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본 항목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라남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2. 결과
13대 총선 전라남도 지역구 결과 | |
평화민주당 | 한겨레민주당 |
17석 | 1석 |
평민당이 후보 등록이 무효화된 신안군을 제외한 전 의석을 석권했고, 신안군에서는 양김에 반발한 통일민주당 탈당파와 재야세력의 연합정당인 한겨레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2.1. 목포시
목포시 목포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영철(崔永喆) | 14,568 | 2위 |
|
13.98% | 낙선 | |
2 | 배종덕(裵鍾德) | 593 | 5위 |
[[통일민주당| |
0.56% | 낙선 | |
3 | 권노갑(權魯甲) | 87,735 | 1위 |
[[평화민주당| |
84.20% | 당선 | |
4 | 안철(安哲) | 68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65% | 낙선 | |
5 | 차남륜(車南輪) | 81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5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8,261 |
투표율 81.91% |
투표수 | 105,063 | ||
무효표수 | 86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동교동계의 핵심 인사인 평민당 권노갑 후보가 압승했다. 민정당 최영철 후보도 국회부의장까지 역임한 거물이었으나, 평민당 황색 돌풍에는 속수무책이었다. 이후 노태우 정부에서 3개 장관직을 역임하나, 선거에 다시 출마하지는 않았다.
2.2. 여수시
여수시 여수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선규(金宣圭) | 12,915 | 2위 |
|
16.73% | 낙선 | |
2 | 김인수(金仁洙) | 894 | 3위 |
[[통일민주당| |
1.15% | 낙선 | |
3 | 김충조(金忠兆) | 62,360 | 1위 |
[[평화민주당| |
82.1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99,706 |
투표율 78.03% |
투표 수 | 77,799 | ||
무효표 수 | 630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평민당 김충조 후보가 당선되었다. 지난 두 번의 총선에서는 각각 무소속, 군소 정당인 근로농민당 후보로 출마하는 바람에 낙선했지만, 이번에는 평민당 공천을 받아 손쉽게 당선되었다.
2.3. 순천시
순천시 순천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상철(尹相哲) | 7,980 | 2위 |
|
13.30% | 낙선 | |
2 | 박강근(朴康根) | 987 | 5위 |
[[통일민주당| |
1.64% | 낙선 | |
3 | 허경만(許京萬) | 46,629 | 1위 |
[[평화민주당| |
77.73% | 당선 | |
4 | 김천석(金千石) | 4,110 | 3위 |
[[신민주공화당| |
6.85% | 낙선 | |
5 | 이기우(李基宇) | 276 | 4위 |
[[한겨레민주당| |
0.4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5,095 |
투표율 80.47% |
투표 수 | 60,430 | ||
무효표 수 | 448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현역 의원인 평민당 허경만 후보가 무난히 압승했다.
2.4. 나주시·나주군
나주시·나주군 나주시, 나주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한갑수(韓甲洙) | 15,092 | 2위 |
|
19.69% | 낙선 | |
2 | 이재근(李載根) | 57,451 | 1위 |
[[평화민주당| |
74.97% | 당선 | |
3 | 김장곤(金莊坤) | 4,08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3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6,940 |
투표율 80.61% |
투표 수 | 78,145 | ||
무효표 수 | 1,519 |
현역 의원인 평민당 이재근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재근 의원은 선거 직후 평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어 정치적 위상이 한 단계 올라갔으나, 13대 국회임기 막판에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된다.
2.5. 여천시·여천군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여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하택(黃夏澤) | 13,878 | 2위 |
|
20.86% | 낙선 | |
2 | 신장호(申璋浩) | 2,918 | 3위 |
[[통일민주당| |
4.38% | 낙선 | |
3 | 신순범(愼順範) | 49,723 | 1위 |
[[평화민주당| |
74.7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86,823 |
투표율 77.96% |
투표 수 | 67,527 | ||
무효표 수 | 1,008 |
현역 의원인 평민당 신순범 후보가 압도적인 표 차이로 3선 도전에 성공했다.
2.6. 담양군· 장성군
담양군·장성군 담양군, 장성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용훈(朴用勳) | 15,834 | 2위 |
|
19.93% | 낙선 | |
2 | 김영석(金永石) | 1,172 | 5위 |
[[통일민주당| |
1.47% | 낙선 | |
3 | 김길곤(金吉坤) | 54,430 | 1위 |
[[평화민주당| |
68.51% | 당선 | |
4 | 김재식(金在植) | 2,795 | 4위 |
[[신민주공화당| |
3.51% | 낙선 | |
5 | 김사석(金四錫) | 366 | 6위 |
|
0.46% | 낙선 | |
6 | 백상규(白祥圭) | 4,84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0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8,725 |
투표율 82.7% |
투표 수 | 80,402 | ||
무효표 수 | 963 |
사업가인 평민당 김길곤 후보가 평민당 황색 돌풍을 타고 무난히 당선되었다.
