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선
KTX의 경우 하행 최소정차 열차는
KTX #213 및
KTX-산천 #217, #223, #4023[월~목]/#4027[주말] 열차로 #217 열차는
서울 -
광명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창원 -
마산 에만 정차하고, #213 열차는 광명, 오송, 창원 대신 천안아산, 서대구, 창원중앙역에 정차하고 진주역까지 운행한다. #223 열차는 오송을 통과하고 밀양에 정차한다. 상행은 #210, #224 열차가 최소정차 열차다.
마산 -
창원중앙 -
밀양 -
동대구 -
대전 -
천안아산(#220)/
광명(#224) -
서울에만 정차한다. 종착역이 이원화 되어 있어서 마산 종착은 8개가 최소 정차역이고 진주 종착은 9개이다.
동해선
KTX는 하행은
KTX-산천 #4033 열차가
서울 -
대전 -
동대구 -
포항에만 정차하는 가장 최속달 편성이며, KTX-산천 #4031, 열차와 금토일에만 운행하는 하행
KTX-산천 #297 열차가
광명역에 추가 정차하고,
KTX #243 열차가
오송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상행은
KTX #246 열차가
포항 -
동대구 -
대전 -
광명 -
서울에만 정차하는 최소시간 열차이고,
KTX-산천으로 운행하는 #232, #236 열차도 #246 열차와 동일한 정차역 패턴으로 운행하지만,
동대구역에서 경전선
KTX-산천 열차와의 연결대기로 인해서 #246 열차와는 달리 6분동안 정차한다. 상행열차들 중에 포항역에서 서울역까지의 정차역 수가 가장 적은 열차로만 따지자면 금, 토, 일요일에만 운행하는
KTX-산천 #4032 열차로,
포항 -
동대구 -
대전 -
서울만을 거쳐
행신역까지 운행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명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KTX #246열차보다도 소요시간이 긴 이유는, 부산역에서 출발한
KTX-산천 #98열차와의 연결을 위해 동대구에서 10분동안 정차하기 때문이다.
호남고속선의 경우 필수정차 최속달 열차가 1일 1회[11] 운행하며, 이 열차는 용산에서 광주송정까지 유일하게 90분대를 찍는다.[12] 2023년 9월 이전에 용
광익광 열차가 1일 1회[13] 운행한 적이 있으나, 오송역에 추가로 정차하면서 운행시간이 늘어났다. 그래도 여전히 용산에서 광주송정까지 100분내로 찍는다.
상행의 경우
KTX-청룡 운행 개시와 함께 중간 정차역이 사라져
광주송정 -
익산 -
용산 -
서울에 정차하는 #428[월~목]/#492[주말] 열차[16]가 운행한다. 이 열차가 광주송정에서 용산까지 유일하게 90분대에 운행한다. 이 외의 열차는
광명역을 추가로 정차하며,
오송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442 열차,
나주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410, #440, #4042[월~목] 열차와
나주역과
정읍역을 추가로 정차하는 #412, #432 열차가 있다.
SRT의 개통 후 기존 서울 - 대전 구간을 왕복하던 KTX 중 일부를 이 서대전으로 끌어와 행신/서울/용산↔서대전 계통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서대전 착발 최소정차 열차는 하행에 한해서 #483 열차가 유일하다. 이 열차는 시발역과 종착역을 제외하고 아산에만 정차한다. 광명과 오송을 통과하면서 서울/행신 착발이 아닌 덕분에 딱 세 역에만 정차한다. 원래는 10량의 KTX-산천이 운행했으나, 현재는 20량 편성의 KTX가 운행하고 있다.
용
천
서[25]
2024년 현재는 호남선에도 기존선 경유 상행 운행이 생긴 상태이다. KTX-산천 #476 열차로
익산역 착발이다. 서대전 경유 KTX가 필수로 정차하는
논산역,
계룡역에 정차한 다음 서대전역에서부터는
오송역에만 정차하고 종착역인
용산역까지 무정차로 달린다. 서대전-용산 소요시간은 1시간 3분이다. 이 열차는 4호차에 역방향 좌석이 없는
400호대 편성 차량으로 운행한다. 경부고속철도 포항행 #243 열차와 마찬가지로
오송역 정차 KTX중 큰 논란이 없는 호남고속철 열차가 아닌가...
전라선의 경우 막차가 각각 최소정차 열차이며 하행은
용산 -
광명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로 소요시간은 2시간 48분이며 광명역 이외엔
호남.전라선 상
KTX 필수 정차역에만 정차한다. 본래
여천역도 정차했으나 2016년 초에 무정차 통과로 변경되었다가 2019년 12월 개정으로 인해 다시 정차역에 추가 되었다. 아울러 이 열차는
호남고속선
용/
익/
광 열차를 제외하고
광명에서
익산까지 무정차로 쏘는 유일한 하행열차이며 충청권 정차역 (
천안아산,
오송,
공주)을 전부 통과한 후 직행한다. 2023년 3월 개정으로 인해 2시간 48분이 걸리게 되었다.
