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34:0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광주광역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추계인구를 언급할 수 없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추계인구를 언급할 수 없다
토론 - 특례선거구를 언급할 때 합의 조건에 맞는 것만 가능하며 확정되지 않은 행정개편을 전제로 한 구체적인 획정안을 언급할 수 없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지역별 쟁점
2.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선거구2.2. 광주광역시의 인구 변동2.3. 광주광역시 원도심의 선거구 조정
2.3.1. 동구·서구 합구안2.3.2. 동구·북구 합구안2.3.3. 동구·남구 합구안
2.4. 총평
3.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선거구획정안

1. 개요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광역시 선거구 획정에 대해 정리한 문서로서 작성할 때는 다음의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2. 지역별 쟁점

광주광역시는 17대부터 21대까지 5번의 총선에서 대전광역시보다 인구가 적음에도 더 많은 의석 수를 가져갔다.[2] 자치구는 물론 선거구별로 인구 편차가 크지 않은 대전광역시와는 달리 광주광역시는 자치구별로 인구의 차이가 커서 선거구 역시 불합리하게 조성되었다.

선거구가 축소되는 것을 막고자 자치구 경계를 조정했거나 20대 총선 때에는 아예 동구와 남구를 합쳐서 갑/을로 구성해 현재까지 이어졌지만, 여전히 인구가 감소해 선거구 통폐합이 필요한 지경에 이르렀다.

2.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선거구

선거구 관할구역 인구[3]
동구·남구 갑 남구 진월동, 노대동, 덕남동, 송암동, 대촌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봉선1동, 봉선2동, 주월1동, 주월2동 169,115명
동구·남구 을 남구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 + 동구 전 지역 147,424명
서구 갑 서구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 155,299명
서구 을 서구 상무2동, 화정3동, 화정4동, 금호1동, 금호2동, 서창동, 풍암동 145,176명
북구 갑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석곡동, 임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문흥1동, 문흥2동, 오치1동, 오치2동 176,509명
북구 을 북구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용봉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256,516명
광산구 갑 광산구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신흥동, 어룡동, 우산동, 운남동, 동곡동, 월곡1동, 월곡2동, 삼도동, 본량동, 평동 167,593명
광산구 을 광산구 첨단1동, 첨단2동,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238,229명

2.2. 광주광역시의 인구 변동

21대 총선 이후 광주광역시의 인구 변동은 다음과 같다.[4]
인구 변동 광주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21대 총선 선거인명부 작성 당시
( 2020년 3월 24일)
1,455,861명 98,673명 300,475명 217,866명 433,025명 405,822명
2020년 12월 말 1,450,062명 102,897명 296,576명 214,579명 430,431명 405,579명
2021년 6월 말 1,442,647명 103,146명 293,008명 213,910명 427,858명 404,645명
2021년 12월 말 1,441,611명 103,470명 291,231명 215,575명 427,114명 404,221명
2022년 6월 말 1,435,378명 103,233명 288,120명 215,274명 426,053명 402,698명
2022년 12월 말 1,431,050명 105,909명 287,401명 212,379명 424,707명 400,654명
2023년 1월 말
( 22대 총선의 선거구 인구 기준일)
1,429,816명 105,887명 287,347명 212,028명 424,326명 400,228명

위의 표를 보면, 21대 총선 이후 광주광역시는 전체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그나마 동구는 원도심 재개발과 내남지구 등의 영향으로 소폭으로 늘어고 있지만, 단독으로 선거구를 구성하기에는 많이 모자른다.

선거인명부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는 '동구·남구 을'과 '서구 갑/을'이 하한선에 근접하고 있다. 이들 세 선거구 중 서구 갑은 수치상으로는 그나마 여유가 있지만, 다른 두 곳은 여전히 인구가 줄어들고 있어서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2.3. 광주광역시 원도심의 선거구 조정

광주광역시 중 영산강 서쪽에 자리한 광산구는 편차가 5만 명 이상으로 편차가 크기 때문에 옛 광산군 비아면 지역[5]과 그 외 지역으로 선거구를 조정해도 되지만, 엄청난 면적 차이로 인해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현상 유지를 해도 괜찮다.