2.7. 곡성군· 화순군
곡성군·화순군 곡성군, 화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구용상(具龍相) | 16,174 | 2위 |
|
21.38% | 낙선 | |
2 | 홍기훈(洪起薰) | 56,582 | 1위 |
[[평화민주당| |
74.80% | 당선 | |
3 | 기대웅(奇大雄) | 1,739 | 3위 |
[[신민주공화당| |
2.29% | 낙선 | |
4 | 양동희(梁東希) | 1,140 | 4위 |
|
1.5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3,311 |
투표율 82.32% |
투표 수 | 76,809 | ||
무효표 수 | 1,174 |
홍남순 인권변호사의 아들인 평민당 홍기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홍기훈 당선자는 13대 국회 최연소 지역구 의원이라는 영광도 누리게 되었다.
한편, 구용상 의원의 비서관을 맡았던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가, 구 의원의 낙선으로 갈데가 없어지자 이때부터 여당의 당료 생활을 하게된다.
2.8. 구례군· 승주군
구례군·승주군 구례군, 승주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경현(柳瓊賢) | 16,306 | 2위 |
|
23.49% | 낙선 | |
2 | 조순승(趙淳昇) | 53,103 | 1위 |
[[평화민주당| |
76.5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90,130 |
투표율 81.98% |
투표 수 | 73,886 | ||
무효표 수 | 1,477 |
정치학과 교수인 평민당 조순승 후보가 당선되었다.
2.9. 광양군
광양군 광양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호(金宗鎬) | 18,104 | 2위 |
|
34.96% | 낙선 | |
2 | 김현옥(金現玉) | 1,259 | 4위 |
[[통일민주당| |
2.43% | 낙선 | |
3 | 이돈만(李敦萬) | 29,223 | 1위 |
[[평화민주당| |
56.44% | 당선 | |
4 | 김형주(金亨柱) | 2,531 | 3위 |
[[신민주공화당| |
4.88% | 낙선 | |
5 | 이익노(李益魯) | 657 | 5위 |
[[한겨레민주당| |
1.2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4,759 |
투표율 80.70% |
투표 수 | 52,258 | ||
무효표 수 | 484 |
광양제철소의 영향으로 비호남 유권자가 그나마 많고, 민정당에서도 전직 건설부장관인 김종호 후보를 내세우는등 나름 공천에 신경을 썼지만, 이곳도 평민당 황색 돌풍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미국에서 민주화 운동을 한 평민당 이돈만 후보가 당선되었다.
2.10. 고흥군
고흥군 고흥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대순(李大淳) | 23,768 | 2위 |
|
29.89% | 낙선 | |
2 | 박상천(朴相千) | 54,513 | 1위 |
[[평화민주당| |
68.56% | 당선 | |
3 | 최성희(崔盛喜) | 882 | 3위 |
[[신민주공화당| |
1.10% | 낙선 | |
4 | 송점진(宋占珍) | 338 | 4위 |
|
0.4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9,907 |
투표율 80.45% |
투표 수 | 80,373 | ||
무효표 수 | 872 |
검사 출신인 평민당 박상천 후보가 당선되었다.
2.11. 보성군
보성군 보성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용식(李容植) | 17,523 | 2위 |
|
33.96% | 낙선 | |
2 | 류준상(柳晙相) | 34,071 | 1위 |
[[평화민주당| |
66.0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6,062 |
투표율 79.36% |
투표 수 | 52,426 | ||
무효표 수 | 832 |
현역 의원인 평민당 류준상 후보가 당선되었다.
2.12. 장흥군
장흥군 장흥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성준(朴成準) | 11,109 | 2위 |
|
26.52% | 낙선 | |
2 | 강신만(姜信萬) | 711 | 3위 |
[[통일민주당| |
1.69% | 낙선 | |
3 | 이영권(李永權) | 30,060 | 1위 |
[[평화민주당| |
71.77%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51,770 |
투표율 81.98% |
투표 수 | 42,443 | ||
무효표 수 | 563 |
현역 의원인 평민당 이영권 후보가 당선되었다.
