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20:05:03

이반 치스차코프

한국 군정기 지도자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23px;"
{{{#1D1D1D,#e2e2e2
파일:소련군정 국장.svg
소련군정
파일:미군정청 문장.svg
미군정
이반 치스차코프 존 리드 하지 }}}}}}
한국 통감 · 조선 총독}}}}}}}}}
이반 치스차코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 Адмирал флота
육군
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 세묜 부됸니 | 세묜 티모셴코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P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NKVD
원수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원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병과상원수
Главный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상원수
포병상원수
니콜라이 보로노프
공군
항공상원수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 알렉산드르 골로바노프
병과원수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원수
포병원수
니콜라이 야코블레프
기갑원수
파벨 로트미스트로프 | 세묜 보그다노프 | 파벨 리발코 | 야코프 페도렌코
통신원수
이반 페레십킨
공병원수
미하일 보로비요프
공군
항공원수
세르게이 후댜코프
대장
Генерал армии
육군
대장
이반 튤레네프 | 드미트리 파블로프1 | 니콜라이 바투틴 | 알렉세이 안토노프 | 안드레이 예료멘코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안드레이 흐룰료프 | 이반 바그라먄 | 이반 체르냐홉스키 | 게오르기 자하로프 | 이반 마슬렌니코프 | 막심 푸르카예프 | 이반 페트로프 | 니콜라이 불가닌P | 마트베이 자하로프
상장
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 Адмирал
육군
상장
미하일 키르포노스 | 야코프 체레비첸코 | 표도르 쿠즈네초프 | 필리프 골리코프P | 막스 레이테르 | 바실리 쿠즈네초프 | 파벨 쿠로치킨 | 바실리 고르도프 | 바실리 카자코프A | 키릴 모스칼렌코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세르게이 바렌초프A | 바실리 추이코프 | 니칸드르 치비소프 | 미트로판 네델린A | 미하일 카투코프T | 마르키안 포포프2 | 드미트리 렐류셴코 | 세르게이 비류조프 | 안드레이 즈다노프P | 파벨 바토프 | 니콜라이 크릴로프 | 이반 페듀닌스키 | 세르게이 시테멘코 | 이반 치스차코프 |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Sa | 안드레이 크라브첸코T | 테렌티 시티코프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세묜 이바노프 | 이반 류드니코프 | 이사 플리예프 | 뱌체슬라프 츠베타예프 | 미하일 슈밀로프 | 니콜라이 나고르니A | 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 | 니콜라이 푸호프
해군
상장
레프 갈레르 | 아르세니 골로프코 | 블라디미르 트리부츠 | 이반 유마셰프 | 가브릴 자시힌A | 필리프 옥탸브리스키 | 블라디미르 알라푸조프 | 고르데이 레브첸코
공군
항공상장
콘스탄틴 베르시닌 | 스테판 크라솝스키 | 세르게이 루덴코 | 블라디미르 수데츠 | 파벨 지가레프
중장
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 Вице-адмирал
육군
중장
드미트리 랴비셰프 | 미하일 예프레모프 | 파벨 폴루보야로프T | 이반 자하르킨 | 안드레이 블라소프4 | 알렉산드르 로딤체프 | 바실리 글라주노프 | 표트르 코셰보이 |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P | 미하일 글린스키 | 안드레이 게트만T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T | 표트르 이바슈틴 | 파벨 쿨레쇼프A | 니콜라이 비류코프 | 야쿠브 차니셰프 | 미하일 루킨
해군
중장
유리 판텔레예프 | 니콜라이 하를라모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공군
항공중장
예브게니 로기노프 | 예브게니 사비츠키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 Контр-адмирал
육군
소장
미하일 페트로프 | 파벨 바티츠키 | 이반 야쿠봅스키 | 아마자습 바바자냔T | 이반 파블롭스키 | 이오시프 구사콥스키T | 그리고리 쿨리크3 | 콘스탄틴 카자코프A
해군
소장
블라디미르 카사토노프
공군
항공소장
필리프 아갈초프 | 게오르기 지민
P: 정치장교, A: 포병, T: 기갑, Si: 통신, Sa: 공병
※ 문서가 있는 인물만 종전 당시 계급으로 서술
※ 병과원수랑 병과상원수는 대장과 동급이나 의전서열상 대장과 원수 사이에 있었다
※ 포병·기갑·통신·공병·공군 장교는 상장→대장이 아닌 상장→병과원수로 진급
※ 윗 첨자 : 전사
1. 반공 및 지시불이행 혐의로 총살당했으나 전후 1957년 7월 31일 무죄로 판결나면서 복권
2. 1944년 4월 20일 대장에서 상장으로 강등, 전후 1953년 8월 3일 대장 계급 복권
3. 1942년 3월 17일 원수→소장으로 4계급 강등 및 1945년 7월 19일 중장→소장으로 강등
4. 1942년 7월 12일 독일군에게 생포당한 이후 나치 독일에 전향, 종전 후 체포되어 나치 부역 혐의로 사형됨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민정청 초대 민정장관
이반 치스차코프
Иван Чистяков | Ivan Chistyakov
파일:Новый-проект-2020-09-25T131129.608-768x512.jpg
본명 이반 미하일로비치 치스차코프[1]
Иван Михайлович Чистяков
Ivan Mikhailovich Chistyakov
출생 1900년 9월 27일
러시아 제국 트베리현 오트루브네보 마을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트베리주 카신스키구 오트루브네보 마을)
사망 1979년 3월 7일 (향년 78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 초대 민정장관
1945년 10월 3일 ~ 1947년 4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0000><colcolor=#f3c700> 소속 정당
[[소련 공산당|]]
복무 노농적군
1925년 ~ 1946년
소비에트 지상군
1946년 ~ 1968년
최종 계급 상장 (소비에트 지상군)
주요 보직 북조선군정사령관
주요 서훈 소비에트 연방 영웅
레닌훈장 (2회)
수보로프 훈장 1등급 (2회)
수보로프 훈장 2등급 (1회)
적기훈장 (5회)
쿠투조프 훈장 1등급 (2회)
주요 참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만주 작전
6.25 전쟁
}}}}}}}}}
1. 개요2. 행적3. 진급 이력4.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소련 군인. 트베리주 오트루브네보(Отрубнево)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말에 극동군관구 제25군 사령관에서 소련 군정의 장관이 되었다.

