.9 통영 15.2 울릉도 14.0 산청 12.4 울산 11.8 | ||
전라도 | 흑산도 18.3 목포 16.1 여수 16.1 고창 16.0 완도 15.8 군산 14.5 정읍 14.2 진도군 14.1 해남 13.6 | ||
강원도 | |||
충청도 | 서산 16.9 보령 16.6 추풍령 13.3 천안 12.6 서청주 12.0 | ||
수도권 | 인천 17.6 강화 14.8 파주 13.0 | ||
비공식 (AWS) |
제주도 | 삼각봉 29.9 대정 19.5 우도 19.2 | |
경상도 | 매물도 21.3 간절곶 17.6 오륙도 16.8 | ||
전라도 | 신지도 25.6 갈매여 24.3 해수서 24.2 상조도 21.1 가거도 20.6 간여암 19.2 여수산단 18.7 새만금 18.5 | ||
강원도 | 설악산 26.1 | ||
충청도 | 어청도 24.7 십이동파 24.4 옹도 24.0 원효봉 23.4 | ||
수도권 | 인천공항 22.9 도리도 20.6 영흥도 18.3 서수도 15.7 서신 14.5 왕산 14.5 포승 13.7 |
최대풍속 (8/20~) |
공식 | 제주도 | 고산 13.8 |
경상도 | |||
전라도 | 흑산도 13.5 | ||
강원도 | |||
충청도 | |||
수도권 | |||
비공식 (AWS) |
제주도 | 삼각봉 16.9 대정 14.2 | |
경상도 | 매물도 14.7 오륙도 13.3 간절곶 12.8 이덕서 12.4 | ||
전라도 | 십이동파 20.7 어청도 19.6 갈매여 19.2 해수서 18.5 신지도 17.1 간여암 16.5 | ||
강원도 | |||
충청도 | 안도 19.1 가대암 17.6 옹도 17.5 | ||
수도권 | 도리도 16.2 |
최다일강수량 (mm/1day) (8/20~) |
공식 | 제주도 | |
경상도 | 거제 65.1 울산 51.4 부산 48.3 | ||
전라도 | 장흥 34.1 강진 27.9 목포 24.6 광주 23.7 | ||
강원도 | 철원 85.2 | ||
충청권 | 홍성 70.8 | ||
수도권 | 강화 128.3 동두천 107.2 파주 75.9 인천 66.3 서울 42.2 | ||
비공식 (AWS) |
제주도 | 삼각봉 144.5 진달래밭 111.5 영실 97.5 윗세오름 94.5 | |
경상도 | 온산 142.0[12] 울기 104.5 간절곶 98.0 토함산 96.5 개천 82.5 장생포 79.5 | ||
전라도 | 피아골 93.5 성삼재 78.0 광양백운산 70.5 뱀사골 58.0 | ||
강원도 | 외촌 130.5 상서 117.5 양지 116.5 | ||
충청권 | 근흥 127.5 태안 124.5 서산 123.0 신평 101.5 외연도 100.5 당진 97.0 원효봉 96.0 | ||
수도권 | 판문점 163.0 신서 130.0 연천 125.0 도라산 123.0 중면 122.5 연천청산 120.5 백학 118.0 하봉암 112.0 |
최저해면기압 (hPa) (8/20~) |
공식 | 제주도 | |
영남권 | |||
호남권 | |||
강원권 | |||
충청권 | |||
수도권 | 백령도 1002.8 | ||
비공식 (AWS) |
제주도 | 진달래밭 1001.2 | |
영남권 | |||
호남권 | |||
강원권 | |||
충청권 | 가대암 1001.9 | ||
수도권 |
여러 기록들이 같은 날 오전에 경상도 부근으로 상륙한 열대저기압과 섞여있는 경우가 많다. 풍속 측면의 공식기록은 매우 빈약했으나, 21일 수도권에서만 일강수량 150mm가 넘는 폭우가 기록되었다.
9. 관련 기사
10. 둘러보기
2024년 대한민국의 이상 고온 | |||
폭염 | 관련 태풍 | ||
2024년 한반도 폭염 |
제9호 종다리 |
제13호 버빙카 |
제14호 풀라산 |
[JTWC]
[JMA]
[3]
KMA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19m/s
#
[4]
JTWC 종다리 세력 경과
[5]
남동쪽 280km, 북서쪽 165km
[6]
제주도 남동쪽 안쪽 먼바다, 제주도 남서쪽 안쪽 먼바다
[7]
서해 남부 남쪽 안쪽 먼바다, 서해 남부 남쪽 바깥 먼바다
[8]
제주도 북부 앞바다, 제주도 동부 앞바다, 제주도 남부 앞바다
[9]
북위 24.2도, 정확히는 일본 오키나와현 사키시마 제도 인근 중에서도
미야코지마시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일본 기상청의 사후해석에서도 북위 24.1도로 발생 위치는 속보치랑 비슷하게 확정되었다.
[10]
두 차례나 최악의 폭염을 일으켰기 때문에 큰 피해는 없더라도 폭염에 영향을 끼쳐 제명 신청을 할 가능성 또한 있다.
[11]
기온은 대부분 8월 초에 가장 높으므로 2018년의 경우 기온 상승기에 해당했다.
입추를 지나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이 정상인데, 2024년은 8월 중순까지도 기온이 비슷하거나 조금 더 올랐다.
[12]
부울경 쪽에서 관측된 강수량은 대부분 종다리의 영향이 아닌 다른 열대저기압으로 인한 강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