문제는 원도심에 해당되는 영산강 동쪽 지역[6]인데, 동구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며 그 동구도 늘어나는 인구 수가 적다.
인구 변동 동구·남구 갑 동구·남구 을 서구 갑 서구 을 북구 갑 북구 을
21대 총선 선거인명부 작성 당시
( 2020년 3월 24일)
169,115명 147,424명 155,299명 145,176명 176,509명 256,516명
2020년 12월 말 166,762명 150,714명 153,215명 143,361명 173,390명 257,041명
2021년 6월 말 166,964명 150,092명 151,455명 141,633명 172,737명 255,121명
2021년 12월 말 167,558명 150,237명 150,717명 140,514명 172,909명 254,205명
2022년 6월 말 169,630명 148,877명 149,275명 138,845명 175,088명 250,965명
2022년 12월 말 167,489명 150,799명 147,122명 140,279명 176,300명 248,407명
2023년 1월 말
( 22대 총선의 선거구 인구 기준일)
167,191명 150,724명 147,119명 140,228명 176,360명 247,966명

21대 총선 이후, 영산강 동쪽의 광주광역시 원도심 지역은 확실히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그나마 '동구·남구 을'과 '북구 갑'이 지역 재개발의 영향으로 인해 소폭이나마 증가했지만, 언제까지 지속될 지 알 수 없다.

여기에는 상술했듯이 소폭 증가세지만, 인구 하한선에 엄청 못 미치는 동구를 서구, 남구, 북구 중 어디에 붙어야 하는지 여러 방안들이 마련되고 있지만, 이들 방안 자체가 장단점이 분명하게 있다.

2.3.1. 동구·서구 합구안

해당 안은 21대 총선 당시 선거구 획정하는 과정에서 동구와 서구를 합쳐서 갑/을로 편성하는 주장에서 나온 것으로 지방의회 선거구를 건드리지 않고 획정이 가능하며, 인구에 비해 과대대표가 된 광주광역시의 의석 수를 1석 줄이면서도 선거구 인구 편차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만약 이대로 획정된다면 현 광주광역시의회(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준으로 동구 전 지역과 서구 제1선거구(양동, 양3동, 농성1~2동, 화정1~2동)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고, 그 외 서구 지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는 것이다. 그 외 기존 동구와 합쳐졌던 남구는 단일 선거구로 가고, 북구는 현상 유지 혹은 인구 편차를 줄이기 위해 을 선거구의 일부 동을 갑 선거구로 옮기는 방안이 검토된다.

2.3.2. 동구·북구 합구안

이 방안은 북구와 동구를 합쳐 갑/을로 나누는 것으로 이대로 획정된다면 현 광주광역시의회(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준으로 동구 전 지역과 북구 제1선거구 및 제3선거구, 제2선거구 中 오치동을 제외한 지역을 합쳐서 하나의 선거구로 묶고 나머지 북구 지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는 것이다. 그 외 남구는 단일 선거구, 서구는 갑/을 분구나 단일 선거구로 갈 수 있다.[12] 아니면 동구, 북구 합쳐서 3석으로 획정하는 대신 서구의 행정동인 풍암동을 남구로 넘겨서 서구·남구 갑/을 형태의 특례 선거구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위의 '동구·서구 합구안'과 마찬가지로 광주광역시의 지역구 의석 수가 1석 줄어들고 선거구의 경계는 상술된 안보다 훨씬 편하지만, 동구와 북구의 인구 총합이 약 53만에 달해 선거구 상한선에 육박한 상태의 선거구가 나오면서 동시에 인구가 적은 '서구 갑/을'과의 편차가 상당히 심해진다.

2.3.3. 동구·남구 합구안

어차피 현재 국회의원 지역구의 평균 인구가 내려가고 있어 기존 상하한선이 내려갈 가능성도 있기에 기존 지역구들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지역 정치권에서 밀고 있지만, 상술하다시피 외곽을 빼고는 도시인 광주광역시[13]에서 적정 의석보다 많은 의석을 갖는 것 자체에 타 지자체의 비난을 피할 수 없다.

2.4. 총평

사실 광주광역시는 매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적정보다 많은 의석 수를 가져서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농산어촌의 지역대표성을 발현하는 공직선거법 25조 2호 조항을 따라야 한다."라면서 거듭 지역구 유지 주장을 펼치고 있지만, 일단 광주광역시는 이름 그대로 광역시이며 그중에서도 대전광역시와 함께 자치군 없이 순수하게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외곽 지역에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이 있지만[14], 이를 근거로 '외곽에 상대적으로 낙후된 그린벨트 지역이 있으니 농어촌이다.'라는 논리는 다른 5개 광역시 모두 외곽 지역에 상대적으로 낙후된 그린벨트 지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주광역시만이 이를 근거로 지역구 의석 보장을 요구하기에는 당위성이 떨어진다.

