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1:49:53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1년 창설된 여자바둑기전에 대한 내용은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본 대회의 2025년 시즌으로 열리는 세계기전에 대한 내용은 제1회 쏘팔코사놀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최고 기사 결정전
,
,
,
,
,

파일:baduk_test3.png 주요 국제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종합 기전
(상금순)
응씨배 · 몽백합배 · 란커배 · 북해신역배 · 삼성화재배 · LG배 · 난양배 · 춘란배
제한 기전 국수산맥배 · 최고 기사 결정전
단체전 농심신라면배 · 농심백산수배
여자 기전 센코배 · 오청원배 · 황룡사배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파일:baduk_test3.png 한국의 주요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종합 기전 GS칼텍스배 · 명인전 · 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선수권전 · 백암배
제한 기전 맥심커피배 · 지지옥션배 · 대주배 · 국수산맥배 · 하나은행배
신인 기전 미래의 별 · 하찬석국수배 · 크라운해태배 · 이붕배
여자 기전 여자기성전 · 여자국수전 · IBK기업은행배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난설헌배
리그전 바둑리그 · 챌린지리그 · 여자바둑리그 · 레전드리그 · 시니어 vs 여자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colbgcolor=#96ca78> 주최, 주관 재단법인 한국기원
후원 인포벨(쏘팔코사놀)[1]
주관방송사 K바둑(국내 대회) / 바둑TV, K바둑(세계 대회)
상금 국내 대회 우승 7000만원, 준우승 2000만원
(본선 대국료: 승자 150만원 / 패자 80만원)
세계 대회 우승 2억원, 준우승 1억원
(본선 대국료: 승자 300만원 / 패자 150만원)
대회방식 국내 1기: 본선 8인 풀리그(7라운드 28경기), 결승 5번기
2기 ~: 본선 9인 풀리그(9라운드, 36경기), 도전 5번기[2]
세계 본선 9인 풀리그(9라운드, 36경기), 결승 3번기
자격 국내 1기: 한국 1 ~ 8위 선수 (2020년 1월 기준)
2기: 직전 대회 우승자(도전기 직행) / 직전 대회 2 ~ 5위 / 선발전 통과 4인 / 와일드카드 1인
3기 ~: 직전 대회 우승자(도전기 직행) / 직전 대회 준우승자, 풀리그 2 ~ 4위 / 선발전 통과 4인 / 와일드카드 1인
세계 최고기사결정전(국내) 우승자 + 국내 선발전 3인 + 중국 2명, 일본 1명, 대만 1명 + 와일드카드 1인
대국 규정 각자 60분 + 착수시 30초 추가 피셔방식(5기 ~)[3][4]
계가 한국룰 덤 6.5집

1. 개요2. 역대 대회(국내) 일람
2.1. 제1회 대회 (2020년)2.2. 제2회 대회 (2021년)2.3. 제3회 대회 (2022년)2.4. 제4회 대회 (2023년)2.5. 제5회 대회 (2024년)
2.5.1. 본선
2.6. 제6회 대회 (2026년)
3.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
3.1. 역대 대회

[clearfix]

1. 개요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2020년에 창설되었으며 2024년까지는 한국 바둑 최고수 9명이 대결하는 대회로 열렸고 2025년부터 세계대회를 신설해 격년제로 국내대회와 세계대회를 교대로 개최하는 기전으로 탈바꿈했다. 홀수 해는 세계 바둑 최고수 9명이 대결하는 대회로, 짝수해는 기존과 같은 국내 대회로 열린다.

리그전으로 치러지기 때문에 한 명이 최소 8경기를 하게 된다. 국내 대회는 초대 대회에서는 한국랭킹 1~8위 선수 8명을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하여 그 중 1위와 2위가 결승에서 대결했으며, 2기 대회부터 전기시드 4인과 예선통과자 4인, 와일드카드 1명으로 9인 풀리그체제로 자리잡았다. 결승은 전기 우승자와 풀리그 1위가 5번기로 진행하는 도전기를 도입했다.

2025년부터 이 대회를 세계대회로 확대한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을 창설했다. 이와 함께 대회 운영 체계에도 변화가 생겨 2025년 대회부터 국내 기전과 세계 기전이 격년제로 번갈아가며 진행된다. 이에 따라 짝수해는 국내 대회, 홀수해는 세계 대회로 쏘팔코사놀배를 운영한다. 세계대회는 국내대회와 동일하게 본선 9인 풀리그로 실시하지만 본선 풀리그 1,2위가 결승 3번기로 우승자를 가리는 것이 차이점이다.


[1] 2023년 부터는 레전드리그 타이틀 스폰서도 맡고 있다. [2] 다승 → 승자승 → 해당 월 랭킹 순을로 순위 산정(단, 결승 혹은 차기 시드가 걸린 상황에서 동률 발생시에는 무조건 동률 재대국을 실시한다.) + 도전기(직전 대회 우승자 vs 리그 1위) [3] 국내 5기 대회와 세계대회 제1회 대회 부터 모두 공통으로 적용한다. [4] 4기 까지는 제한시간 각자 2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진행됐다.

2. 역대 대회(국내) 일람

2.1. 제1회 대회 (2020년)

