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9 08:10:43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농심신라면배
,
,
,
,
,

역대 농심신라면배 일람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1. 개요2. 출전자 명단3. 예선 (한국)
3.1. 1차 예선3.2. 2차 예선3.3. 3차 예선
4. 본선
4.1. 1R4.2. 2R4.3. 3R
5. 여담

1. 개요

대회 기간 : 2022년 10월 11일 ~ 2023년 2월
대회 장소 : 1R (온라인) / 2R (온라인) / 3R (온라인)

2. 출전자 명단

참가 선수
한국 기원 중국 기원 일본 기원
이름 국적 이름 국적 이름 국적
신진서 한국 커제 중국 이치리키 료 일본
강동윤 한국 구쯔하오 중국 이야마 유타 일본
변상일 한국 롄샤오 중국 시바노 도라마루 일본
박정환 한국 퉈자시 중국 쉬자위안 대만
신민준 한국 판팅위 중국 위정치 대만

3. 예선 (한국)

해당 예선 대진
예선의 유튜브 중계는 대부분 오후에 진행되며 라운드별 1개 대국[4]을 중계하며, 대진 표기 아래 쪽은 결과가 확인된 대진이다.(그러나, 1차예선의 경우 읽기 부담될 것이라고 판단돼 접기 처리함)

3.1. 1차 예선

라운드 구분(대국일) 중계 대진/결과
1회전(7월 4일) 이민진 김동우 백 불계승
[ 스트리밍 당시 결과확인된 다수의 타 대국들 ]
김범서-장혜령 / 이영신-허진(이상 2회전, 사전) / 김은지-김민정
김강민-정연우 / 김세현-김철중
(이상 기권승)
-
서중휘-오정아(오전) / 강지범-김덕규(2회전, 사전) / 최홍윤-박지영 / 고근태-조대현
김윤태-김기원 / 최은규-유병호 / 최재영-이홍열 / 문명근-정수현
김민호-강훈大 / 박승화-김선빈 / 유오성-김희수 / 최규병-황원준
김수장-김종수 / 양유준-정두호 / 강지훈-김일환 / 문민종-김영삼
김찬우-유주현 / 장건현-원제훈 / 김경은-한철균 / 박정수-고윤서
김강근-이기섭 / 류민형-차주혜 / 한태희-문지환 / 이승민-윤희우
김기용-김상인 / 김선기-권효진女 / 박태희-김성래 / 김상천-이정원
김지우-김선호 / 김정현-김다영 / 이해원-이도현 / 최광호-이슬주
이태현-박정근 / 박상진-김세동 / 주치홍-이성재 / 박소율-최원용
김민서-황진형 / 최정관-이형진
2회전(7월 5일 / 오전) 주치홍 정유진 흑 불계승
[ 스트리밍 당시 결과확인된 다수의 타 대국들 ]
김주형-노영하 / 이태현-박상돈
(이상 기권승)
-
김효영-정동식 / 최재영-차수권 / 김은선 - 김강근 / 송지훈-하호정
조완규-박준석 / 이원도-권주리 / 최정관-박진열 / 서봉수-양상국
김영광-고재희 / 박승화-김윤영 / 김성재-문명근 / 신윤호-최병환
김윤태-오승민 / 강지수-이현욱 / 김경환-홍석민 / 한우진-이나경
윤민중-김신영 / 윤현빈-전용수 / 김기용-이현호 / 오장욱-김누리
강유택-박지현 / 안조영-장은빈 / 권효진男-강우혁 / 장건현-김종준
양우석-이현준 / 위태웅-이유진 / 심준섭-김승진 / 조승아-김수장
오유진-송상훈 / 김선기-강병권 / 최민서-정서준
2회전(7월 5일 / 오후) 김경은 김수진 백 불계승
[ 스트리밍 당시 결과확인된 다수의 타 대국들 ]
이연-김민희 / 백홍석-배준희 / 최명훈-박영찬
(이상 기권승)
-
윤혁-유창주(시간대 지연) / 백찬희-천풍조 / 이창호-백흥수 / 김찬우-한상열
전영규-김준영 / 김동엽-오규철 / 문민종-이호승 / 김강민-정대상
박영롱-김영환 / 김민호-Mariya / 한상조-윤종섭 / 김세현-최창원
김기헌-김민서 / 허영락-최동은 / 최광호-서능욱 / 이의현-나종훈
한태희-양건 / 이호범-서건우 / 양민석-이승민 / 박진영-김동우
양유준-정준우 / 백현우-유재호 / 류민형-강훈小 / 최기훈-김동면
강지훈-고미소 / 김현찬-김유찬 / 안국현-허서현 / 김원빈-김지우
임경찬-기민찬 / 김지명-윤예성 / 유오성-김기범 / 박동주-조경호
박상진-백성호 / 선승민-박태희 / 김대용-오병우 / 허재원-김형우
최은규-박신영 / 조혜연-박정수 / 김정현-금지우 / 박재근-허영호
김수진-김경은
준결(7월 6일)[5] 김효영 주치홍 백 불계승
[ 스트리밍 당시 결과확인된 다수의 타 대국들 ]
김은선-위태웅 / 윤민중-김대용(이상 사전)
박상진-김기헌 / 조완규-서중휘 / 이의현-김민호 / 신윤호-박소율
김동엽-최은규 / 서문형원-심준섭 / 박승화-강지수 / 김창훈-김선기
김채영-서봉수 / 박진영-허재원 / 김주형-이영신 / 최명훈-양유준
권효진男-김윤태 / 강지훈-김강민 / 양민석-강지범 / 최광호-전영규
안조영-김경환 / 류민형-박동주 / 박경근-최민서 / 김현찬-이호범
박영롱-선승민 / 현유빈-최정관 / 이재성-윤현빈 / 최현재-허영락
이원도-김성재 / 김정현-백홍석 / 김영광-최규병 / 김세현-임경찬
백찬희-김찬우 / 조혜연-김수진 / 조승아-오장욱