일부 지역을 조정하거나 현상 유지를 하면 되는 영산강 서쪽의 광산구와는 달리 옛 광주시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영산강 동쪽 지역은 다소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인구 하한선에 미달한 동구를 어디에 붙어야 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물론 동구가 남구와 합구하여 재분할 한 현행 선거구를 유지하는 것에 인구가 미달하지는 않지만, 광주광역시는 적정의석보다 배정의석을 많이 받고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1석을 줄여야한다면 동구를 서구 혹은 북구와 합쳐 재분할하는 방법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광주광역시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를 아는지, 그동안 불합리한 행정구역을 개편하고자 노력을 기울었지만, 정치권 간 이해충돌 속에서 2022년 하반기에 사실상 중단한 상태라 이번 총선의 선거구 획정 결과에 따라서 지역 간 갈등이 커질 전망이다.

3.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선거구획정안

획정안에서도 변동이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위에서 언급했듯이 대전과 인구 비례당 선거구가 비슷하지만, 이번 총선에서도 광주의 선거구는 줄어들지 않으면서 이에 대한 타 시도의 반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 참고로 21대 총선 선거인명부 당시 인구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을 참고했고, 해당 년도 및 월의 말일의 인구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른다. [2] 20대 총선까지는 대전광역시가 6석, 광주광역시가 8석이었고, 20대 총선 이후로는 대전광역시가 1석이 더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8석인 광주광역시보다 적다. [3] 선거인명부 작성 기준일 현재( 2020년 3월 24일) [4] 다만, 상술된 각 선거구별 관할 구역 중 '동구·남구 을' 중 남구 지역은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동구로 묶여 있어서 선거인명부 작성 당시에는 따로 계산해야 한다. [5] 현재 광산구의 행정동으로 보면, 비아동, 첨단 1~2동, 신창동, 신가동, 운남동, 수완동에 해당하며, 과거 광산군 시절에도 비아면 지역이 군내 2위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6] 물론 광주광역시의 중심지인 상무지구나 북구 첨단지구, 남구 효천지구 등 대규모 택지 개발이 있긴 하다. [7] 북구는 광주시 시절이던 1980년에 기존 동구와 서구 일부를 떼어 형성된 곳이며, 남구는 1995년 광주광역시로 승격이 된 직후에 서구에서 분구되었다. [8] 도로 1곳( 921번 지방도)으로 겨우 연결되었지만, 정작 이들 지역을 가려면, 가운데에 낀 경산시를 거쳐가야 한다. 다만, 이 쪽은 경산시의 인구가 너무 많아 어쩔 수 없이 붙은 경우라 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한 건 해당 선거구 문서 참조. [9] 이 쪽은 기존 남부 3군(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가 인구 미달되면서 보은군과 산맥으로만 인접한 괴산군과 연결되었다. 이 쪽은 서로 왕래하려면, 청주시나 경상북도 상주시를 거쳐가야만 한다. [10] 두 지역을 포함해 중구, 영도구를 비롯한 부산 원도심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자 통합 선거구를 구성한 것인데, 영도구가 중구와 밀접해 서로 합치면서 구봉산 능선을 경계로 둔 두 지역이 한 선거구를 구성했는데, 이 두 지역을 왕래하려면, 중구 지역의 도로를 이용해야 한다. [11] 19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천으로 편입된 강화군은 적은 인구 탓에 단독 선거구 편성이 어려워, 계양구(15대), 서구(16대~19대)와 같은 선거구를 구성하다가 서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20대 총선부터는 원도심(중구, 동구)+옹진군과 같은 선거구를 구성하고 있다. [12] 서구의 현재 인구가 국회의원 지역구 상한선(278,000명)을 넘지만, 분구 시 선거구 하한선에 근접한 수준이다. 다만, 2022년 12월 말 기준 분구상한을 초과하고 지역구의 평균인구가 내려가고 있는 만큼 서구가 1석으로 줄어들 가능성은 낮다. [13] 각 구의 외곽 지역의 행정동 중에는 동이라기보다는 면에 가까운 지역들이 있기는 하지만, 전국 광역시 중에 대전과 더불어 자치군이 없다. [14] 행정동을 기준으로 북구 석곡동 및 건국동, 서구 서창동, 남구 대촌동, 광산구 임곡동, 본량동, 삼도동, 평동, 동곡동 지역으로 면적은 넓지만, 인구는 일반적인 면의 인구 수준인 그린벨트 지역이다. 그나마 서창동과 대촌동, 평동에는 공단이 있으며, 건국동은 남쪽에 주택가가 많이 있어서 인구가 다소 많은 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04
, 3.3.6.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0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