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야간에 수업을 하는 대학교를 말한다. 주로 직장인이 많이 다니고 흔치는 않은 경우였지만, 대학교 주간반 재학 중에 졸업 전 취직이 된 학생이 전과하여 학업을 이어나갈 수도 있었다. 과거에는 2부대학, 이부대학으로 많이 불렸다.과거에는 물리적으로 부족한 학교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더 많은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 야간대학을 운영했지만, 2010년대 들어서는 원격대학에 밀려서 대부분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교육부의 입학정원감축 정책에 맞춰서 야간대학이 주간으로 전환되거나 폐지 혹은 동일 주간 학과로 통폐합되었으며 남은 학과는 형식적인 수준으로 정원이 대폭 감축되었다.
2016년부터 교육부에서 '선취업 후진학자'의 지원을 위해 평생교육 단과대학 및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을 실시하여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인하대학교, 아주대학교 등 다수 대학이 선정되어 야간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과 만 30세 이상 지원할 수 있는 평생학습자(만학도) 전형으로만 입학이 가능하다. 2019년도 기준 중위권 이상의 대학을 제외한 상당수의 대학은 지원자가 저조해 미달되었으며, 추가 모집에서도 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일반 전형과는 달리 입학 후에도 계속 재직을 요구하는 학교도 있고, 평생교육단과대학이라는 이름에서의 거부감 때문에 지원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본인이 특성화고를 졸업 후 회사에 3년 이상 재직하고 있다거나 만 30살 이상이라면 일반전형의 야간학과 지원보다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으로 지원하는 것이 상당히 유리하다.[1]
2020년 기준으로는 남아있는 대학도 다시 주간과 통폐합을 시도하거나 모집 인원이 적은 편이다.[2] 보통 서울과 인근 경기도보다는 지방 소재 4년제 및 전문대학에서 야간대학을 없앤 경우가 많다. 대전/충남/세종권이나 광주/전남권은 야간대학을 가고 싶어도 없어서 못 가는 경우가 흔하다. 게다가 모집하는 대학에서도 극히 일부 학과에서만 야간을 모집하기 때문에 학과 선택이 매우 제한적이다. 아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대학도 찾기 힘들고 원하는 학과 찾기는 더더욱 힘든 상황이다. 그나마 지역 고3 졸업 인구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이 부족한 서울/ 경기 지역만 약간이나마 선택권이 존재하는 수준이다.[3]
성균관대학교는 2001년도 01학번 모집까지 야간대학을 운영했으며 성대에 야간대학 제도가 사라지면서 많은 이들이 아쉬워했다. 성균관대 법대 야간대학 출신인 유명 아웃풋은 42대 국무총리였던 정홍원이 있다.[4]
여기에는 4년제 야간만 나와있지만, 사실 야간은 4년제보다는 2~3년제 전문대학에 더 많다.[5] 일반적인 주간 대학교와는 상당히 다른 대학 생활을 맛볼 수 있다. 또한 재학생들 대부분이 대학생활 및 직장생활을 한 사람들이 많아, 학생들간 기본적인 예의를 대체적으로 잘 지킨다.
학교마다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오후 6시부터 11시까지 수업한다.[6] 그리고 50분이나 75분 단위로 수업하는 주간과는 다르게 45분 수업이 일반적이다.[7] 또한 야간대학생 중 전업 학생의 편의를 위해 전공이나 교양강의를 주간에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경우가 있다.[8][9][10] 그래서 직장인이 아닌 전업 학생의 경우는 동아리 활동과 같은 교내 활동을 하기 위해 저녁 스케줄이 있는 날에는 주간 강의만 수강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교내활동을 못하기 때문이다. 과 생활을 위해서도 역시 마찬가지다.[11]
대학원의 경우,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이외의 특수대학원들(교육대학원, 경영대학원, 행정대학원 등)은 야간에 운영되는 경우가 비교적 흔하다. 직장인들을 재교육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이쪽은 특수대학원 문서 참조.
2. 4년제 대학 야간학과 목록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역별 | |||
서울 | 인천·경기 | 대전 | 충남 | |
충북 | 세종 | 강원 | 울산 | |
대구 | 경북 | 부산 | 경남 | |
광주 | 전남 | 전북 | 제주 | |
유형별 | ||||
여자 | 원격 | 기능 | 기술 | |
야간 | 산업 | 특수 | 대학원대학 |
야간과정의 모집단위 변경[12]은 흔히 있으므로 변경 내용을 즉시 업데이트 할 수 없는 위키의 특성상 본 문서만을 맹신하여서는 안되며 지원예정인 해당 대학의 입학처 및 모집요강을 확인하여 원하는 학과의 야간과정이 존재하며 신입생을 모집하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2.1. 서울
정보콘텐츠학과, 자산관리학과 기업융합법학과, 기업경영학부 아동복지학과, 경영정보학 세무회계학과, 토탈뷰티케어학과, 금융융합경영학과, 패션디자인학과, 방송연예과 신학과, 음악학과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사회과학부, 글로벌패션산업학부,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상상력인재학부, IT공과대학 신학과, 상담심리학과, 아동학과2.2. 경기/인천
사회복지학부, 경영관리자율전공학부- 단국대학교 (죽전)
- 명지대학교 (자연)
- 안양대학교 (안양)
- 한경국립대학교 (안성)
2.3. 강원
법률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영학과, 관광학부 호텔컨벤션학전공, 국제비즈니스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체육학부 생활체육학전공, 체육학부 태권도학전공 헬스케어빅데이터전공2.4. 충북
- 충북대학교 (개신)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충주)
2.5. 대전/충남/세종
- 단국대학교 (천안)
2.6. 대구/경북
보건바이오학과, 사회복지학부, 경호학부 사회복지학과, 경영학과, 건강스포츠학부, 에너지전기공학부 보건행정학과[14] 컴퓨터공학과2.7. 부산/울산/경남
- 경상국립대학교 (가좌, 통영)
- 인제대학교 (김해)
* 동아대학교
지식서비스경영학과
2.8. 전북
- 전북대학교 (특성화)
2.9. 광주/전남
사회체육학과, 건축공학과 물류비즈니스학과, 융합산업학과 신학과2.10. 제주
사회복지학과, 자치행정학과, 건축디자인학과, 토목공학과, 자동차기계공학과, 스포츠학부 행정학과, 경영학과3. 관련 문서
[1]
또한
2018년 2학기부터 고졸 후학습자 장학금(희망사다리 Ⅱ유형)이 신설되어 해당 학기 중 중소·중견기업에 4개월 재직한다면 소득분위와 상관없이 해당 학기 등록금을
장학금으로 전액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참고 바란다.