[ 차후 결과확인된 다수의 타 대국들 ]
최재영-송지훈 / 한웅규-강유택 / 오유진-양유석 / 장건현-김현빈
김기웅-김범서 / 이태현-한우진(지연) / 최홍윤-윤혁 / 김원빈-이연
박재근-최기훈 / 백현우-김미리 / 김지명-진시영 / 한태희-이창호
문민종-한상조(사전) / 유오성-안국현
결승(7월 7일) 조혜연 최명훈 흑 불계승
[ 스트리밍 당시 확정된 결과 ]
이창호-문민종<과거(전설)와 미래(신예)>(20조)
-
서문형원-주치홍 / 신윤호-권효진男 / 김주형-한웅규(1~2조, 4조)
양우석-박승화(6조) / 김범서-이원도 / 최홍윤-현유빈 / 위태웅-김영광(9, 11~12조)
양민석-김동엽 / 이연-김세현(13~14조)
박재근-이의현 / 진시영-김현찬(17조, 19조) / 박진영-백찬희 / 강지훈-김정현(21~22조)

[ 차후 결과확인된 다수의 타 대국들 ]
김대용-최현재(15조, 사전) / 최광호-류민형(16조, 지연)
최재영-박경근(3조) / 김창훈-안조영(5조) / 장건현-조완규 / 김채영-조승아(7~8조)
이태현-이재성(10조) / 박영롱-백현우(18조) / 박상진-안국현(23조)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1차 예선 통과자 24인의 2차예선 조별 배정순서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김채영
한웅규
최현재
진시영
박상진
류민형
이연
박재근
박승화
현유빈
양민석
위태웅
권효진男
안조영
최재영
박진영
조혜연
주치홍
문민종
강지훈
조완규
백현우
이원도
이재성

