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35e1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면 | |||
구산면 | 진동면 | 진북면 | 진전면 |
||<width=2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18ac5e>
행정동 ||<-4>
법정동 ||
}}}}}}}}} ||<colbgcolor=#f35e19> 가포동 | 가포동 | ||||||
교방동 | 교방동 | 교원동 | |||||
상남동 | |||||||
합포동 | |||||||
산호동 | |||||||
산호동 | |||||||
문화동 | 문화동 | 대외동 | 대창동 |
두월동1가
|
|||
두월동2가
|
두월동3가
|
신창동 |
월남동1가
|
||||
월남동2가
|
월남동3가
|
월남동4가
|
월남동5가
|
||||
유록동 |
창포동1가
|
창포동2가
|
창포동3가
|
||||
청계동 | 평화동 | 홍문동 | 화영동 | ||||
#s-1.1 | |||||||
월영동 | |||||||
대내동 | 해운동 | ||||||
반월동 |
대성동1가
|
대성동2가
|
신월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신흥동 | 월포동 | 장군동1가 | ||||
장군동2가 | 중앙동1가 | 중앙동2가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완월동 | 장군동3가 |
구청
중앙동3가 |
}}} | |||
완월동 | |||||||
장군동4가 | 장군동5가 | ||||||
오동동 | 오동동 | 남성동 | 동성동 | 부림동 | |||
서성동 | 성호동 | 수성동 | |||||
중성동 | 창동 | 추산동 | |||||
자산동 | 자산동 | ||||||
현동 | 현동 | 덕동동 | 예곡동 | 우산동 |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행정동 월영동 月影洞 | Woryeong-dong |
|||
<colbgcolor=#5db0e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창원시 | ||
일반구 | 마산합포구 | ||
행정표준코드 | 5670171 | ||
관할 법정동 | 대내동, 월영동, 해운동 | ||
하위 행정구역 | 56통 319반 | ||
면적 | 2.62㎢ | ||
인구 | 42,053명[1] | ||
인구밀도 | 16,050.7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창원시 마산합포구 | |
|
최형두 (재선) | ||
경상남도의원 | 제10선거구 | |||
|
정쌍학 (초선) | ||
창원시의원 | 차 선거구 | |||
|
박선애 (재선) | ||
|
전홍표 (재선) | ||
|
정길상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월영마을로 3 (월영동 705-1) | ||
월영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동. 관할 법정동은 대내동·해운동·월영동(일부)이다.동쪽으로는 마산만과 접해 있고, 서쪽에는 무학산을 끼고 있으며, 북쪽으로 문화동과 붙어 있고, 남동쪽과 남서쪽에는 각각 가포동과 현동이 있다. 개발중인 마산해양신도시와 다리로 연결되어있고, 돝섬도 월영동에 포함되어있다.
경남대학교 앞에서 시작되는 댓거리 상권을 중심으로 많은 아파트와 학교들이 있다. 상권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2. 역사
고운 최치원이 거주하며 제자들을 가르치던 누각인 '월영대'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2] 현재도 월영대는 문화재로 남아있으며 최치원이 월영대라고 적어 놓은 비석도 볼 수 있다.[3]1914년에 월영리에서 월영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58년에 현재처럼 월영동, 대내동, 해운동 3개의 법정동을 관할하는 월영동이 설치되었다. 80년대까지는 경남대학교와 화력발전소, 월남한 주민들의 가건물촌인 해방촌, 국군마산병원 등 밖에 없는 지역이었으나 1990년대부터 시작된 국군마산병원 재개발로 이뤄진 월영마을 택지지구 사업으로 인하여 (구) 마산시 지역에서 신흥 고층 대단지 아파트가 개발됨에 따라 마산지역에서 거주하는 고소득층들이 대거 유입되어 부촌으로 각광받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 입주한지 10년이 넘어 구축이 되어버린 월영마을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던 고소득층 인구들은 대거 양덕동 메트로시티 데시앙 한림풀에버로 이동하면서 현재는 부촌으로서의 명성은 많이 낮아진 상태이다.
여담으로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 그리고 현대까지 이어지는 많은 간척 사업으로 형성된 해안매립지가 많은데 현재 댓거리부터 해안까지의 지역이 전부 매립지이다.[4] 때문에 지대가 낮은 매립 지역은 태풍이나 장마 때마다 많은 피해를 입기도 했다. 결국 2020년에 456억 원을 들여 배수펌프장 2곳과 배수로 962m를 건립하는 배수시설 정비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예전보다는 나아질 것 같아 보인다.
