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03:50

이준의(무인시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준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무인시대 이의방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정중부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경대승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이의민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최충헌 아이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이의방 측근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정중부 측근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경대승 측근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이의민 측근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최충헌 측근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황실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신료 김돈중 · 한뢰 · 임종식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기타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외국인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파일:무인시대 이준의.png

1. 개요2. 배우3. 극중 행적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실존인물 이준의를 바탕으로 한 배역이다. 배우 김동현이 맡았다.

2. 배우

배우 김동현은 후속작인 〈 불멸의 이순신〉에서 이순신의 장인 방진 역, < 대조영>에서는 거란의 대족장인 이진충 역을 맡았다.

3. 극중 행적

이의방( 서인석 분)의 형.

이의방이 정권을 휘어잡자 그를 등에 업고 승승장구하는 인물. 이의방의 책사를 자청하지만, 어째 무비( 김성령 분)의 조언이 더 유용해보이는 일이 많다. 사실상 동생의 권력을 등에 업고 권력을 휘두르는 소인배. 대취한 상황에서 명종을 알현하거나, 술취한 상태로 정줄놓고 이의방을 욕하는 등 말 그대로 주폭의 모습도 보인다.

동생 때문에 벼락 출세하고도 이의민( 이덕화 분)이 의종( 김규철 분)을 죽인 일로 이의방이 반대파들의 공격으로 정치적으로 곤경에 처하자 낙향하라고 권하다가 호통 듣고[1], 이의방이 위기를 넘긴 후에는 이의방이 자신은 형님에게 좌승선 벼슬을 줬는데 형님은 뇌물을 받고 조정 인사에 끼어들어 자신이 포부를 펼치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고 일갈하면서 좌승선 벼슬에 만족하고 입 다물던지 낙향하던지 택하라고 하자 앞서 말한 대로 이의방이 자신을 죽이려는 거면 그리 쉽게 죽지는 않을거라면서 술에 취한 채 찾아가서 그의 죄를 운운하며 칼까지 겨누다가 극대노한 이의방이 역으로 칼을 빼들어 이준의가 겨눈 칼을 쳐내고 형이고 뭐고 죽이려는 순간 문극겸이 이의방을 말리는 틈에 달아나 정중부( 김흥기 분)에게 자기 목숨 살려달라며 중재를 부탁하고 다시는 이의방이 하는일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빌고 빌어 겨우 화해한다.

그러나 이의방이 죽은 후 인생이 제대로 꼬이는데 동생 이의방이 죽은 후 극대노해 황궁까지 찾아온 이의민에게 이의방의 복수를 할 생각은 안하고 이의방을 죽인 자들에게 목숨을 구걸하다니 부끄럽지도 않냐는 일갈을 듣는데,사실 이건 이의방이 다른것도 아니고 반역의 혐의로 참살된 것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측면도 있긴 하지만 그 시점에선 아직 전후 사정이 명확하게 밝혀진게 아닌데도 순식간에 정중부에게 붙어먹는것도 그렇고 반대로 이의민은 반역의 죄를 뒤집어 쓰더라도 이의방의 원한을 갚으려는 모습과 비교해 보면 좀 없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이후엔 자신의 동생을 죽인 정중부에게 찾아가서 자존심 다 버리며 무릎까지 꿇고는 충성을 바칠 테니 일전에 이의방과 화해를 주선해 자신을 살려준 것처럼 이번에도 구해달라고 부탁하지만, 정작 정중부는 살려두면 후환이 되고도 남을 이의방 일당을 살려줄 마음이 전혀 없었기에 이준의의 벼슬을 떼어버림과 동시에 폐주의 국상을 선포하고 이의민에게 상금을 걸고 연주도령을 사주하여 이의민을 기습하는 등 전주 이씨 가문을 위기로 몰고 가고 이준의 본인도 군사들에게 쫒기는 신세가 돼 버린데다가 유일한 뒷배였던 조카이자 태자비 사평황후( 박은빈 분)까지 출궁당하자 문극겸과 윤인첨( 김인태 분) 등을 찾아가 그들과 힘을 합쳐 정중부 부자를 탄핵하려고 시도하거나 이춘부( 손호균 분)를 보내 이의민을 불러들이려 한다.

그러나 도움을 청한 문극겸( 김종결 분), 윤인첨에겐 각각 정중부에게 대항해 본들 이 나라 사직엔 아무런 보템이 되지 않을것이라는 말과 이미 대세는 기울었고 명종의 폐주에 대한 국상 선포와 태자비 폐위에 대한 뜻이 굳건한 만큼 이준의가 반 정중부 세력을 결집시켜 싸우는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나 마찬가지라며 모두 거절당하고 낙향하라는 말을 듣게 되고,자신이 마지막 방책으로 불러들이려 했던 이의민이 암살당했다는 헛소문에 의해[2] 결국 자포자기한 채로 정중부를 찾아가 "정중부도 사직을 하고 무신정변으로 출세한 무신들을 사직시키지 않으면 정치적 혼란기가 계속될 것이고 해주 가문(정중부의 가문) 또한 우리 가문과 똑같이 멸문지화를 당할 것"이라는 예언을 남긴 채 자결한다.이 예언이 상당히 불쾌했는지 정중부는 얼굴이 울그락불그락 하는데 이 예언은 몇년뒤에 현실이 된다.해설에 따르면 동생 이의방과 함께 사이좋게 전주 이씨 족보에서 이름이 파였다고.

[1] 이준의 본인은 정중부 이의방 등은 물론 송유인이나 조원정 등과 비교해 봐도 일신의 능력이란 게 전혀 없고 송유인처럼 본인이 공을 세운것 조차 없으며,어디까지나 벽상공신이자 거병의 주역인 이의방의 뒷배로 출세를 한 것이기 때문에 이준의가 권세를 부릴 수 있는 기반이 이의방의 무력인지라 만약 이의방이 반대파의 압박에 굴복해 낙향, 실각하면 본인도 바로 탄핵받을 게 뻔한데도 이런다. 자기가 어디에 기생하고 있는지조차 파악 못하는 인간이다.(...) [2] 이 때 암습을 당하긴 했지만 의외로 이의민은 무사한 상태였다. 다만 어차피 거의 죽다가 살아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부하들 대부분이 배반하거나 죽은 상태라 남은 건 박존위 등 소수의 심복뿐이였고 정중부 측의 사주를 받은 연주와 서경 양측에게 쫒기던 상황이었으므로 이의민을 부른다고 한들 개경으로 무사히 올 수 있을지도 미지수였고 실제로도 이의민은 정중부가 반역죄로 참수당하기 전까진 황도엔 얼굴도 못 내밀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1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