3.2. 2차 예선

2차예선은 1차예선 통과자와 한국랭킹 8위부터 33위 선수들이 출전. 6개 조로 구성되어 3차예선에 진출하는 6명을 뽑게 된다.
라운드 구분(대국일) 중계 대진/결과
1회전(7월 8일) 조한승 이지현男 148수 백 불계승
4조 박진영-조혜연(11시)
4조 원성진-안조영(수순)
-
1조 : 송규상-한웅규/김진휘-최현재/진시영-박상진
3조 : 설현준-박승화/강승민-현유빈/양민석-위태웅/권효진男-홍무진
4조 : 최재영-이원영/박진솔-최철한
5조 : 주치홍-문민종/강지훈-박종훈
6조 : 박건호-백현우/한상훈-이원도/이재성-박영훈/한승주-홍성지
-
<스트리밍 이후 결과 확정대국>
1조 진시영-박상진 / 5조 조완규-박민규 / 6조 박건호-백현우
2조 : 최정-김승재(수순)/류민형-이연/심재익-박재근
1회전/지연(7월 9일) 이창석 김채영 백 불계승
5조 박하민-안성준
준결/사전(7월 9일) 박종훈 조완규 백 불계승
준결/사전(7월 10일) 이지현男 류민형 흑 1집반승
준결(7월 11일) 김채영 송규상 백 6집반승
1조 : 김진휘-박상진
2조 : 김승재-심재익
3조 : 박승화-강승민 / 양민석-권효진男
4조 : 원성진-이원영 / 박진영-박진솔
5조 : 박하민-문민종(수순)
6조 : 박건호-한상훈 / 박영훈-홍성지(수순)
결승(7월 12일) 김진휘 송규상 흑 8집반승
(대진 = 결과)
2조 류민형-김승재 = 흑 불계승
3조(10시 진행) 강승민-권효진男 = 백 불계승
4조 이원영-박진솔 = 백 불계승
5조 박하민-박종훈 = 흑 불계승
6조 박건호-홍성지 = 흑1집반승
2차 예선 통과 선수는 다음과 같다.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2차 예선 통과자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김진휘 류민형 강승민 박진솔 박하민 박건호

3.3. 3차 예선

3차 예선은 한국랭킹 2~7위 선수가 2차예선 통과자와 대결을 한다.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3차 예선 대진표
3차 예선 예선 결승 선발전 통과자
신민준 박건호 <colbgcolor=#dcdcdc> 신민준 <colbgcolor=#dcdcdc> 강동윤
김진휘 강동윤 강동윤
변상일 김지석 변상일 변상일
박진솔 김명훈 박진솔
박정환 박하민 박정환 박정환
강승민 류민형 류민형
대국 일정 대진 결과 중계
3차
예선
2022년 7월 13일 박정환 박하민 226수 백 불계승 바둑TV
강승민 류민형 -수 -승 수순(10시 진행)
신민준 박건호 217수 흑 불계승 수순
김진휘 강동윤 -수 -승
변상일 김지석 214수 백 불계승
박진솔 김명훈 -수 -승
예선
결승
2022년 7월 14일 신민준 강동윤 173수 흑 불계승 바둑TV
2022년 7월 15일(AM) 변상일 박진솔 153수 흑 불계승
2022년 7월 15일(PM) 박정환 류민형 224수 백 불계승

4. 본선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colbgcolor=#dcdcdc,#1f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7승 1무 4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승 1무 5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승 5패)
선봉 신민준
(2국 패)
판팅위
(3승, 4국 패)
이치리키 료
(1국 패)
차봉 강동윤
(4승 1무, 8국 패)
퉈자시
(6국 무, 재대국 패)
쉬자위안
(3국 패)
중견 박정환
(2승, 12국 패)
롄샤오
(1승, 9국 패)
시바노 도라마루
(5국 패)
부장 변상일
(13국 패)
커제
(11국 패)
위정치
(7국 패)
대장 신진서
(1승)
구쯔하오
(2승, 14국 패)
이야마 유타
(1승, 10국 패)

4.1. 1R





이번 농심배 1라운드는 판팅위의 초반 3연승행진으로 인해 18회 대회 20회 대회 선봉 7연승의 재현이 될 수도 있었으나, 한국의 두 번째 주자 강동윤이 판팅위의 연승행진에 제동을 걸고 마무리하여 한국 4명, 중국 4명, 일본 3명이 남은 가운데 2라운드로 넘어가게 됐다.

4.2. 2R


재대국은 대회를 주관하는 한국기원 규정에 따라 당일 밤 9시부터 제한시간 없이 각자 1분 초읽기 1회만 준 상태에서 대국을 진행했다.[13] 재대국에서는 하변 전투에서 퉈자시의 실수가 조금씩 나오면서 우위를 잡았고 그를 바탕으로 중앙 싸움에서 승리하면서 무난하게 강동윤이 승리를 가져갔다. 긴 대국 후에 짧은 휴식만 갖고 재대국을 치르다보니 퉈자시의 집중력이 다소 하락한 모습이 역력한 판이었다. 강동윤은 우여곡절 끝에 승리하며 연승상금 천만원을 획득함과 동시에 3연승을 달리게 됐다.