====# 리그 #====
대국일자 대진 결과[5]
<colbgcolor=#96ca78> 1월 27일 신진서 신민준 흑 불계승
1월 28일 박정환 박영훈 흑 불계승
2월 3일 변상일 강동윤 흑 불계승
2월 4일 이동훈 김지석 백 불계승
2월 11일 이동훈 신민준 백 불계승
2월 17일 김지석 박정환 흑 불계승
2월 18일 박영훈 변상일 백 불계승
2월 24일 강동윤 신진서 흑 불계승
2월 25일 김지석 신민준 흑 불계승
3월 2일 박정환 이동훈 백 불계승
3월 3일 신진서 변상일 백 불계승
3월 10일 박영훈 강동윤 흑 불계승
3월 9일
(일정변경)
박정환 변상일 백 불계승
3월 16일 김지석 강동윤 흑 불계승
3월 17일 박영훈 이동훈 흑 불계승
3월 23일 신진서 이동훈 흑 불계승
3월 24일 신민준 변상일 흑 불계승
3월 30일 박정환 강동윤 흑 1집반승
3월 31일 김지석 변상일 백 불계승
4월 6일 신민준 박영훈 백 불계승
4월 7일 신진서 김지석 흑 불계승
5월 4일 박정환 신민준 흑 불계승
5월 5일 강동윤 이동훈 흑 불계승
5월 11일 신진서 박영훈 백 불계승
5월 12일 이동훈 변상일 백 불계승
5월 18일 신민준 강동윤 백 불계승
5월 25일 신진서 박정환 흑 불계승
5월 26일 김지석 박영훈 백 불계승
제1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 기사명 비고[6] 결과
1 신진서 6 1 결승 진출
2 박정환 5 2
3 신민준 4 3 승자승 1승 차기 본선시드
4 김지석 4 3 승자승 1패
5 변상일 3 4
6 이동훈 2 5 승자승 2승 탈락
7 강동윤 2 5 승자승 1승 1패
8 박영훈 2 5 승자승 2패
초록색: 차기 본선 시드 확보

====# 결승 #====
제1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결승 5번기
신진서 (풀리그 1위) 3 0 박정환 (풀리그 2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0년 6월 15일[7] 신진서 박정환 177수 흑 불계승
2국 2020년 6월 22일[8] 박정환 신진서 164수 백 불계승
3국 2020년 6월 23일[9] 신진서 박정환 211수 흑 불계승
4국 - 3:0 종료로 해당사항 없음
5국 -
우승 신진서 九단 (대회 초대 우승, 차기 대회 도전기 직행) }}}


[5] 총 착수횟수는 제외 [6] 승자승, 재대국 여부, 특이사항 [7] 특별해설 박영훈 [8] 특별해설 김지석 [9] 특별해설 신민준

2.2. 제2회 대회 (2021년)

====# 선발전 #====
1차 선발전은 참가선수가 243명으로 각조 단판토너먼트 형태로 치러진다.[10] 각자 1시간에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최종선발전인 2차 선발전은 1차선발 상위 8인(강동윤, 이창석, 설현준, 박진솔, 박건호, 한상조, 안정기, 강승민) 이 더블 일리미네이션 형태로 치러지는데, 여기서는 각자 2시간에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대국 일정 대진 결과
<colbgcolor=#96ca78> 1조 1경기 2020년 10월 5일 강동윤 한상조 299수 흑 반집승
2경기 2020년 10월 22일 이창석 박건호 162수 백 불계승
승자전 2020년 12월 15일 한상조 이창석 209수 흑 불계승
패자전 2020년 10월 20일 강동윤 박건호 182수 백 불계승
최종전 2020년 12월 28일 한상조 강동윤 200수 백 불계승
본선 진출
이창석(조 1위), 강동윤(조 2위) /
탈락
박건호(2패), 한상조(1승 2패)
2조 1경기 2020년 10월 6일 박진솔 안정기 189수 흑 불계승
2경기 2020년 10월 26일 설현준 강승민 160수 백 불계승
승자전 2020년 11월 30일 안정기 설현준 105수 흑 불계승
패자전 2020년 11월 10일 박진솔 강승민 339수 흑 반집승[16]
최종전 2020년 12월 29일 안정기 강승민 319수 흑 1집반승
본선 진출
설현준(조 1위), 강승민(조 2위) /
탈락
박진솔(2패), 안정기(1승 2패)

====# 본선 #====
본선은 대회시드 4명[17](박정환, 김지석, 신민준, 변상일),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이창석, 강동윤, 설현준, 강승민), 와일드카드인 이창호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일정이 1월 13일 대진추첨식을 진행함과 동시에 유튜브 스트리밍 담당자로부터 오피셜이 나온 바(5R까지의 일정) 아래 표와 같이 일정이 나왔다. 1R 대진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라운드에서 휴식을 갖는 선수들이 뽑은 대진 순번의 역순으로 지정됐다.

강동윤(1번) vs 변상일(2번)
신민준(3번) vs 설현준(4번)
김지석(5번) vs 이창호(6번)
강승민(7번) vs 박정환(8번)
이창석(9번/휴식)
제2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 기사명 비고[18] 결과
1 박정환 8 0 풀리그 전승 도전권 획득
2 변상일 7 1 차기 본선시드
3 강동윤 6 2
4 신민준 4 4
5 이창석 3 5 탈락
6 강승민 2 6 2R, 6R 승 / 9R 패
설현준 2 6 3R, 9R 승 / 2R 패
김지석 2 6 1R, 9R 승 / 3R 패
9 이창호 2 6 1R, 6R, 9R 패
초록색: 차기 본선 시드 확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운드
구분
휴식 개시일자
(13시 시작)
대진 결과
<colbgcolor=#96ca78> 1R 이창석 1월 25일 강동윤 변상일 160수 백 불계승
1월 26일 신민준 설현준 179수 흑 불계승
1월 27일[19] 김지석 이창호 329수 흑 1집반승
1월 28일 강승민 박정환 84수 백 불계승
2R 박정환 2월 8일 강동윤 신민준 98수 백 불계승
2월 9일 김지석 변상일 165수 흑 불계승
2월 10일 강승민 설현준 228수 백 불계승
2월 11일 이창호 이창석 237수 흑 불계승
3R 강승민 3월 1일 이창호 강동윤 179수 흑 불계승
3월 2일 박정환 변상일 179수 흑 불계승
3월 3일 신민준 이창석 192수 백 불계승
3월 4일 김지석 설현준 185수 흑 불계승
4R 이창호 3월 8일 강동윤 강승민 236수 백 불계승
3월 9일 김지석 이창석 161수 흑 불계승
3월 10일 변상일 설현준 253수 백 2집반승
3월 11일 박정환 신민준 202수 백 불계승
5R 김지석 4월 5일[20] 강동윤 이창석 140수 백 불계승
4월 6일 강승민 변상일 199수 흑 7집반승
4월 7일 이창호 신민준 128수 백 불계승
4월 8일 박정환 설현준 187수 흑 불계승
6R 설현준 4월 26일 이창호 강승민 194수 백 불계승
4월 27일 이창석 변상일 283수 흑 불계승
4월 28일 신민준 김지석 174수 백 불계승
4월 29일 박정환 강동윤 142수 백 불계승
7R 신민준 5월 17일 강승민 이창석 205수 흑 불계승
5월 18일 변상일 이창호 281수 백 2집반승
5월 19일 강동윤 설현준 169수 흑 불계승
5월 20일 김지석 박정환 236수 백 불계승
8R 변상일 5월 24일 이창호 박정환 171수 흑 불계승
5월 25일 강동윤 김지석 160수 백 불계승
5월 26일 신민준 강승민 106수 백 불계승
5월 27일 설현준 이창석 194수 백 불계승
9R 강동윤 6월 14일 이창호 설현준 138수 백 불계승
6월 15일 변상일 신민준 199수 흑 불계승
6월 16일 김지석 강승민 144수 백 불계승
6월 17일 박정환 이창석 163수 흑 불계승
}}}}}}}}} ||
제2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2 박정환 (풀리그 1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colbgcolor=#96ca78> 1국 2021년 7월 5일[21] 박정환 신진서 217수 흑 불계승
2국 2021년 7월 6일[22] 신진서 박정환 199수 흑 불계승
3국 2021년 7월 8일[23] 박정환 신진서 240수 백 불계승
4국 2021년 7월 12일 신진서 박정환 172수 백 불계승
5국 2021년 7월 13일 박정환 신진서 246수 백 불계승
우승 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2연패) }}}