2.13. 강진군· 완도군
강진군·완도군 강진군, 완도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식(金湜) | 22,305 | 3위 |
|
25.74% | 낙선 | |
2 | 김석영(金錫英) | 1,352 | 4위 |
[[통일민주당| |
1.56% | 낙선 | |
3 | 김영진(金泳鎭) | 35,065 | 1위 |
[[평화민주당| |
40.46% | 당선 | |
4 | 이선동(李先東) | 27,92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2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9,028 |
투표율 80.37% |
투표 수 | 87,628 | ||
무효표 수 | 981 |
민정당은 현역 김식 의원을 공천했다. 평민당은 농민운동가 출신인 평민당 김영진 후보를 공천했다. 평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이선동 후보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김식, 김영진 후보가 강진군 출신인 반면, 이선동 후보는 유일한 완도군 출신 유력 후보였기에 소지역주의의 도움을 받으면 당선을 기대해볼 수 있었다.
치열한 3파전이었지만 그래도 평민당 바람을 타고 김영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선동 후보는 완도군에서는 1위를 했지만 강진군의 저조한 득표율때문에 2위에 그쳤다. 민정당 김식 후보는 3위로 내려앉았다.
2.14. 해남군·진도군
해남군·진도군 해남군, 진도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시채(丁時采) | 25,302 | 2위 |
|
24.19% | 낙선 | |
2 | 김봉호(金琫鎬) | 65,937 | 1위 |
[[평화민주당| |
63.05% | 당선 | |
3 | 성관실(成瓘實) | 636 | 5위 |
[[신민주공화당| |
0.60% | 낙선 | |
4 | 양동주(梁東柱) | 486 | 6위 |
[[한겨레민주당| |
0.46% | 낙선 | |
5 | 박영상(朴榮相) | 2,88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75% | 낙선 | |
6 | 임영득(任煐得) | 9,31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8,684 |
투표율 82.36% |
투표 수 | 105,990 | ||
무효표 수 | 1,426 |
현역 의원인 평민당 김봉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정당의 경우, 공천 과정에서도 내분이 있어서 결국 탈락한 임영득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러나 정시채, 임영득 두 후보의 표를 합쳐도 김봉호 후보가 얻은 표에 미치지 못했다.
2.15. 영암군
영암군 영암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환의(李桓儀) | 13,517 | 2위 |
|
30.51% | 낙선 | |
2 | 유인학(柳寅鶴) | 30,389 | 1위 |
[[평화민주당| |
68.59% | 당선 | |
3 | 황규정(黃奎停) | 393 | 3위 |
[[신민주공화당| |
0.8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3,568 |
투표율 84.00% |
투표 수 | 44,999 | ||
무효표 수 | 700 |
한양대 교수인 평민당 유인학 후보가 당선되었다.
2.16. 무안군
무안군 무안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노인옥(魯仁鈺) | 10,945 | 2위 |
|
23.13% | 낙선 | |
2 | 박석무(朴錫武) | 34,220 | 1위 |
[[평화민주당| |
72.34% | 당선 | |
3 | 윤무중(尹武重) | 783 | 4위 |
[[신민주공화당| |
1.65% | 낙선 | |
4 | 이재옥(李載玉) | 1,355 | 3위 |
[[한겨레민주당| |
2.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8,814 |
투표율 81.32% |
투표 수 | 47,826 | ||
무효표 수 | 523 |
해직교사이자 다산 정약용 연구의 권위자인 평민당 박석무 후보가 당선되었다.
2.17. 함평군· 영광군
함평군·영광군 함평군, 영광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기상(曺淇相) | 19,826 | 2위 |
|
23.09% | 낙선 | |
2 | 서경원(徐敬元) | 64,220 | 1위 |
[[평화민주당| |
74.79% | 당선 | |
3 | 최주경(崔柱鏡) | 1,818 | 3위 |
[[신민주공화당| |
2.1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1,644 |
투표율 78.5% |
투표 수 | 87,445 | ||
무효표 수 | 1,581 |
농민운동가인 평민당 서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하지만 서경원 의원은 당선 후 같은 해 8월에 북한을 몰래 방문하고, 1년 뒤인 1989년에 밀입북한 것이 알려지면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다. 이후 1990년 8월 24일에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되어 의원직을 상실했다.
2.18. 신안군
신안군 신안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복수(金福洙) | 9,827 | 2위 |
|
22.33% | 낙선 | |
|
|
- | 등록무효 |
[[평화민주당| |
- | ||
3 | 박형오(朴亨午) | 34,162 | 1위 |
[[한겨레민주당| |
77.6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2,257 |
투표율 75.94% |
투표 수 | 47,277 | ||
무효표 수 | 3,288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신안군에서 전국 유일한 한겨레민주당 소속 의원이 당선되었는데, 이 지역 출신 유력 정치인 한화갑이 피선거권을 회복하지 못해 후보 등록무효 처리되자 평화민주당측에서 親DJ 성향인 박형오를 대타로 출마시켜 당선된 것이다.
박형오 당선자는 당선 직후 한겨레민주당을 탈당해 평민당 소속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