이번 농심배 2차전은 한국의 두 번째 주자였던 강동윤의 대활약이 돋보였던 라운드였다. 1라운드 마지막 판을 승리하며 2라운드에 이어서 출전한 강동윤은 4연승을 달리다가 롄샤오에게 아쉽게 패해 박정환, 변상일, 신진서에게 바통을 넘겨주었다. 하지만 4연승 활약으로 인하여 남은 세 명의 선수가 3라운드로 넘어가게 되어 한국은 수적 우세를 안고 임할 수 있게 됐다. 중국은 퉈자시가 재대국 끝에 패하고 롄샤오가 1승을 거뒀지만 다음 대국에서 일본의 이야마 유타에게 패하며 구쯔하오, 커제가 남은 가운데 3라운드로 넘어가게 됐다. 무승 탈락 위기에 몰렸던 일본은 이야마 유타가 마지막 자존심을 살렸는데 3라운드에서 지난 대회 4연승이 다시 재현 될지 여부가 중요해졌다.

4.3. 3R





5.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조훈현 九단이 선수단 단장을 맡았다. [2] 2022년 7월 중국 랭킹 순으로 커제, 판팅위, 구쯔하오, 양딩신, 리쉬안하오, 미위팅, 딩하오, 롄샤오, 셰커, 리웨이칭, 퉈자시, 셰얼하오, 장웨이제, 펑리야오, 자오천위가 참가했다. [3] 33위의 심재익 선수와 한상훈 선수가 공동순위로 2차예선 턱걸이 시드를 받아서 1차 예선 대상자는 35위인 박상진 선수부터 해당된다 [4] 1차예선 2회전 한정으로 오전/오후로 2개 대국 [5] 이날 한프바 스트리밍 도중 런 사총사( 안국현( 대국장을 착각해서(...) 불참당함), 홍무진(모종의 사유로 인한 쏘팔기권), 박건호(한프바 측 엘지배 해설로 섭외했는데 스팸 의심해 거절함), 박경근)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근데 안국현 쪽은 2018년 때 얘기다.. [6] 신민준은 19회 대회에서 선봉 6연승으로 한국의 우승을 이끄는데 큰 역할을 했었다. [7] 바둑TV는 전 경기 중계, K바둑은 한국 기사 출전시 중계한다. 오로바둑은 대국실 채팅을 통해 해설하는 수순 중계, 타이젬바둑은 유튜브 타이젬 TV에서 진행하는 중계의 해설자를 기재한다. [8] 판팅위는 이 승리로 농심배 통산 19승 7패를 기록. 이창호와 함께 대회 최다승 공동 1위가 되었다. [9] 상대전적은 강동윤이 2승 4패로 밀려있는데 퉈자시가 강동윤 상대로 4연승을 달리고 있어 중국에서 이에 맞춘 오더를 낸 것으로 보인다. [10] 두 선수는 10회, 14회 대회에서 붙은적이 있었는데 두 판 모두 강동윤 선수가 승리를 거두었다. [11] 강동윤은 분리된 돌로 보았고 당초 우리측에서도 해당 돌의 모양을 분리된 돌들로 보았으나 한국기원 규정집의 문제의 모양과 유사한 참고도가 나왔고 이것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밝혀지며 4패빅 무승부가 되고말았다. 그러나 "제11조 끝맺기 - 연속 넘김, 더이상 둘 곳이 없다고 여기면 상대방에게 의사를 표시해야 한다. 이때 상대방이 두면 계속되나 상대방도 둘곳이 없다고 순번을 넘기면 돌의 사활을 해당 부분만 분리해서 다룬다" 의 룰로 인해 퉈자시의 한 수 쉼과 연관되어 규정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2] 한국바둑규칙에 나온 참고도 19번이 해당 대국 기보와 유사한 형태였다고 한다. [13] 한국기원 바둑 경기 규정 4장 19조에는 "무승부가 발생한 경우 반드시 당일 재대국을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재대국의 제한 시간은 각 대국자의 남은 시간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래서 당시 각 대국자가 종국 시점 남은 시간은 양 쪽 모두 1분 초읽기 1회였으므로 이에 맞춰 각자 1분 초읽기 1회로 대국을 하게 됐다. [14] 이야마 유타를 상대로 상대전적 6승 2패로 우위를 보이는 점 때문에 맞춰서 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