결정전 자체는 도전기 방식으로 치러지는데, 전기 우승자인 신진서가 먼저 도착해 있다. 당연히 신진서는 본선에 참여할 일이 없는 관계로 본선의 대진추첨식에 나오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중계스트리밍을 보고있던 바둑팬들 중에서 왜 안나왔지? 하는 반응이 있기도 했다.

본선 풀리그에서 박정환이 무패 행진을 달리면서 8라운드에서 남은 경기와 관계없이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로 결정됐다.[24] 본선 시드는 변상일과 강동윤이 좋은 성적을 내며 일지감치 확보를 했으며, 8라운드에서 신민준이 강승민을 꺾고 자력으로 마지막 시드 한 자리를 확보[25]함에 따라 도전기에서 준우승을 한 선수와 변상일, 강동윤, 신민준이 차기 대회에 시드를 받아 본선에 출전하게 된다.

도전 5번기에서는 신진서와 박정환이 격돌하며 많은 바둑팬들의 기대 속에 진행되었고 5국까지 가는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5국까지 펼쳐진 결과 전기 우승자인 신진서가 박정환을 3승 2패로 꺾으며 대회 2연패와 함께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0] 예선 16강까지 이에 해당 [11] 현재 병장이다. 참고로 해군에서만 바둑병을 받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그렇다고 상무라는 명칭이 붙을 정도로 팀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공군은 전에 e스포츠단을 꾸린 적 있지만 팀이 사라졌고, 상위개념인 국군은 이것을 제외하고 익히 알려진 대다수가 구기종목이다.(제2경기대) [12] 사실상 남자대회로 취급이 바뀌었어도, 여자기사들은 어찌되었든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 2회전에는 최정, 오유진, 이민진, 조승아, 김노경, 조연우, 박지은, 오정아, 허서현, 김수진이 2회전에 올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3] 바둑TV측 여자대회가 아직 결정된 바가 없지만 이렇게 표기하였다. [14] 3전 전패 [15] 4조 박진솔-박영롱 대국을 포함한 3개 대국(2조 이창석-한웅규, 6조 김성진-한상조, 7조 강훈-안정기) [16] 이 대국을 보고 있는 바둑팬들 중에서는 선수층에 대한 불만까지 나오며 졸전을 펼쳤다는 반응이 있다. 멸망전일 수도 있지(...) [17]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3~5위 [18] 승자승, 재대국 여부, 특이사항 [19] 저녁 7시 30분에 바둑이 끝나 무려 6시간 30분이 걸렸다. [20] 이 날부터 K바둑에서 중간 광고 시간에 카타고 형세 그래프와 현재 바둑 상황이 표시되기 시작했다. [21] 특별해설 이창석 [22] 특별해설 변상일 [23] 특별해설 신민준 [24] 2위 변상일이 남은 경기를 이기고 박정환이 마지막 경기를 패해도 승자승 원칙(3라운드 박정환 승)에 따라 박정환이 1위가 된다. [25] 신민준이 9라운드에서 패해도 이창석이 남은 경기를 이기면 4승이 되어 동률이 되나 승자승 원칙(3라운드 신민준 승)에 따라 신민준이 차기 시드의 마지막 자리인 풀리그 4위를 확정했다.

2.3. 제3회 대회 (2022년)

====# 선발전 #====
1차 선발전은 2021년 9월 2일부터 시작하며 참가선수가 221명으로 8개 조로 나뉘어 각조 단판토너먼트 형태로 치러진다. 각자 1시간에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예선전 시작일인 9월 2일에 1차예선 개막에 앞서 2기 대회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2차 선발전은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여 4명이 본선 무대에 진출한다. 2차 선발전에는 홍무진, 허영락, 문민종, 김지석, 위태웅, 윤찬희, 조한승, 백현우가 진출해서 본선 네 자리를 두고 경쟁하게 됐다. 참고로 지난 시즌 본선에 진출한 선수 중에는 김지석만이 유일하게 2차 선발전에 진출했다.
대국 일정 대진 결과
<colbgcolor=#96ca78> 1조 1경기 2021년 11월 22일 홍무진 위태웅 183수 흑 불계승
2경기 2021년 11월 25일 김지석 허영락 146수 백 불계승
승자전 2021년 12월 9일 홍무진 허영락 168수 백 불계승
패자전 2021년 12월 6일 위태웅 김지석 307수 백 반집승[26]
최종전 2021년 12월 28일 허영락 위태웅 136수 백 불계승[27]
본선 진출
홍무진(조 1위), 허영락(조 2위) /
탈락
김지석(2패), 위태웅(1승 2패)
2조 1경기 2021년 11월 23일 조한승 백현우 338수 백 2집반승
2경기 2021년 11월 24일 윤찬희 문민종 210수 백 불계승
승자전 2021년 12월 7일 조한승 윤찬희 194수 백 불계승
패자전 2021년 12월 8일[28] 백현우 문민종 259수 흑 불계승
최종전 2021년 12월 27일 윤찬희 백현우 214수 백 불계승
본선 진출
조한승(조 1위), 윤찬희(조 2위) /
탈락
문민종(2패), 백현우(1승 2패)

