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리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분파 | ||||
에스닉 내셔널리즘 | 문화 내셔널리즘 | 온건 내셔널리즘 | 시민 내셔널리즘 | 진보적 내셔널리즘 | |
좌익 내셔널리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국민자유주의 | 국민공산주의 | |
경제적 내셔널리즘 | 자원 내셔널리즘 | 종교 내셔널리즘 | 퀴어 내셔널리즘 | 호모내셔널리즘 | |
페모내셔널리즘 | 뉴 내셔널리즘 | 민족 볼셰비즘 | 사이버 내셔널리즘 | 울트라내셔널리즘 | |
다원적 내셔널리즘 | 낭만적 내셔널리즘 | 네오내셔널리즘 | 영토 내셔널리즘 |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
민족 아나키즘 | 국가 내셔널리즘 | 애국주의 | ||
정체성별 내셔널리즘* |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 독일 내셔널리즘 | 러시아 내셔널리즘 | 미국 내셔널리즘 | 베트남 내셔널리즘 |
아랍 내셔널리즘 | 이탈리아 내셔널리즘 | 일본 내셔널리즘 | 중국 내셔널리즘 |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
타이완 내셔널리즘 |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 프랑스 내셔널리즘 | 한국 내셔널리즘 | 홍콩 내셔널리즘 |
지역별 내셔널리즘 | ||||
단군민족주의 | 삼균주의 | 일민주의 | 민중민족주의 | 대한민국주의 |
야마토 민족주의 | 주체사상 | 조선민족제일주의 | 미국 예외주의 | 트럼프주의 |
힌두트바 | 한족 민족주의 | 만주 민족주의 | 대한족주의 | 지방 민족주의 |
아일랜드 공화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보우소나루주의 | 시오니즘 | 판차실라 |
페론주의 | 푸틴주의 | 소비에트 애국주의 | ||
범국민주의 | ||||
대독일주의 | 범슬라브주의 | 범튀르크주의 | 범아시아주의 | 범아랍주의 |
스칸디나비아주의 | 대소말리아주의 | 베르베르주의 | 범투란주의 | 범이슬람주의 |
범아프리카주의 | ||||
인종국민주의 | ||||
흑인 민족주의 | 백인 민족주의 | 한민족주의 | ||
분리주의 · 독립운동 | ||||
류큐 독립운동 | 만몽 독립운동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타이완 독립운동 | 티베트 독립운동 |
한국 독립운동 | ||||
관련 이념 | ||||
트랜스내셔널리즘 | 포스트내셔널리즘 | 안티내셔널리즘 | 국가주의 | 정체성 정치 |
자민족중심주의 | 실지회복주의 | 팽창주의 | 패권주의 | 파시즘 |
쇼비니즘 | 선민사상 | 순수혈통주의 | 고립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복지 쇼비니즘 | 반세계화 | 힘에 의한 평화 | ||
관련 개념 및 용어 | ||||
민족 ( 폴크) | 국민 | 국민국가 ( 민족국가) | 국유화 | 에스니시티 |
네이션 | 내셔널 아이덴티티 | 민족신화 | 애국 ( 애국심) | 국뽕 |
네이션 빌딩 | 단일민족국가 | 국가이익 | 민족해방 | 민족주의 테러 |
부흥운동 | 언어순화 운동 | 독립운동 | 통일 | |
* 보통 민족(ethnic)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내셔널리즘인
에스닉 내셔널리즘의 사례가 많지만
미국 내셔널리즘,
프랑스 내셔널리즘, 싱가포르 내셔널리즘,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같은 국적자/시민권자(citizen)를 중심으로 한