2. 행적

전간기에 그는 1930년대까지 캅카스 등 중앙아시아에서 복무하던 군인이었다. 1936년 처음으로 극동 제92보병사단의 참모장이 되었고 1941년까지 동북아시아에 머물렀다.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스탈린그라드 전투,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에 참전해 1944년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1945년에 소련이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만주 작전을 실행해 남진할 때 그는 제25군 사령관이었으며 38선을 미국과 갈라먹기 위해 제25군의 10개 부대를 이끌고 함경북도 경흥군에 주둔하다가 8월 12일에 웅기를 점령했다. 일본 제국이 항복한 8월 15일 그는 조선 인민이 해방되었다는 <치스차코프 포고문>을 발표하고 남진을 계속해 소련군은 24일까지 원산, 평양으로 내려왔다. 상관인 키릴 메레츠코프는 치스차코프를 북조선 군정 사령관에 임명했다.

소련군정의 군정장관으로 이남의 존 하지처럼 북한 지역의 실상에 큰 관심이 없다는 듯 부하들의 행패도 모르는 척 했다. 사실 전문장교인 치스차코프는 정치문제에 직접 개입을 안 했고 실질적인 군정행위는 프리모리예 군관구 군사위원 테렌티 시티코프 상장이 했다. 시티코프는 정치인 출신으로 레닌그라드 포위전 당시 식인범죄단속 기동타격대를 지휘했다. 소련군정은 북한의 공산화에 반하는 행동은 철저히 막아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한 조만식을 가택 연금시키고 반공 운동을 탄압했으며 심지어 소련군의 약탈에 항의해 봉기가 일어나면 한국인의 반을 교수형으로 죽일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초기에는 소련 군인들이 처녀들을 겁탈하는 비행을 저질러도 그대로 냅두기도 했다. 물론 여론이 악화되자 비행을 저지른 소련군인에 대한 처벌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어쨌든 당시 남한이든 북한이든 미군정만큼이나 소련군정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았던 것은 당연지사였다.

하지만 시티코프가 괜찮은 행정능력을 선보였기 때문에 소련군정은 남한을 통치한 존 하지보다는 그나마 나았다는 평을 들었다. 군인 출신인 존 하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정치인 출신인 시티코프는 행정 관리 측면에서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그 덕택에 남한보다 더욱 빠르게 민정이양에 성공할 수 있었다.

우선 지주계층을 때려잡아서 진행하기는 했지만 토지개혁을 재빨리 진행시켜 민생을 어느 정도 안정시켰고 당시 남한에서 초인플레이션이 진행된 것과 다르게 소련식 통제정책으로 물가상승을 억제했다. 존 하지가 인민위원회를 활용하는 대신에 무조건 해산시켜 버리고 친일경찰과 관료를 재채용하는 삽질을 벌이는 동안 소련군정에서 인민위원회의 존재를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탄압이 있을지 언정 정국이 비교적 빠르게 안정을 찾아갈수 있었다. 그래서 해방 후 한동안 북한 경제가 우위였던 이유 가운데 하나가 정치적인 혼란을 재빨리 잠재우고 경제정책도 합리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이다. 물론 인프라가 어느 정도 갖춰져 있고 지하자원도 풍부해서 경제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기도 했지만 단지 인프라가 있다고 해서 경제가 무조건 안정화되는 것은 아니다.

그는 김일성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을 돕고 물자를 그대로 둔 채 1947년 3월 벨로루시 군관구의 소련 육군 제28군 사령관이 되어 떠났고[2] 1968년에 은퇴했으며 1979년에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3. 진급 이력

4. 외부 링크

치스차코프 포고문


[1]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치스탸코프'가 맞다. 다만 실제로는 구개음화와 모음약화로 인하여 '치스찌꼬프'에 가깝게 발음된다. [2] 러시아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6.25 전쟁에 참전했다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