그 외에 첫차인 KTX-산천 501열차가 용산 - 광명 - 오송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역에 정차하며 KTX-산천 517열차가 서울 - 용산 - 오송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역에 정차한다. 주말에 KTX-산천 543열차가 행신 - 서울 - 용산 - 오송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역에 정차한다.[26]
상행은
여수 -
여천 -
순천 -
남원 -
전주 -
익산 -
오송 -
용산이며 소요시간은 2시간 48분이다. 한때는
광명역도 정차하였으며 소요시간은 2시간 48분이였으나 2019년 12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광명역 정차가 삭제되고 오송에서 용산까지 무정차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이 4분 단축되었다. 아울러 여수 출발시간도 6분 늦춰졌다.[27] 이 열차도 오송을 제외하곤 전라선과
호남고속선상의 필수정차역에만 정차한다. 이 열차도 역시
여천에 정차했었지만 2017년 2월 시간표 개정으로 여천 정차가 삭제 되었다.
이외엔 KTX-산천 506열차가 여수 - 여천 - 순천 - 구례구 - 남원 - 전주 - 익산 - 광명 - 용산역에 정차하며 KTX 512열차가 여수 - 순천 - 남원 - 전주 - 익산 - 오송 - 천안아산 - 광명 - 용산 - 행신역에 정차하여 용산도착 기준 524열차 다음으로 최단시간인 2시간 52분만에 끊어준다. KTX-산천 518열차는 여수 - 여천 - 순천 - 곡성 - 남원 - 전주 - 익산 - 천안아산 - 광명 - 용산역에 정차한다.[28]
청
만
강[29]
2024년
8월 19일 개정 기준이다.
동해시 시민들의 요청을 들은
코레일은
강릉선 지선(동해행) 열차의 막차 역시
서울역 출발로 변경시킨다.[30] 따라서 서울역에 정차하는 강릉선 최속달 열차는 하나에서 두 개의 운행이 되었다.[31] 두 열차의 공통점으로서 필수정차역에
평창군 소재의 선택정차역에 정차하는 특징이 있다.
최속달 열차는 하행에 한해서 주말에만 운행하는 제 871 열차와 금토일에 운행하는 제 857, 861 열차가 존재한다. 주말에만 운행하는 제 851 열차와 860 열차는
진부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또한 제 884 열차는 평창군 소재의 역 대신
상봉역에 정차한다.
청량리역을 13:42에 출발하여
강원도를 갔다가 다시 청량리를 18:47에 돌아오는 고정 운용이 존재한다. 주중에는
본선왕복 867 - 868 운용이고, 주말에는
지선왕복 887 - 888 운용이 존재한다.
청
원
제
영
안[42]
2023년 12월 29일 경강선과의 복합운행 KTX가 개통하면서, 여러 조정과 함께 최소정차 열차가 소폭 증가한다. 매일 운행하는 열차는 양평역을 추가로 정차하는 상하행 막차 제 715 열차와 제 716 열차, 그리고 필수정차역에만 정차하는 상행 제 714 열차가 존재한다. 주말 하행 제 781 열차 역시 최속달 열차로서 운행하다.
호남고속선을 이용하는
SRT의 경우
경기도
평택시
평택지제역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까지의 하행 운행시
충
청
권을 통째로 건너뛰어 직통 무정차 운영하기도 한다.[45] 연속으로 3역을 초과하여 무정차하는 경우는 SRT 659, 619[46] 열차의 정차역이 조정된 후로 없다. 한편, 상행 열차는 SRT 610, 612 열차가 각각 공주~수서와 익산~동탄 사이의 4개의 역들을 모두 건너뛌었으나 9월 시간표 개정으로 610 열차가
평택지제역에 추가 정차하게 되어 공주-수서까지 무정차 열차는 없어지게 되었다. 다만 상행에도 662 열차가 개통 당시 익산~수서를 직통으로 운행했는데, 목포~수서를 2시간 7분에 주파했었다. 그러다가 2017년 2월경 정차역이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
경춘선
ITX-청춘의 경우, 개통 초기에는
가평역에 정차하지 않았지만 현재 필수정차 5역[48]의 반열에 들었으며[49]
평내호평역은 평일에 하행#2009 상행#2026[50] 각 1회씩을 제외 모든 열차들이 정차하며, 주말에도 필수 정차역들 다음으로 가장 많이 정차하기 때문에 준필수 정차역이라 볼 수 있다. 해당 한 쌍의 열차는 바로 옆의
마석역에 대신 정차하기 때문에 평일에는 6개역 미만은 정차하지 않으며, 주말에도 필수 5역만 정차하는 열차는 하행#2063 상행#2084 각 1회씩 뿐이다.
6개역 정차(밝은 음영의 5개역 정차 포함)는 다음과 같다.
[월~목]
[주말]
[3]
주말열차인 #4027은 부산행 복합열차 #89열차가 먼저 분리되어 출발하므로 동대구역에서 5분동안 정차 후 출발한다.