시민 내셔널리즘의 사례도 있다.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1. 개요
페론주의(스페인어: Peronismo)는 아르헨티나 대통령이었던 후안 페론의 사회 및 경제 정책 등의 방향을 일컫는 단어이다. 페론 자신이 붙인 이름은 아니며, 페론은 자신의 정책 사상에 대해 정의주의(Justicialismo)라는 표현을 사용했다.페론주의는 혼합정치를 대표하는 이념으로 학자들에 따라 가부장적 보수주의, 사회주의나 좌익대중주의, 경제적/사회적 진보주의, 지도주의, 파시즘( 제3의 위치) 등 매우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다. 일단 다양한 평가 속에서도 모두가 동의하는 점은 페론주의가 포퓰리즘과 내셔널리즘 이데올로기라는 것이다.[1]
2. 상세
흔히 페론주의 정책이라고 하면 좌파 포퓰리즘 정책이라는 식의 주장이 제기되지만, 이는 내용적으로나 시기적으로 따져보면 부분적으로는 맞고 부분적으로는 틀린 말이다. 아르헨티나에서 유명한 정치인이 페론이다 보니 잘 모르는 기자들도 아르헨티나 관련 기사는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기승전페론 식으로 단순무식하게 갖다쓰는 것에 가깝다.일단 페론이 정책적으로는 노동자 임금 인상과 사회 복지 정책의 대대적 확충 등으로 빈부격차를 줄이고[2], 원주민 차별 해소[3]와 가톨릭계의 반대에도 이혼 합법화 등 세속주의를 대변하여[4] 좌파스런 정책을 대폭 수용했던 건 사실이다. 외교적으로도 제1세계가 아닌 제3세계 중립 성향으로 소련 등 공산권 국가들과도 사이가 좋고 우호적이었으며 이들과도 교류가 잘 이뤄졌었다. 여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진 것도 따지고 보면 페론 정권 시기.[5]
허나 페론의 개인적인 성향은 좌파라고만 하긴 상당히 애매한 인물로, 사실 후안 페론이 젊었을 적 이탈리아에 머물면서 베니토 무솔리니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것도 있는 데다가, 1946년 집권 후 소모사,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등 반공주의 성향의 독재자랑 꽤나 친하게 지내면서 본인 집권기엔 오히려 공산당을 탄압하기도 했다. 또한 그의 대표적인 흑역사라 할만한 나치의 남미 도주를 허용하면서 나치 인사를 돈을 받고 일부 받아들이기도 했고[6], 더군다나 1956년에 쿠데타로 쫓겨난 이후에는 파라과이와 파나마, 스페인을 오가며 망명생활을 하는 등[7] 우파 독재자들과의 사이도 나쁘지 않은 편이었다.[8]
다만 페론이 군부정권에 쫓겨났다 보니 70년대 들어 정세가 유리하게 돌아가자 아르헨티나로 귀국하면서, 명예회복을 할 생각에 여러 성향의 당원들을 대거 끌어들이면서 성향이 급속히 다양해졌다는 의견도 있다. 그래도 페론 사망 이후 80년대 민주화 직후부터 90년대까지는 좌우 성향의 당원들이 빅텐트 형식으로 정의주의당 아래에서 한솥밥을 먹었지만[9],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 경제위기 속에서 당내 노선 갈등을 겪다 분열이 일어나면서 2003년 대선을 앞두곤 정의주의당내 각 계파들이 따로 후보를 내는 사실상 분당 가까운 상황까지 연출된다.
2천년대 이후부턴 키르치네르주의가 이른바 신페론주의로 각광받으며 페론주의가 재조명되고 있는데, 사실 오늘날 관점에서 보면 페론주의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생명력을 유지하는 것은, 아르헨티나의 비페론주의자들이[10] 반페론주의를 외치지만 말만 앞설 뿐 비전을 제시하지 못해 무리한 노선 수정 결과 오히려 새로운 위기를 생성해낸 경우가 많기 때문이란 말이 자조적으로 나온다.
