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아나운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강서은 | 강성곤 | 강수정 | 강영숙 | 강찬선 | ||||
고민정 | 공정민 | 김경란 | 김도연 | 김동건 | |||||
김동우 | 김명숙 | 김민정 | 김병찬 | 김선근 | |||||
김선동 | 김성수 | 김영호 | 김윤지 | 김지원 | |||||
김태욱 | 김한별 | 김현욱 | 김현태 | 노현정 | |||||
도경완 | 맹관영 | 박경희 | 박영주 | 박용호 | |||||
박은영 | 박종세 | 박지윤 | 박찬숙 | 박태남 | |||||
박현선 | 박현우 | 배성재 | 변웅전[A] | 서기원 | |||||
서기철 | 손미나 | 손범수 | 손석기 | 송경희 | |||||
송지헌 | 신영일 | 신은경 | 오영실 | 오유경 | |||||
오정연 | 왕종근 | 원종배 | 위서현 | 위진록 | |||||
유덕훈 | 유수호 | 유애리 | 유정아 | 유지철 | |||||
윤소희 | 윤영미 | 이계진 | 이광용 | 이규원 | |||||
이금희 | 이미선 | 이성민 | 이숙영 | 이장우 | |||||
이정민 | 이지애 | 이지연 | 이창호 | 이한숙 | |||||
이혜성 | 임성민 | 임수민 | 임택근[A] | 장기범 | |||||
장은영 | 장혜원 | 전영우 | 전인석 | 전현무 | |||||
정다은 | 정도영 | 정미정 | 정미홍 | 정세진 | |||||
정은승 | 정은아 | 조수빈 | 조우종 | 조충현 | |||||
지승현 | 진양혜 | 차다혜 | 최계환 | 최동석 | |||||
최선규 | 최세훈 | 최송현 | 최연택 | 최영미 | |||||
최은경 | 표영준 | 한석준 | 홍지수 | 황수경 | |||||
황인용 | 황우겸[A] | 황유선 | 황정민 | 황현정 | |||||
현직 아나운서 | 지역 아나운서 | |||||||||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
이름 | 정도영(鄭都永) |
생년월일 | 1942년 |
데뷔 | 1971년 KBS 공채 아나운서 |
학력 | 서울교육대학교 출신 |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아나운서였던 방송인. 1971년 KBS에 입사하여[1] 1990년대 프로야구/메이저리그의 메인 캐스터로 활동하였다. 2000년에는 KBS를 퇴직한 후에는 SBS Sports로 옮겨가서 야구 중계를 하기도 했다.1944년생이지만 출생연도에는 1942년생으로 되어 있다.
2005년 야구용어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2. 출연
- KBS 야구 캐스터(1982~1998)
- KBS 장기 고수전 MC[2]
3. 중계 스타일 및 여담
KBS의 야구 캐스터 계보[3]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캐스터다. 1990년대 중/후반 KBS 야구 중계를 대표하는 캐스터로, 거의 일정한 톤의 중저음이 특징이다. 그의 시그니쳐 멘트는 N점짜리 실책입니다.(주로 상대팀에게 실책으로 점수를 내줄 때)/큽니다, 쭉~ 뻗습니다.(홈런 콜) 등이 있다. 1993년 한국시리즈에서 해태 타이거즈가 팀 통산 7번째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과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가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도 정도영 캐스터가 중계했다.1980~1990년대 KBS에서 스포츠 중계, 그 중에서도 야구 중계를 전담한 아나운서들은 원래 KBS 출신인지, 아니면 TBC 출신인지에 따라 중계 스타일이 크게 갈렸다. 이세진, 정도영 아나운서 같은 KBS 출신 아나운서들은 목소리 톤의 큰 변화가 없는 정석적인 중계를 선보였던 한편으로, 이장우, 유수호 등 TBC 출신 아나운서들은 특유의 말투와 톤이 살아있는 중계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후배 아나운서들 중 김현태 아나운서가 이런 중계 스타일로 2010~2020년대 들어 비판이 많아졌다. 중계의 톤이 조금 높아지고 속도감이 살아났을 뿐, 멘트는 과거 스타일을 답습했던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정도영 아나운서의 중계 스타일은 당시의 사회 분위기와 방송 트렌드를 잘 타고났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담으로 역대 6번[4]의 한국시리즈 최종전을 생중계하며 이 분야 공동 1위에 올라있는데, 함께 공동 1위에 오른 사람이 바로 김현태 아나운서[5]다.[6]
[1]
스포츠 분야에서 활약한 김윤한 아나운서가 그의 동기로, 이 기수는 KBS의 공사화 이전 마지막 기수다.
[2]
1992년~1993년에 매주 일요일 아침에 방영했던 말그대로
장기를 두는 프로기사들이 나와서 겨뤘던
프로그램이다. 링크에 연결된 건 1993년 추석특집때 방영된 방송분량이다.
[3]
이규항-이세진/이장우/정도영-
표영준/
유수호-
김현태/
유지철-
이광용/
강승화-
김진웅.
[4]
1986, 1987, 1990, 1993~1995.
[5]
2008, 2010~2013, 2016.
[6]
이 두 캐스터 다음으로 최종전 중계를 많이 한 캐스터는 임주완(1982, 1986, 1987, 1992), 양진수(1991, 1995, 1997, 1998) 총 4회, 그 다음으로는 김정일(2000~2002), 표영준(1999, 2004, 2006), 이광용(2018~2020), 김나진(2021~2023) 총 3회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