====# 본선 #====
본선은 대회시드 4명[30](박정환, 변상일, 강동윤, 신민준),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조한승, 홍무진, 윤찬희, 허영락), 와일드카드인 이창석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대진은 1월 18일 대진지명식[31]을 가지면서 확정된다. 대진 추첨은 랭킹 역순으로 1라운드 상대를 지목하고 2라운드는 반대로 랭킹 순으로 상대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32] 3라운드 부터 9라운드까지 대진은 랜덤 추첨으로 결정된다.
제3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 기사명 비고[33] 결과
1 신민준 7 1 4R 승 도전권 획득
2 변상일 7 1 4R 패 차기 본선시드
3 이창석 5 3 6R 승, 4R 패, 재대국 2R 승
4 박정환 5 3 3R 승, 6R 패, 재대국 1R 승
5 강동윤 5 3 4R 승, 3R 패, 재대국 2R 패 탈락
6 윤찬희 3 5
7 허영락 2 6 5R 승
8 홍무진 2 6 5R 패
9 조한승 0 8 풀리그 전패
초록색: 차기 본선 시드 확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운드
구분
휴식 개시일자
(12시 시작[34])
대진 결과
<colbgcolor=#96ca78> 1R 홍무진 1월 24일 윤찬희 신민준 226수 백 불계승
1월 25일 강동윤 허영락 144수 백 불계승
1월 26일 조한승 박정환 169수 흑 불계승
2월 3일[A] 변상일 이창석 140수 백 불계승
2R 변상일 2월 14일 박정환 홍무진 191수 흑 불계승
2월 15일 조한승 신민준 155수 흑 불계승
2월 16일 강동윤 윤찬희 186수 백 불계승
2월 28일 이창석 허영락 329수 흑 1집반승
3R 이창석 2월 17일 홍무진 변상일 212수 백 불계승
3월 1일 조한승 윤찬희 159수 흑 불계승
3월 2일 신민준 허영락 142수 백 불계승
3월 3일 강동윤 박정환 212수 백 불계승
4R 박정환 3월 14일 강동윤 이창석 132수 백 불계승
3월 15일 윤찬희 홍무진 210수 백 불계승
3월 16일 조한승 허영락 353수 백 반집승[36]
3월 17일 변상일 신민준 126수 백 불계승
5R[37] 신민준 3월 28일 강동윤 변상일 99수 흑 불계승[38]
3월 29일 조한승 이창석 180수 백 불계승
3월 30일 홍무진 허영락 100수 백 불계승
4월 7일 박정환 윤찬희 126수 백 불계승
6R 윤찬희 4월 4일 변상일 허영락 203수 흑 불계승
4월 5일 조한승 강동윤 125수 흑 불계승
4월 6일 신민준 홍무진 192수 백 불계승
4월 14일[A] 박정환 이창석 202수 백 불계승
7R 조한승 4월 11일 윤찬희 변상일 165수 흑 불계승
4월 12일 이창석 신민준 179수 흑 불계승
4월 13일 홍무진 강동윤 강동윤 기권승[40]
4월 27일[A] 박정환 허영락 116수 백 불계승
8R 강동윤 4월 19일 조한승 변상일 160수 백 불계승
4월 20일[42] 윤찬희 허영락 271수 백 2집반승
4월 28일 이창석 홍무진 190수 백 불계승
5월 2일 박정환 신민준 177수 흑 불계승
9R 허영락 5월 3일 조한승 홍무진 248수 백 3집반승[43]
5월 4일[A] 강동윤 신민준 172수 백 불계승[45]
5월 5일 윤찬희 이창석 147수 흑 불계승
5월 6일 변상일 박정환 210수 백 불계승[46]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동률 재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률 재대국 (차기 본선시드 2장, 3인 역토너먼트[47])
1R (5월 16일) 2R (5월 18일)
박정환 이창석 이창석 강동윤
154수 백 불계승 117수 흑 불계승
차기 본선시드
박정환 (1R 승자), 이창석 (2R 승자) /
탈락
강동윤 (2R 패자)
}}}}}}}}}

제3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1 신민준 (풀리그 1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colbgcolor=#96ca78> 1국 2022년 6월 2일 신민준 신진서 260수 백 불계승[48]
2국 2022년 6월 3일 신진서 신민준 213수 흑 불계승
3국 2022년 6월 6일 신민준 신진서 231수 흑 불계승[49]
4국 2022년 6월 7일 신진서 신민준 197수 흑 불계승
5국 2022년 6월 9일 3:1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우승 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3연패) }}}

본선 풀리그에서는 지난 시즌 전기 시드를 받은 4인(박정환, 변상일, 강동윤, 신민준)이 강세를 보였으나 하위랭커의 이변도 발생하면서 물고 물리는 상황으로 이어져 막판엔 4자 동률 재대국 가능성까지 나올 정도였다.[50] 하지만 신민준이 6라운드 홍무진전 패배를 제외하고는 좋은 내용을 보여준 끝에 풀리그 1위로 도전권 경쟁의 최후의 승자가 됐다. 또한 풀리그 결과 차기시드 2자리가 가려지지 않은채 끝나면서 쏘팔코사놀배 출범이래 처음으로 동률 재대국이 열리게 됐다. 동률 재대국 결과 박정환과 이창석이 차기 시드를 확보했다. 반면 조한승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본선 리그 전패를 기록하고 말았다.