3. 교통
3.1. 버스
수많은 창원시 시내버스들의 종점이 이곳에 있으며 경남대학교를 회차 지점으로 두고 있다.시외버스터미널로는 해운동에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으며 이곳을 종점으로 함안군 농어촌버스도 운행한다.
4. 관할 법정동
구글 지도에 표시된 동의 형태와 위치는 부정확하므로 다른 사이트의 지도 참고 바람.4.1. 대내동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법정동 대내동 臺內洞 | Daenae-dong |
|
<colbgcolor=#5db0e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기초자치단체 | 창원시 |
일반구 | 마산합포구 |
행정표준코드 | 4812510500 |
관할 행정동 | 월영동 |
면적 | 0.06㎢ |
위에 적힌 법정동 월영동과 문화동 관할 하의 여러 법정동[5] 사이에 있는 법정동이다. 평지에서 산까지 쭉 이어지는 경사지가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해 있는데, 크게 비교적 지대가 낮은 남부와, 주택가 사이 오르막길을 쭉 올라가면 나오는 지대가 높은 북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남부의 서쪽은 경남대학교 입구와 연결되어서 한솥, 맘스터치, GS25, 신전떡볶이 등이 쭉 나열해 있는 전형적인 대학 식당가의 모습이고, 그 동쪽에는 월포초등학교와 대내주공아파트가 있다. 북부에는 경남대학교 평생교육관과 마산종합사회복지관, 대내경남아파트 등이 있다.
참고로 문화동 관할 법정동인 대외동과 붙어 있다. 두 법정동은 일제강점기에 대정이라는 지명으로 하나였는데 일재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1946년에 월영대와 가까운 곳을 대내동, 먼 곳을 대외동으로 나누었다.
[clearfix]
4.2. 월영동(일부)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법정동 월영동 月影洞 | Woryeong-dong |
|
<colbgcolor=#5db0e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기초자치단체 | 창원시 |
일반구 | 마산합포구 |
행정표준코드 | 4812513400 |
관할 행정동 | 월영동, 문화동 |
면적 | 3.18㎢ |
문화동과 월영동, 두 개의 행정동에 걸쳐있는 법정동이다. L 형태로 길쭉하게 생겨서 북부 지역은 문화동이 관할하고, 경남대학교 캠퍼스부터 해안까지 이어지는 ㄴ자 지역은 월영동이 관할한다.
행정동 월영동이 관할하는 월영동 지역은 경남대학교 캠퍼스부터 월영마을, 마린애시앙을 지나 해안까지 이어진다. 이 중 월영마을은 앞서도 설명했다시피 1990년대 말에 국군마산병원[6] 부지를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개발하는 '월영마을 조성사업'에 의해 형성된 아파트촌인데, 산으로 올라가는 길을 깎아 만들어진 터라 꽤 높은 경사를 따라 월영 동아아파트, 월영 현대아파트 등의 많은 아파트 단지들과 학교, 학원, 어린이집 등이 몰려있다.
월영마을은 IMF가 막 터져 사회 분위기가 암울할 때 즈음인 1998년부터 조성되어 아파트 단지들이 대거 입주에 돌입했는데, 이때 입주한 마산 알부자들[7]메이커 건설회사에 의해 공급되었으니 입주민들의 수준 또한 상대적으로 높을 수 밖에 없었다. 특히 현대산업개발의 오리지널 현대아파트 1차, 2차나 동아아파트 2차 복층라인 아파트들.] + 2000년 21세기로 접어드는 과도기 속 삽시간 번진 교육열기 등으로 당시 마산시에서 사교육과 치맛바람이 가장 쎈 동네로 평가받았다. 이 때문에 월영마을 아파트 입주시기에 맞춰 개교한 마산신월초등학교는 소위 돼지엄마들로 불리는 교육열 높은 학부형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마산 구도심에서 일부러 신월초등학교로 보내는 가정도 있었을 정도였다. 그래서 그 당시 집값이 창원 성산구에 뒤지지 않았다. 월영마을 현대 동아를 팔면 토월성원까지는 아니어도 사파동성[8]이나 남양성원에 비슷한 평수로 갈 수 있었고, 그 당시 새로 생기던 장유신도시로 가면 돈이 많이 남았다. 그럼에도 당시 마산 시민들 중 창원에 갈 사람[9]은 다 갔었기 때문에, 월영마을에 살 정도면 마산에 있어야만 하는 사람들이었다.
