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파주행궁 |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조선의 별궁 영수궁 寧壽宮 |
||
설립시기 | 1422년 이후 | |
해체시기 | 1471년 이후 |
[clearfix]
1. 개요
조선 초기 태종의 후궁들이 모여서 살았던 별궁이다.왕실의 별궁인만큼 영수궁의 위치는 한성부 안에 있었던 듯하나, 현재 남아있는 유적이 없으므로 자세히 알 수 없다.
2. 역사
조선 전기에 왕이 죽으면, 왕의 후궁들은 모두 궁궐을 나와서 거처를 별궁으로 옮겨야 했다. 당연히 후궁은 재혼이 불가능했고 자식들과 함께 사가에서 살지도 못했다. 나라에서 마련해 준 궁가에 모여 사는 것만 가능했다. 이때문에 왕자, 왕녀들이 자신의 생모를 모시고 살길 원해도 허락받기가 매우 어려웠다.[1]태종이 승하하자 세종은 부왕의 후궁들을 위해 의빈궁을 설치했다. 첫 이름으로 보아 당시에는 태종의 후궁 의빈 권씨의 거처를 의미했을 것이다. 의빈궁懿嬪宮 설치 이후에는 자수궁慈壽宮, 수성궁壽成宮, 창수궁昌壽宮, 정청궁貞淸宮, 인수궁仁壽宮 등이 세워졌다. 나중에 후궁의 궁가는 후궁들이 죽은 직후에 폐지하여, 중종 이후에는 자수궁과 인수궁만이 남아있었다.[2]
궁가에 머무르는 후궁들은 모두 그에 걸맞은 예우를 받았다. 여러 의식주 관련 물품을 제공받고, 궁가의 유지를 위해 궁녀와 환관, 노비 및 여러 인력을 제공받았다. 당시 기록을 보면 신빈궁, 의빈궁 등의 이름이 나오는데 모두 선왕의 후궁들이 거처하는 곳을 부르는 말이었다. 세조는 의빈궁에 별감과 소친시 8인을 두어 관리하고 시중들게 했다.[3]
의빈궁은 세조 연간에 자수궁과 수성궁[4]의 제도에 의거하여 영수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 영수궁의 이름은 《 성종실록》에서도 언급된다. 1471년(성종 2) 2월 이전까지 물품 등을 진상했으나, 2월 이후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아마 더 이상 선왕의 후궁들이 남아있지 않아 폐지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