도전 5번기는 전기 타이틀 홀더 신진서에게 풀리그 1위 신민준이 도전장을 던지며 '양신(兩申) 대결'이 성사됐다. 양신의 5번기 대결은 이번이 처음이다. 1~3국 내내 미세한 승부가 펼쳐졌었는데[51] 신진서가 두 판을 먼저 선점하며 유리한 고지를 점했고, 3국에서 신민준이 반격했으나 4국에서 신진서가 완승을 거두며 최종 3승 1패로 신진서가 대회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타이틀 방어에 다시 한 번 성공했다.

시상식은 6월 9일에 한국기원에서 진행됐다. 이 날 시상식에서 준우승자 신민준 九단에 대한 시상은 코미디언 엄영수가, 우승자 신진서 九단에 대한 시상은 쏘팔코사놀의 광고 모델인 가수 남진이 맡았으며 시상자들에게 두 기사가 싸인 바둑판을 전달하는 행사를 가졌다.[52]


[26] 3기 대회 선발전 최대 이변이 벌어졌다. 김지석이 2패로 조기에 탈락하면서 지난 시즌 본선에서 탈락해 내려온 5명의 기사들(김지석, 이창석, 강승민, 설현준, 이창호)이 모두 선발전에서 고배를 마시게 됐다. 다만 와일드카드가 누구에게 가느냐에 따라 구제 가능성도 있다. [27] 2021년 7월에 입단한 허영락 初단이 공식 대국 40전(기사회 리그 제외시 24전)만에 처음으로 본격 기전 본선에 진출했다. [28] 유튜브 스트리밍의 경우 설정상 등의 문제로 원활히 스트리밍이 되지 못했다. [29] 지난 대회(2기) 풀리그 5위, 1차 선발전에서 탈락했으나 와일드카드 시드를 받게 되어 2기에 이어 3기 대회에도 출전하게 됐다. [30]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2~4위 [31] 이 대회부터 1~2라운드 대진을 선수들이 지명을 해서 대진을 짜게 된다. (대진 지명식에서 변상일은 크라운해태배 대국 일정으로 인해 화상연결로 참여했다.) [32] 여기서 1~2라운드 둘 다 지목당한 선수는 대진을 바꿀 권한을 줬는데 지목 당한 선수가 겹치지 않아 사용되지 않았다. [33] 승자승 및 특이사항 [34] 1~4라운드까지는 오후 1시에 시작했으나 5라운드 부터 12시에 대국을 개시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A] 이 날은 이상헌 五단이 해설을 맡았다. [36] 이번 대회 최장시간, 최장 수수 대국이다. 7시에 대국이 끝나서 무려 6시간이 걸렸다. [37] 5라운드 대국부터 낮 12시에 시작한다. [38] 이번 대회 최단수수 대국이 됐다. [A] [40] 홍무진 선수가 교통체증으로 인해 대국장인 판교 K바둑 스튜디오에 오지 못하여 기권패 처리가 됐다. 대국 시작 후 15분 내로 오지 못할 경우 기권으로 처리된다. [A] [42] 이 날은 김규리 캐스터가 진행했다. [43] 이 대국에서 패한 조한승은 본선 8전 전패로 대회를 마무리하고 말았다. [A] [45] 신민준은 이 대국에서 승리로 자력으로 풀리그 1위를 확정하며 도전권을 획득했다. (변상일이 마지막 경기를 이겨도 승자승에서 신민준이 앞선다.) [46] 변상일은 이 대국 승리로 풀리그 2위를 확정했다. 그리고 박정환이 패배하면서 5승 3패자가 3명(강동윤, 박정환, 이창석)이 발생하여 시드권 두 장을 두고 역토너먼트 방식으로 3자 동률 재대국을 진행한다. [47] 대진 추첨을 통해 1라운드를 치를 선수들과 1라운드 부전을 결정한 뒤 재대국을 실시한다. 1R 대국에서 승자가 차기 본선시드를 먼저 확보하며, 1R 패자는 부전으로 기다리는 선수와 2라운드를 치러 차기 본선시드의 마지막 한 자리를 결정한다. [48] 신민준이 반집 진걸 알고 돌을 거뒀다. [49] 신진서가 반집 진걸 알고 돌을 거뒀다. [50] 4자 대국 가능성은 있을 수 없다. 신민준이 강동윤과 경기에서 지고 박정환이 변상일에게 승리했다면 6승 2패자 4명이 발생하는데, 신민준과 박정환이 4자간 경기에서 2승 1패를 기록하였고, 신민준이 박정환을 꺾었으므로 승자승 원칙에서 신민준이 1위가 되어 도전권을 얻게 된다. [51] 1~3국의 경우 1국과 3국은 반집, 2국은 1집반 차이라서 계가까지 갈 수 있었으나 패한 선수쪽에서 형세 판단을 해보고 도저히 안된다고 판단하여 패배를 인정하고 돌을 거뒀다. [52] 신진서는 6월 3일 진행된 도전5번기 2국에 사용된 바둑판을 남진에게 전달했으며 신민준은 6월 7일 진행된 도전5번기 4국에 사용된 바둑판을 엄영수에게 전달했다.