[2]
일반전형 해당,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은 정원 외 모집이므로 영향이 거의 없다.
[3]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그나마 남은 야간대학의 상당수는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졸업자 전용이다. 즉 일반 인문계고나 특목고를 나온 학생은 꿈도 못꾼다.
[4]
교육대학의 전신인
사범학교(당시에는
고등학교 과정) 출신으로, 낮에는
국민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대학을 다녔다.
[5]
다만 전문대 역시 야간은 폐과하는 추세다. 그 이유는 교육부 감사 등 및 재단관리에 있어서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6]
아무리 늦어도 12시 안에는 수업을 끝내도록 한다. 안 그러면 교육법에 걸리기 때문이며 일부 대학은 야간수업을 5시부터 수업을 시작하는 학교도 있다.
[7]
이럴 경우 주로 주 2회에 걸쳐 수업하는 주간과는 달리 3시간 수업 3학점 수업은 주 3회에 걸쳐 수업하거나[15] 아예 하루에 3교시를 몰아서 수업을 받는다. 만약 야간수업이 5교시까지 밖에 없는 대학이라면 일부 3학점 과목을 수업시간을 늦게 잡아 이틀에 걸쳐 하루는 4-5교시 와 다른 날 한교시에 걸쳐서 수업하는데, 이 경우는 4-5교시에 집중적으로 하고 다른 날은 웬만해선 잘 하지 않는다. 수업을 맡은 교수도 하루 더 나오는게 귀찮기도 하고 학생들도 부담스러워하고 해서 2교시만에 빡세게 집중적으로 끝내려 한다.
[8]
야간에도 교양이 열리긴 한다. 그런데 전공 듣기도 빠듯한데, 교양을 신청할 여유가 없다. 야간학생들 중 1학년이 아니고선 야간 교양은 사실상 거의
교양과목
수강신청에서 밀려난 주간학생들이 아무래도 많이 차지하는 편이다.
[9]
야간교양은 1학년때 아니고선 거의 듣기가 힘들다. 2학년부터는 거의 전공을 많이 들어야하기 때문에 교양과목을 못 들을수도 있고, 설사 듣는다쳐도 선택의 폭이 매우 좁다. 그래서 과에서 아예 야간학부생들한테 1~2학년때 교양학점 미리 채워두라고 하는 강조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웬만한 학과들이 1학년때 전공이 많이 없는 이유중에 하나가 1학년때 교양과목을 최대한 많이 채우게 하기 위함이다.
[10]
단 야간학생들이 주간의 전공을 듣기엔 많은 부담감이 상당하다. 난이도 차이부터
넘사벽인데다, 주간수업은 거의 책 한권을 다 뗄정도로 진도를 많이 나가지만 야간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학점받기도 힘들어서 야간학생들은 대체로 주간의 교양은 종종 신청해도 주간 전공은 잘 듣지 않는다. 듣는 경우가 있다면 야간학과가 폐과되면서, 졸업요건 확인안하고 야간과목이 없어졌을때 전필과목이나 야간 개설이 없어진 전선과목을 들을때 빼곤 없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한 학기에 한 두명 볼까말까한 경우로 흔한 일은 아니다. 단 예전에 야간대학이 많이 있을 때는 점수에 맞춰서 야간대학으로 진학한 전업 학생들이 많아서 그런 경우는 주간 수업을 듣는 경우도 많았다.
[11]
그외에 주간학생들의 경우 수업을 야간으로 듣는 이유중에 하나가 학점을 잘 받기 위해서, 공강을 많이 만들기 위하여 듣기도 한다. 야간수업을 적절히 활용하면, 18학점 신청 기준 공강을 무려 최대 3일이나 만들수 있는 괴물같은 스케줄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점관리에도 아무래도 야간과목이 점수를 관대하게 주기 때문에 용이하다. 같은 과목이라도 야간시험이 주간시험보다 더 쉽다. 다만 야간학부를 운영하는 학부에서 주간 학생이 야간 전공을 듣게 하는 일은 웬만해서 잘 허락하지 않는다. 주간의 해당 과목이 없거나 정말 피치못할 사정이 아닌 이상 주간학생이 야간 전공을 듣지 못하게 막는다.
[12]
여기서 말하는 모집단위 변경은 선발인원,
학과 통폐합, 소속변경을 말한다.
[13]
수원대의 경우는 야간대학을 운영하는 타 대학과 달리 야간 전공, 필수교양 첫 교시 수업이 대부분 4시 30분부터 시작해서 직장인들은 정상적으로 수업을 듣기가 힘들며 수원대 야간의 거의 모든 학생들이 20대다.
[14]
신입학으로 입학은 불가능하며, 전문학사 특별과정 편입으로만 입학이 가능하다. 보건관련 학과 전문학사 학위이상 소지자, 재직자만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