물론 2010년을 기점으로 태영 메트로시티 데시앙 한림풀에버와 마산만 아이파크, 무학자이 등 구도심에서 메이커 대단지 아파트들이 대거 건축되자 상대적으로 건령이 높아진 월영마을 아파트 단지에서 교육열 높은 중산층들이 대거 빠져나와 현재는 평범한 편. 그래도 신혼부부나 젊은 육아가정 내지는 이미 월영마을 조성 초기부터 거주하던 은퇴한 중장년층들이 아직도 많이 거주하여 마산시를 넘어 현재의 통합 창원시에서도 많은 인구가 거주한다. 여담으로 과거 월영마을의 부촌기능은 고스란히 양덕동 메트로시티 데시앙 한림풀에버로 옮겨가 가고파초등학교가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10]
주요 시설로는 월영마을 부근에 마산서중학교, 고운초등학교, 마산신월초등학교, 해운초등학교 등의 학교들과 월영동 행정복지센터가 있고, 해안 부근에는 마린애시앙 옆에 창원시설공단에서 운영하는 마산합포스포츠센터와 마산소방서 소방정대, 해양환경공단 마산지사가 있다.
지금은 월영마을이 인근 마린애시앙, 해양신도시의 과잉 공급으로 집값이 많이 떨어진 관계로, 가성비가 생각보다 좋아졌다. 창원공단보다는 7~8급쯤 되는 30대 공무원 가정[11]이 고성으로 출퇴근하기에 가성비가 괜찮다.
[clearfix]
4.3. 해운동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법정동 해운동 海雲洞 | Haeun-dong |
|
<colbgcolor=#5db0e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기초자치단체 | 창원시 |
일반구 | 마산합포구 |
행정표준코드 | 4812515800 |
관할 행정동 | 월영동 |
면적 | 0.49㎢ |
월영동의 오른쪽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동쪽으로 친수 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는 마산항 서항지구를 두고 마산만과 접해있으며 개발 중인 마산해양신도시에도 다리가 연결되어있다.
일제강점기 때는 금정(錦町)이라고 불린 일본인 주거지였으며 해운동이라는 이름은 광복 후 일본식 지명을 바꾸는 과정에서 최치원의 호에서 따온 것으로 보며 그가 말년에 머물던 누각인 월영대가 문화재로 보존되어 있다.
댓거리 상권의 대부분이 해운동에 속하는데 상권 및 주변 시설 관한 자세한 내용은 댓거리 문서를 참고.
댓거리의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조금 더 동쪽으로 가면 1993년에 지어진 주상복합 건물인 대동씨코아가 있고 그 옆으로 두산아파트 단지가 있다. 이곳은 현재 두산건설의 전신인 동산토건이 1990년대 초반 대동씨코아 앞 바다를 매립하고 그 위에 지은 아파트 단지인데 총 3차 18개동, 약 1600세대의
두산아파트 주위에는 모텔촌이 있는데 자동차 정비소와 서비스센터, 기아자동차 등도 몰려있다. 그 사이에 유로스퀘어라는 이름의 높은 건물이 하나 있는데 과거에 성지아울렛이라는 아울렛으로 영업하던 건물이다. 정작 아울렛은 망했지만 내부의 뷔페와 예식장, 6층의 메가박스 마산은 영업을 하고 있다. 유로스퀘어 앞에는 마산보건소와 마산합포도서관이 있고 그 주변으로 교회 하나와 아파트들이 있다.