2.4. 제4회 대회 (2023년)

====# 선발전 #====
====# 본선 #====
본선은 대회시드 4명[62](신민준, 변상일, 이창석, 박정환),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원성진, 박진솔, 박민규, 박건호), 와일드카드인 최정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대진은 2월 2일 대진지명식을 가지면서 확정된다.[63] 1~2라운드는 대진 지명식 결과에 따라 진행하며 3라운드부터는 추첨으로 대진을 결정한다.
제4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 기사명 비고[66] 결과
1 박정환 8 0 풀리그 전승 도전권 획득
2 변상일 5 3 5R, 6R 승리 차기 본선 시드
3 박민규 5 3 6R 패배, 7R 승리
4 이창석 5 3 5R, 7R 패배
5 신민준 4 4 탈락
6 원성진 3 5 6R 승리
7 박건호 3 5 6R 패배
8 박진솔 2 6
9 최정 1 7
초록색: 차기 본선 시드 확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운드
구분
휴식 개시일자
(13시 시작)
대진 결과
<colbgcolor=#96ca78> 1R 신민준 2월 27일 최 정 원성진 230수 백 불계승
2월 28일 박진솔 변상일 232수 백 불계승
3월 1일 이창석 박정환 194수 백 불계승
3월 2일 박민규 박건호 159수 흑 불계승
2R 박건호 3월 6일 박정환 박민규 149수 흑 불계승
3월 7일 최 정 이창석 352수 흑 7집반승[67]
3월 8일 신민준 박진솔 278수 흑 반집승
3월 9일 원성진 변상일 177수 흑 불계승
3R 박민규 3월 13일 박건호 이창석 146수 백 불계승
3월 14일 박정환 최 정 159수 흑 불계승
3월 15일 원성진 박진솔 188수 백 불계승
3월 16일 변상일 신민준 326수 백 1집반승
4R 변상일 3월 20일 박정환 원성진 228수 백 불계승
3월 21일 신민준 이창석 283수 백 반집승
3월 22일 박건호 최 정 224수 백 불계승
3월 23일 박민규 박진솔 208수 백 불계승
5R 원성진 3월 27일 박정환 박건호 174수 백 불계승
3월 28일 최 정 박진솔 231수 흑 불계승[68]
3월 29일 변상일 이창석 137수 흑 불계승
3월 30일 신민준 박민규 177수 흑 불계승
6R 박정환 4월 3일 신민준 최 정 257수 흑 불계승
4월 4일 이창석 박진솔 229수 흑 불계승
4월 5일 변상일 박민규 155수 흑 불계승
4월 6일 원성진 박건호 217수 흑 불계승
7R 최 정 4월 10일 박정환 박진솔 181수 흑 불계승
4월 11일 신민준 원성진 316수 흑 반집승
4월 12일 이창석 박민규 348수 흑 4집반승
4월 13일 변상일 박건호 193수 흑 불계승[69]
8R 이창석 4월 17일 박건호 박진솔 239수 흑 불계승
4월 18일 변상일 최 정 307수 흑 불계승
4월 26일 원성진 박민규 318수 흑 6집반승
4월 27일 박정환 신민준 178수 백 불계승[70]
9R[71] 박진솔 5월 1일 원성진 이창석 239수 흑 불계승[72]
5월 2일 신민준 박건호 195수 흑 불계승
5월 3일 최 정 박민규 166수 백 불계승[73]
5월 15일 박정환 변상일 232수 백 불계승 }}}}}}}}}

제4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0 박정환 (풀리그 1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colbgcolor=#96ca78> 1국 2023년 5월 22일 신진서 박정환 197수 흑 불계승
2국 2023년 5월 24일 박정환 신진서 156수 백 불계승
3국 2023년 6월 27일 신진서 박정환 175수 흑 불계승
4국 2023년 6월 30일 3:0 종료로
해당 사항 없음
5국 2023년 7월 2일
대국장소: 판교 K바둑 스튜디오(1~2국) /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아니마떼끄(3국)
우승 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4연패) }}}

본선 풀리그는 박정환이 그야말로 독주체제를 구축해나가며 2기 대회 이후 2년 만에 풀리그 전승으로 도전권을 획득해냈다. 그리고 시드를 걸고 펼친 경쟁에서는 변상일이 일지감치 2위[74]를 확정한 가운데 나머지 두 장을 놓고 5명(신민준, 원성진, 박건호, 박민규, 이창석)의 기사가 싸우는 구도가 나오며 4인 동률 재대국 가능성까지 열린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창석이 지난 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시드를 확보한데 이어 박민규도 첫 출전에 차기 시드 확보의 성과를 내며 재대국의 가능성을 없앴다. 반면 전기 준우승자 신민준과 이번 대회 최고령 출전 선수였던 원성진, 첫 출전한 박건호는 시드 경쟁에서 고배를 마셨고, 박진솔과 최정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아쉽게 풀리그 일정을 마무리했다.

