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3:38:46

유창식

양메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유창식(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창식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6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4명)
이상군
전대영
황종선 (1)
민문식
(10명)
김상국
한희민
이효봉
곽영진
김수길
김현태
윤홍식
유해덕
한연대
이원일 (1)
(3명)
김대중
이중화
안성수
(3명)
송진우
장정순
조양근
(3명)
강석천
황대연
진정필
<rowcolor=#fff>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지화동
김성한
양용모 지연규 구대성 길배진
<rowcolor=#fff>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rowcolor=#f7000d> 신재웅 홍원기
(고졸)
심광호
이상열
조성희
이성갑
(고졸)
고상천
오주상
지승민
김민규
(고졸)
김재현
임광규
조현수
박정진
(고졸)
문용민
<rowcolor=#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조규수 김태균 신주영 안영명 김창훈
<rowcolor=#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윤근영 유원상 장필준 (1)
최진호
박상규 김회성
<rowcolor=#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김용주 (2) 유창식 (2) 하주석 (2) 조지훈 (2) 황영국
<rowcolor=#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김범수 김주현 김병현 성시헌 변우혁
<rowcolor=#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신지후 정민규 문동주 김서현 (2) 황준서 (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면 드래프트 시행 년도 1R 지명 선수
}}}}}}}}}

유창식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 2010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한화 이글스 등번호 15번
구대성
(2006~2010)
유창식
(2011~2014)
이용규
(2015~2019)
{{{#fff [[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 등번호 1번}}}
이용규
(2014)
유창식
(2015~2015.5.5.)
박성호
(2015.5.6.~2015)
KIA 타이거즈 등번호 49번
박성호
(2015~2015.5.5.)
유창식
(2015.5.6~2015)
김윤동
(2016)
KIA 타이거즈 등번호 11번
김광수
(2015.5.6.~2015)
유창식
(2016)
김진우
(2017)
}}} ||
}}} ||
파일:1KZ062YKSF_1.jpg
유창식
柳昌植 | Yoo Chang-Sik
출생 1992년 5월 15일 ([age(1992-05-15)]세)
전라남도 함평군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광주화정초 - 무등중 - 광주제일고
신체 188cm, 110kg #
포지션 투수 외야수[1]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1년 1라운드 (전체 1번, 한화)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11~2015)
KIA 타이거즈 (2015~2017)

저니맨 외인구단 (2017)[2]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논란 및 사건사고5. 연도별 주요 성적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의 투수. KIA에서 뛰었던 김현준의 이종사촌이기도 하다.

2. 선수 경력

유창식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유창식/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고교 시절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 저니맨 외인구단 시절
}}}}}}}}} ||

3. 피칭 스타일

지명 당시 최고 150km/h의 구속을 가지고 있고 좋은 구위와 함께 완급 조절이 뛰어난 투수로 평가받다.

고교시절 이런 좋은 구위와 완급조절 능력 덕에 많은 주목을 받던 투수였었고 최고구속 150km/h였으니 메이저리그 구단들도 육성 후 더 좋아질 가능성을 봤기에 오퍼를 넣었을 정도였다. 오죽하면 당시 스카우트 리포트에서 입단 후 바로 즉전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리포트도 많았다.

그러나 유창식의 큰 단점으로 꾸준히 지적되는 것이 제구력인데, 거의 롤러코스터 제구다. 유창식의 제구는 커리어 내내 좋지 않았고[3] 팔꿈치 통증을 감안하더라도 이런 수준의 제구는 문제가 있다. 소위 긁히는 날은 제구력이 훌륭해서 유망주 1순위급 포텐력을 보이나 그렇지 않은 날은 그저 배팅볼, 볼넷자판기가 되어버린다.

제구 외에도 유창식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멘탈 부분이다. 제일 큰 문제가 한 번 흔들리면 아예 그 경기를 망친다는 것인데, 한 번 안 풀리면 스트라이크를 넣는 경우가 없고 볼 카운트를 불리하게 가져가 볼넷을 많이 내주게 되고 투구 수가 많아지게 되면서 경기를 망치게 되어 조기 강판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2015년 15구 연속 볼. 잔부상과 멘탈 문제가 끝까지 발목을 잡은 케이스이다.

4. 논란 및 사건사고

4.1. 승부조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6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4 시즌 두 번의 승부조작을 시행하였다. 2016년 7월 24일 승부조작을 시인하며 자백을 하였고 결국 25일 KBO에 참가활동 정지 처분을 받게 되었다. # 그런데 경찰 수사 중 유창식은 기존 자백을 번복하고 한 차례 더 승부조작이 있었음을 자백했다. ##

4.2. 성범죄

전 여자친구를 성폭행한 혐의로 징역 2년 6월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었다. # 그나마 승부조작의 경우 자진신고로 인해 3년의 자격정지 처분을 받아 향후 복귀의 여지가 있었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사실상 선수생명이 완전히 끝나고 말았다.

5.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1 한화 26 39 1 3 0 1 0.250 6.69 47 2 25 27 39 29 1.85
2012 27 111⅓ 6 8 0 1 0.429 4.77 101 13 80 82 61 59 1.62
2013 25 71⅔ 5 10 0 2 0.333 6.78 89 4 59 47 56 54 2.00
2014 21 91⅓ 4 4 0 0 0.500 4.14 100 2 75 53 54 42 1.8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5 KIA 27 54⅔ 0 8 0 0 0.000 7.90 67 9 43 34 53 48 1.96
2016 1 1⅓ 0 0 0 0 0.000 20.25 2 1 6 0 3 3 6.00
KBO 통산
(6시즌)
127 369⅓ 16 33 0 4 0.327 5.73 406 31 288 243 266 235 1.85

6. 기타

파일:external/img.sbs.co.kr/30000054566_700.jpg

7. 관련 문서


[1] 저니맨 외인구단에서 타자로 전향했다. [2] 성폭행 혐의 연루로 합류가 불투명해졌으나, 경기에 정상적으로 참여하였지만.... [3] 커리어 통산 9이닝 당 볼넷 허용개수 6.6개 [4] 투구는 왼손으로 하지만 글씨를 쓰거나 할 때는 오른손을 쓴다. [5] 덕분에 한화 팬들 사이에서 구대성의 15번을 KBO 영구결번하지 않은 한화 프런트를 안 좋은 의미로 재평가되었으며 그가 까일 때 심심하면 같이 까인다. [6] 다만 이때 삼성이 왕조시절이어서 유망주가 강팀 상대로 약한 것은 이해가 되긴 하다. [7] 류현진이 체구가 큰지라 못하는 날에 C컵 좌완 내지는 C급 좌완이라고 불리던 것에서 유래한 듯. [8] 한화에서는 1번을 달았지만 KIA 시절 이용규의 등번호가 15번. [9] 한화 시절에는 15번을 달았고, KIA 시절에는 이적하자마자는 49번을 달았지만 11을 달고 뛰었다. 특히 구대성과 김성한이 각 구단에서 영구결번도 가능했던걸 생각하면 제대로 먹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10] 박명환도 이 점에서 동감하는 모습이었다. 고등학생 선수들의 변화구 구사력이나 경기운영능력이라고 해봤자 고교야구 레벨에서만 통하지 어차피 프로야구에 들어와서 다시 배우고 갈고 닦아야 하는 것들임을 지적했다.과연 한화는 유창식만 해당될까.. 이 선수도 생각나는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