[clearfix]
5. 주요 시설
5.1. 교육
5.1.1. 초등학교
- 고운초등학교
- 마산신월초등학교
- 월포초등학교
- 해운초등학교
5.1.2. 중학교
5.1.3. 대학교
5.2. 의료
- 마산보건소
5.3. 문화
5.3.1. 도서관
5.3.2. 문화재
- 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
- 월영대
5.3.3. 영화관
5.4. 주거
- 대내경남 - 1989/10, 56세대, 1개동 14층(대내동)
- 두산1차 - 1991/01, 390세대, 4개동 15층(해운동)
- 화인아트 - 1991/08, 712세대, 7개동 15층(월영동)
- 평화골든타워 - 1993/09, 190세대, 1개동 19층(해운동)
- 대동씨코아 - 1993/12, 199세대, 1개동 21층(해운동)
- 두산2차 - 1993/12, 612세대, 7개동 18층(해운동)
- 해운동현대 - 1995/08, 140세대, 2개동 21층(해운동)
- 두산3차 - 1995/10, 594세대, 7개동 18층(해운동)
- 한일비치맨션 - 1996/03, 198세대, 1개동 21층(해운동)
- 해운동성 - 1996/06, 210세대, 1개동 21층(해운동)
- 월영라이프 - 1998/02, 142세대, 1개동 15층(월영동)
- 월영대동 - 1998/04, 290세대, 3개동 20층(월영동)
- 현대1차 - 1998/04, 755세대, 5개동 25층(월영동)
- 동아1차 - 1998/04, 895세대, 9개동 20층(월영동)
- 경민시티빌 - 1998/05, 128세대, 1개동 19층(해운동)
- 현대2차 - 1998/08, 658세대, 7개동 23층(월영동)
- 월영현대 - 1998/07, 601세대, 6개동 22층(월영동)
- 동아2차 - 1998/11, 893세대, 13개동 23층(월영동)
- 평화리버타운 - 1999/03, 224세대, 1개동 17층(해운동)
- 해운한백 - 2001/08, 140세대, 1개동 21층(해운동)
- 현대3차 - 2002/05, 169세대, 2개동 23층(월영동)
- 대내주공 - 2004/07, 275세대, 3개동 18층(대내동)
- 씨티해오름 - 2005/09, 160세대, 2개동 21층(해운동)
- 한라해말금 - 2006/10, 44세대, 1개동 15층(월영동)
- 월영SK오션뷰 - 2017/08, 932세대, 8개동 31층(월영동)
- 마린애시앙부영 2019/12, 4298세대, 38개동 31층(월영동)
6. 출신 인물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2]
자세히는 1789년에 제작된『호구 총수』에 '월영리'라는 이름으로 월영동 지역이 등장하는데, 최치원의 월영대에서 월영리라는 지역명이 유래한건지, 아니면 월영리라는 원래의 지역명을 따서 월영대라는 이름을 지었는지의 순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3]
관할 법정동인 해운동의 이름도 최치원의 호인 해운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2021년 마린애시앙 앞에 개교한 고운초등학교의 이름도 최치원에게서 따왔다.
[4]
이곳에서 간척으로 형성된 지형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월영대에서 해안까지 가려면 약 800m를 가야하는데 간척 전에는 월영대 바로 앞이 바다였다.
[5]
화영동, 청계동, 대외동, 홍문동, 월남동4가, 월남동5가
[6]
국군마산병원 이전에도 많은 역사, 군사적 시설들이 있었던 터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군마산병원 문서 참고
[7]
구도심의 쇠락한 마산 시내 단층 주거시설에서 옮겨온 돈 많은 사람들이 많았다. 분양가 자체도 신마산 최고 끝자락에 고립된 외곽 지역의 월영동 변두리에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산 시내에서 당시 최고로 높았던 25층의 대형 아파트 단지들이 소위
[8]
사파동성에서 통학이 가능한 신월중학교는 인근에서 진학 성적이 좋은 편이었다. 용호동이나 반송중에 뒤지지 않았던 적도 있었다.
[9]
90년대를 거치면서 15만(!)이 빠져 나갔다. 창동에 있던 공공기관들이 성산구로 가면서 공무원들이 먼저 이사갔고, 80년대 창원공단, 수출자유지역에서 근로자로 근무하다 혼인 등으로 창원에서 신혼집을 차렸기 때문이다. 성산구 상당수 소형평수 아파트들이 임대아파트(사파삼익, 무궁화 등)로 시작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마산에서 중산층이 살던 자산동, 양덕한일타운이 더 비쌌다.
[10]
실제로 구 창원지역으로 이사가고 싶지 않은 지역 고소득자들과 더불어 월영마을 거주자들이 메트로시티 1단지 2006년 분양 돌입 당시 많이 거둬갔고, 월영동에서 교육받던 신월초 학생들이 가고파초등학교로 많이 전학갔다.
[11]
부부공무원이면 마창대교 타고 성산구에서 사는 것을 선호하는데, 외벌이면 지출에 민감하기에 월영동이나 현동도 고려해 볼 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