도전 5번기는 2기 대회에 이어 2년 만에 '신박전'으로 도전기가 펼쳐지게 됐다. 쏘팔코사놀배에서는 1기, 2기에 이여 세 번째로 열리는 신진서와 박정환의 결승 대국이다. 1국에서는 박정환이 우변 수상전에서 착각이 나오면서 신진서에게 바둑이 기을어쟜고, 2국에서는 우상귀에서 진신두 모양이 나올 수 있었으나 박정환이 다른 길로 가면서 바둑이 기울어져 신진서의 완승국으로 마무리 됐다. 강원도 춘천으로 무대를 옮긴 3국에서도 중후반부터 신진서가 우세한 형세를 잡으며 승리를 거두며 신진서가 대회 4연패와 함께 다시 한 번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53] 일부 대진은 사전대국(각조 4경기(1조, 6조, 7조)) 또는 지연대국(3조3경기, 6조2경기)으로 치러진다. [54] 일부 대진은 지연대국(2조1경기, 3조, 5조1경기, 6조, 7조2경기)으로 치러진다. [55] 2/3조 1월 2일, 6/7조 1월 3일, 5조 1월 5일 결정 [56] 원래는 전기 풀리그 5위인 강동윤이 출전해야하나 강동윤은 불참을 결정했다. 그래서 랭킹 상위자 몫이 한 명 더 늘었다. [57] 1집반으로 흑이 우세한 분위기에서 계가까지 갈 수 있었으나 정서준 선수가 돌을 거두었다. [58] 안성준이 매우 유리한 바둑을 단 한 수에 그르치고 말았다. [59] 윤찬희가 완벽했던 바둑을 초읽기에 몰리면서 완전히 그르치고 말았다. [60] 8강전 승자가 본선에 진출한다. [61] 이 결과로 지난 시즌 9인풀리그에 출전했으나 탈락해 예선으로 내려온 조한승, 홍무진, 윤찬희, 허영락은 모두 탈락했다. [62]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2~4위 [63] 지난 대회와 동일하게 1라운드는 랭킹 역순, 2라운드는 랭킹 순으로 대진 지명을 진행한다. [64] 박건호는 타 기전 일정으로 인해 전화연결로 참여. [65] 원성진과 신민준이 지명을 두 라운드 모두 당해서(신민준은 1라운드 휴번 자동 배정으로 지명을 당한 것으로 간주.) 변경권이 주어졌는데 두 선수 모두 대진 변경권을 행사했다. [66] 승자승 및 특이사항 [67] 이번 대회 최장 수수 [68] 최정은 이 승리로 대회 첫 승과 함께 최근 전체기전 7연패의 늪에서 탈출했다. [69] 이 날 패배로 변상일의 도전권 자력 획득 가능성은 사리지게됐다. 변상일이 다음 경기인 8라운드에서 최정에게 패하거나 박정환이 자력으로 8라운드에서 신민준을 잡을 경우 남은 대국과 관계 없이 박정환이 도전권을 확정지으며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가 된다. [70] 박정환은 이 대국 승리로 남은 경기와 상관 없이 풀리그 전체 1위도전권을 획득하며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로 결정됐다. [71] <재대국 경우의 수>
1. 이창석(vs 원성진), 박민규(vs 최정) 모두 패배: 원성진, 이창석, 박민규, 신민준-박건호 대국의 승자로 4승 4패자가 4명이 되어 4인 동률 재대국이 성사된다.
2. 이창석 승, 박민규 패: 이창석은 시드 확정, 원성진은 3승 5패로 탈락이 확정되며 박민규와 신민준-박건호 승자가 재대국을 진행한다.
3. 박민규 승, 이창석 패: 박민규는 시드 확정 신민준-박건호 승자와 원성진, 이창석이 4승 4패로 3자 동률 재대국이 열린다.
4. 이창석과 박민규가 모두 승리 할 경우 재대국 없이 차기 시드 확정.
[72] 이창석은 이 날 대국 승리로 차기 대회 시드를 확보했다. 이와 동시에 원성진은 3승 5패로 탈락이 확정되면서 4자 동률 재대국 혹은 3자 동률 재대국의 가능성은 사라졌다. [73] 박민규는 이 대국 승리로 차기 시드를 확보했다 동시에 재대국의 모든 경우의 수가 사라지게 됐다. [74] 변상일은 2회대회부터 3연속으로 풀리그 2위로 시드를 받았다.

2.5. 제5회 대회 (2024년)


====# 선발전 #====

2.5.1. 본선


본선은 대회시드 4명[80](박정환, 변상일, 박민규, 이창석), 모든 선발전 통과자 4명(김정현, 임상규, 신민준, 안성준), 와일드카드인 나카무라 스미레의 구성으로 9인 풀리그로 치러지며 풀리그 1위가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도전기 5번기를 치르게 된다. 대진은 2월 19일 대진추첨식[81]을 통해 1라운드의 대진을 정한 후 2라운드 부터 9라운드까지 대진은 랜덤 추첨으로 결정된다.
제5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최종 순위표
순위 기사명 비고[84] 결과
1 박정환[W] 7 1 - 도전권 획득
2 김정현[W] 6 2 - 차기(2026년 6기)
본선 시드
3 변상일[W] 5 3 2R 승리
4 이창석 5 3 2R 패배
5 안성준 4 4 1R 승리 탈락
6 신민준 4 4 1R 패배
7 박민규 3 5 -
8 스미레 2 6 -
9 임상규 0 8 풀리그 전패
초록색: 차기(2026년 6기) 본선 시드 확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선 풀리그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운드
구분
휴식 개시일자
(13시 시작)
대진 결과
<colbgcolor=#96ca78> 1R 박민규 2월 27일 변상일 김정현 186수 백 불계승
2월 28일 박정환 임상규 202수 백 불계승
2월 29일 신민준 안성준 217수 흑 불계승
3월 3일[88] 이창석 스미레 220수 백 불계승
2R 신민준 3월 11일 박정환 스미레 161수 흑 불계승
3월 12일 변상일 이창석 173수 흑 불계승
3월 13일 안성준 박민규 240수 백 불계승
3월 14일 김정현 임상규 177수 흑 불계승
3R 안성준 3월 20일 임상규 스미레 312수 흑 반집승[89]
3월 26일 이창석 신민준 144수 백 불계승
3월 27일 박민규 변상일 192수 백 불계승
3월 28일[90] 박정환 김정현 138수 백 불계승
4R 변상일 4월 8일 박정환 박민규 134수 백 불계승
4월 9일 이창석 임상규 200수 백 불계승
4월 10일 김정현 신민준 170수 백 불계승
4월 11일 안성준 스미레 278수 흑 2집반승
5R 김정현 4월 29일 안성준 임상규 150수 백 불계승
4월 30일 박민규 스미레 297수 흑 1집반승[91]
5월 1일 박정환 이창석 243수 흑 불계승[92]
5월 2일 변상일 신민준 134수 백 불계승
6R 이창석 5월 6일 신민준 박민규 193수 흑 불계승
5월 9일 김정현 스미레 268수 흑 4집반승
5월 13일 박정환 안성준 220수 백 불계승
5월 14일 변상일 임상규 149수 흑 불계승
7R 박정환 5월 16일 안성준 김정현 180수 백 불계승
5월 17일 변상일 스미레 236수 백 5집반승
6월 15일 이창석 박민규 166수 백 불계승
6월 28일 신민준 임상규 182수 백 불계승
8R 스미레 5월 25일 김정현 이창석 192수 백 불계승
5월 30일 임상규 박민규 184수 백 불계승
6월 16일 박정환 신민준 132수 백 불계승
6월 17일 안성준 변상일 207수 흑 불계승
9R 임상규 7월 9일[93] 이창석 안성준 298수 백 불계승
7월 12일 신민준 스미레 202수 백 불계승
7월 24일 김정현 박민규 248수 백 1집반승
7월 25일 변상일 박정환 183수 흑 불계승[94] }}}}}}}}}