[금토일]
월~목은 운행하지 않고 금요일과 주말 사흘 동안에만 운행하는 열차다.
[5]
진주행 201열차와의 중련 분리 후 곧바로 출발한다. 뒷쪽의 진주행은 분리 작업 후 신호대기로 인해 5분간 정차 후 출발.
[6]
서울행 #202 열차와의 중련 연결 작업으로 인해 약 6분간 정차한다.
[7]
서울행 #206 열차와의 중련 연결 작업으로 인해 약 6분간 정차한다.
[금토일]
[9]
부산 출발 행신행 KTX 산천 98열차와 연결을 위해 10분간 정차 후 출발한다.
[10]
용산역-
익산역-
광주송정역(구 송정리)에만 정차.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생긴 호남선 KTX 최속달 열차의 약칭이다. 자매품으로
경부선
서대동부 열차와
경강선
청만강 열차가 존재하다.
[11]
#425(월~목)/#491(주말) 열차
용산역 16:08 출발
광주송정역 17:44 도착
[12]
#425 열차는 표정속도가 무려 202.61km/h로, 국내
고속열차 운행계통 중에 유일하게
표정속도가 200km/h를 넘기는 열차이다.
[13]
#411 열차
용산역 09:19 출발
광주송정역 11:05 도착.
[월~목]
[주말]
[16]
광주송정역 18:26 출발
용산역 20:05 도착/20:08 출발
서울역 20:13 도착
[월~목]
[월~목]
[금토일]
[20]
KTX-산천 506열차와 열차 연결로 인해 7분간 정차한다.
[월~목]
[월~목]
[금토일]
[24]
KTX-1 36호기 투입 차량이다. #503열차로 여수엑스포로 내려 간 후에 #510열차로 용산으로 온 후 #423열차로 다시 목포로 내려가 #432로 올라온다.
[25]
언급된 #483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서대전 착발 열차들은 모두 5개 이상역에 정차한다. #473: 서울-용산-광명-천안아산-오송-서대전 (서울역 연장운행) #484, #486: 서대전-오송-천안아산-광명-용산
[26]
523열차 이외의 다른 열차들은
익산역에서
목포행 KTX-산천 열차와 분리 및 신호대기로 인해 5 ~ 6분 간 정차 후 출발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늘어난다.
[27]
여천 -
여수엑스포 구간이 단선인 특성상 하행 #719열차의 도착시간이 21시 47분인데 하행열차가 지연되면 21시 50분에 출발하는 #524열차가 출발하지 못 해 지연되어 시간을 조정했다.
[28]
512, 524열차 이외의 다른 열차들은
익산역에서
목포발 KTX-산천 열차와 복합연결운행을 위해 6 ~ 8분 간 정차 후 출발하여 소요시간이 더 늘어난다. 특히 518열차는 시간표 상으론 익산역에 3분 간 정차하는것으로 나와있는데 실제로는 삼례역부터 평화육교 직전까지의 직선구간에서 최대한의 속도로 주행하여 익산역에 조착하여 실질적으론 6분 정차 후 출발한다. 2018년 6월 시간표 개정 때
경부,
경전,
동해,
호남, 전라선 KTX-산천 복합열차들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킨다고
동대구역과
익산역 정차시간을 조정했는데 다른열차들은 4 ~ 6분 정차로 조정할 때 518열차만 3분으로 조정했는데 그 시간 안엔 승,하차 및 중련연결을 모두 처리할 수 없다.
[29]
경부선 서울-대전-동대구-부산, 호남선 용산-익산-광주송정 최속달처럼 경강선의 최소정차 열차를 뜻하는 약칭이다.
[30]
동시에 상행 첫차 제 840 열차도 서울역 종착으로 바뀌게 되었다. 대신 제 841, 842 두 열차는 청량리역 착발로 변경되었다.
[31]
두 운행 모두 하행 막차이다.
[주말]
[주말]
[금토일]
[주중]
[주말]
[금토일]
[금토일]
[금토일]
[주중]
[주말]
[42]
또는
양평역 추가 정차
[주말]
[44]
2024년 4월 현재, SRT는
진주행,
여수행,
포항행 최속달 열차가 없다.
[45]
용
익
광
KTX의
용산 -
익산 및 호남선 KTX 411열차 및 전라선 KTX 523열차의 광명 - 익산 다음으로 긴 구간이다.
[46]
둘 다
수서 -
익산을 직통으로 운행하였다. 659열차의 경우, 수서 - 광주송정을 89분, 수서 - 목포를 무려 2시간 6분에 주파하는 최속달 열차였다.
87분에 주파한 경우도 있었다.
[47]
일명 '수평익광' 열차로 KTX의 용익광 포지션과 유사하다. SRT 호남고속선 계통에서 정차역이 가장 적고 소요시간도 가장 짧다.
[48]
용산역,
청량리역,
가평역,
남춘천역,
춘천역
[49]
개통 초창기엔 하루 한 편에 한해 청량리-남춘천 무정차 열차가 있었다.
[50]
현재
왕십리역도 정차하기 때문에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