3. 분파
3.1. 주류 페론주의
3.1.1. 키르치네르주의
자세한 내용은 키르치네르주의 문서 참고하십시오.정의주의자당 좌파 세력인 키르치네르 부부 등이 내세운 사상으로, 21세기 들어선 페론주의에서도 가장 최주류이다. 다만 자세히 파고보면 내용 차이는 있어[11], 그냥 키르치네르주의라고 하거나 페론주의의 장단점을 보완한 21세기형 신페론주의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3.1.2. 메넴주의
자세한 내용은 메넴주의 문서 참고하십시오.정의주의자당 우파 세력의 주류이다. 명칭 자체는 카를로스 메넴에게서 따온 것이지만 메넴과 무관한 신자유주의적 페론주의자들도 있어 '연방 페론주의'라고 지칭되는 경우도 많다.
3.2. 비주류 페론주의
3.2.1. 정통 페론주의
자세한 내용은 정통 페론주의 문서 참고하십시오.초기 페론주의의 성격을 계승한 이념이다. 페론의 제34대 대통령 임기는 권위주의적 성격이 약화되고 사회주의적 성격이 더 가미되었던 반면, 제24~25대 대통령 임기는 반공주의에 기반해 가부장적 보수주의 내지 유사 파시즘에 가까운 면모도 보였다. 다만 엄밀히 따지면 반대파 탄압 등 권위주의적 요소는 24대 취임 이후 25대로 가는 동안 두드러졌고, 이 기간에도 후안 페론과 에바 페론은 노동자들의 대변인을 자처하고 기득권층을 비난하는 연설을 자주 했다. 노동자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업고 대통령직에 오른 그는 구 파시즘 정권보다 프롤레타리아적 성격이 강했고, 구 지배층에게 노골적인 적대감을 드러냈다.[12]
3.2.2. 혁명 페론주의
자세한 내용은 혁명 페론주의 문서 참고하십시오.1970년에 대두된 사상으로 후안 페론과 페론주의를 혁명적 사회주의적으로 해석한 이념이다.
4. 같이 보기
[1]
다만 내셔널리즘도 형태가 천차만별인지라, 페론주의가 지향한 내셔널리즘 방향성이 무엇이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적이다. 다시말해 페론주의가 극우적
국수주의(파시즘)라고 정의해야 할지,
좌익 내셔널리즘으로 정의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차가 크다.
[2]
아르헨티나에서 페론주의의 가장 일관된 지지 기반은 예나 지금이나 노동조합 세력이었다.
[3]
어머니가 아메리카 원주민 출신으로, 페론 본인부터가 아르헨티나 소수층인
메스티소였다. 그런 양반이 나치를.. 도망온 나치도 소수자라고 착각한듯?
[4]
이때 가톨릭계와 등 지면서 페론의 입지가 이전보다 약해져 군부 쿠데타의 빌미를 준다.
[5]
이는 페론의 아내
에바 페론이 강하게 지지한 것이기도 했다. 덕분에 노동자들의 대변인으로 이미지 코스프레하던 페론은 여성들의 인기까지 얻게 된다.
[6]
다만 이는 약간 오해가 있는게, 페론은
스페인 내전에서
프랑코군에 패배한
스페인 제2공화국의 난민들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좌파쪽에 더 가까운 망명객, 그리고
홀로코스트를 피해 유럽에서 남아메리카로 도망친
유대인과
집시들도 곧잘 받아주었다.
[7]
헌데 이때 만난
체 게바라랑도 사이가 좋긴 했다.
[8]
이런 애매한 노선은 브라질 대통령을 지낸
제툴리우 바르가스와도 유사점이 있다.
[9]
심지어 90년대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시절엔
신자유주의를 전폭적으로 수용해, 페론주의와는 거리가 먼 우파 정당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수준이었다.
[10]
우파 군부세력부터 좌파 민주화 세력까지 분포도 다양한 편이다. 특히 군부세력은 쿠데타로 페론주의자들을 몰아내고 정권을 잡은 후 경제도
포클랜드 전쟁도 말아먹으면서(...) 체면을 구긴다.
[11]
예를 들어 페론주의가 강조하던 내수시장뿐만 아니라 해외투자 유치 등에도 적극 나서는 식.
[12]
로버트 O. 팩스턴 지음, 파시즘 : 열정과 광기의 정치 혁명 (손명희, 최희영 옮김, 교양인, 2005)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