제5기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 도전 5번기
신진서 (타이틀 홀더) 3 0 박정환 (풀리그 1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4년 8월 26일 신진서 박정환 157수 흑 불계승
2국 2024년 8월 27일 박정환 신진서 152수 백 불계승
3국 2024년 8월 29일 신진서 박정환 229수 흑 불계승
4국 2024년 8월 30일 3:0으로 종료되어
해당 사항 없음
5국 2024년 9월 1일
우승 신진서 九단 (타이틀 방어, 최고 기사 결정전 5연패) }}}

풀리그에서는 초반에 박정환이 순항한 가운데 함께 김정현, 안성준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도전권 경쟁을 두고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안성준이 주춤한 사이에 변상일이 치고 올라오며 막판에는 박정환, 변상일, 김정현의 3자 동률 재대국의 가능성까지 생길 수 있었던 상황도 발생했다. 그러나 결국 박정환이 마지막에 3자 동률 재대국의 가능성을 없애고 지난 대회에 이어 또 다시 도전권을 획득해 신진서에게 다시 한 번 도전장을 던지게 됐다. 시즌 초반 도전권 경쟁까지 했던 안성준은 4연승 후 4연패로 시드경쟁마저 탈락했다. 이창석은 이 대회에 강한 모습을 보이며 다시 한 번 시드를 획독했고, 신민준은 퐁당퐁당의 모습이 나오며 아쉽게 시드 경쟁에서 물러섰다. 박민규는 초반 패점이 많았으나 이후 3연승이 나오며 선전하기도 했으먀 한국기원 이적 후 첫 종합기전 출전이었던 스미레는 2승을 거두어 경험치를 쌓았다. 반면 임상규는 예선에서의 엄청난 돌풍을 일으켰던[95] 기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부진한 모습으로 아쉽게 풀리그 전패를 하고 말았다.

도전 5번기는 지난 대회에 이어 또 다시 신진서와 박정환이 맞붙게 됐다. 쏘팔코사놀배에서는 네 번째로 대결하는 신진서와 박정환의 결승 대결이며 두 선수는 통산 13번째 결숭 대결을 벌이게 됐다. 신진서가 타이틀을 다시 한 번 지켜내며 5연패에 성공할 것인지, 박정환이 네 번째 도전 끝에 '최고기사' 타이틀을 쟁취 할지 주목되는 도전 5번기였다. 결과는 1~2국에서 완승의 내용을 보여주었고, 3국에서는 매우 불리했던 바둑에서 패를 통해 대역전승을 만들어내며 항복을 받아낸 신진서가 3승 무패로 타이틀 방어에 다시 한 번 성공하여 대회 5연패를 달성했다.


[75] 2011년생 프로기사로 2023년 12월 12세 이하 입단 대회를 통해 프로에 입단했으며 해당 경기로 프로 입단 후 첫 데뷔전을 치른다. [76] 최정은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77] 크라운해태배 결승 직후 다시 만난 맞대결에서 설현준이 설욕에 성공했다. [78] 8강전 승자가 본선에 진출한다. [79] 2년 연속 여자기사가 와일드카드를 받았다. 또한 쏘팔코사놀배에서 처음으로 츨전하는 외국 국적 선수이다. [80] 전 대회 준우승자 + 리그 2~4위 [81] 이번 대회에는 대진 추첨을 선수들이 '인', '포', '벨', '☆', '쏘', '팔', '코', '사', '놀' 중에서 하나를 골라서 사다리타기를 해 대진을 정했다. [82] 대회 중간에 합류하였다. [83] 이번 대회부터 새로 해설진에 합류했다. [84] 승자승 및 특이사항 [W]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 선발전 출전 [W] [W] [88] 나카무라 스미레한국기원 객원 기사 이적 후 첫 공식대국이다. [89] 여담으로 스미레가 매우 우세한 바둑이었으나 이후 실수가 나와 반집승부가 됐는데 역전패를 당했다는 생각에 눈물을 흘리고 계가에 임하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 [90] 김정현 선수가 7분 늦게 대국장에 도착해 기본시간 7분이 공제된 상태로 대국을 시작했다. [91] 중후반에 박민규가 역전했으나 끝내기 과정에서 실착을 범해 다시 바둑이 스미레에게 기울어졌다. 아쉬움이 컸는지 박민규는 짧은 복기 후 곧바로 반상의 돌들을 치우고 말았다. [92] 잔끝내기만 남겨두고 이창석의 반집~1집반 승리가 유력했던 상황에서 박정환이 돌을 거두며 이창석의 불계승이 되었다. [93] 이 대국의 승자가 "'차기 시드를 확정'''하게 된다. [94] 박정환이 이 대국을 승리하며 풀리그 7승 1패도전권을 획득하여 신진서의 도전 5번기 상대로 결정됐다. [95] 임상규는 이번 예선 통과자 중 유일하게 1차예선부터 출발하였으나, 1~2차 예선에서 한웅규, 박종훈, 윤준상, 박승화 등 자신보다 훨씬 상위랭커들을 모두 꺾은데 이어 최종예선에서는 전기 본선멤버였던 원성진과 박진솔까지 연파하고 본선에 최종 합류했었다.

2.6. 제6회 대회 (2026년)

3.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

2025년부터 시작하는 대회로 기존 '최고 기사 결정전'을 국제대회로 확대해서 여는 대회이다. 국내 대회와 격년제로 대회를 진행하는 운영방식으로 2024년 국내 5기 대회를 하고 2025년에 세계 대회를 시작하기 때문에 앞으로 홀수해에 열리는 쏘팔코사놀배는 세계대회로 열리게 된다.

초대 대회는 한국 몫으로 4명, 중국 몫으로 2명, 일본과 대만은 각 1명, 와일드카드 1명으로 쏘팔코사놀배 국내 대회 본선과 동일한 9인 풀리그 방식이다. 풀리그 방식으로 세계 대회를 하는 것은 이 대회가 최초이다. 단 국내 버전과 차이점은 결승이 3번기로 실시된다. 우승 상금은 2억원으로 메이저급 세계대회로 열리게 된다.

3.1. 역대 대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