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3 01:29:56

아이리시 부주키


인도/유럽/기타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바이올린
바이올린 비올리노 피콜로 · 바로크 바이올린 · 오현 바이올린 · 피들 · 콘트라 · 슈트로비올 · 로트피올 · 하링펠러 · 알렉산더 바이올린 · 일렉트릭 바이올린
비올라 알토 바이올린 · 비올라 폼포자 · 비올라 프로폰다
첼로 바로크 첼로 · 피콜로 첼로 · 베이스 바이올린 · 바리톤 바이올린 · 첼로 다 스팔라 · 첼로네 · 일렉트릭 첼로 · 아르페지오네
더블베이스 콘트라베이스 · 옥토베이스
비올
비올 비올라 다 감바 · 바리톤 · 디비전 비올 · 리라 비올 · 파르드쉬 드 비올 · 비올라 다모레 · 비올로네 · 리로네 · 비웰라 데 아르코
파생 비엘 · 리라 다 브라치오
리라/ 레밥
리라 비잔티움식 리라 · 크레테식 리라 · 칼라브리아식 리라 · 가둘카 · 리예리차 · 포셰트 · 구덕
레밥 레밥 · 레벡 · 라베카 · 카마이차 · 카만체 · 가이착
휠 피들
드렐라이어 · 돈스코이 릴레이 · 덜시거디 · 드레옐리레 · 렐리아 · 니네라 · 비올라노 비르투오소 · 휠 하프 · 비올라 오르가니스타 · 하모니코드 · 보겐클라피어
기타 찰현악기
요우힉코 · 크루즈 · 니켈하르파 · 탈하르파 · 구슬레 · 사랑기 · 사린다 · 야이바하르
발현​악기 지터계
지터 칸텔레 · 코라
류트
류트 우드 · 라바브 · 시타르 · 테오르보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반두라 · 우쿨렐레 · 차랑고 · 밴조 · 아이리시 부주키
사즈 사즈 · 부주키
기타 기타 · 클래식 · 어쿠스틱 · 일렉트릭 · 베이스 · 일렉트릭 베이스 · 바리톤
하프
하프 하프
이외 티체스트 베이스 · 하프시코드 · 하르페지
타현​악기
덜시머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피아노( 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




1. 개요2. 역사3. 부주키와의 차이점4. 용어 정리5. 용도

1. 개요

아이리시 부주키(Irish Bouzouki)는 아일랜드 포크 음악에 주로 쓰이는 8현 발현악기이다.

이름은 그리스의 전통 악기인 부주키(Μπουζούκι)에서 따왔지만, 실제로는 크게 만든 플랫 백 만돌린에 가깝다. 조율도 부주키보다는 만돌린에 가깝다.

2. 역사

1960년대에 새로 개발된 악기로서, 그리스의 부주키를 아일랜드 포크 음악 연주에 걸맞게 개량하는 과정에서 등장했다. 원래 부주키는 6현짜리 악기로, 만돌린처럼 두 현이 한 쌍을 이루어 같은 음을 내는 구조이다. 그러나 현 한 쌍을 더 보태어 8현짜리로 늘린 8현 부주키가 20세기 중반에 개발이 되었는데, 이 8현 부주키를 포크 음악가이며 스위니스 멘(Sweeney's Men)의 멤버였던 조니 모이니한(Johnny Moynihan, 1946년생)이 다시 아일랜드 포크 음악 스타일에 걸맞게 개량하여 등장한 악기가 바로 아이리시 부주키이다. 이 과정에서 원래의 부주키와는 전혀 다른 악기로 개량되었다. 그 결과, 현재의 아이리시 부주키는 사실상 플랫 백 만돌린의 지판을 길게 늘려서 한 옥타브 가량 낮게 튜닝한 악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만돌린에 가까워졌다.

3. 부주키와의 차이점

차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리시 부주키를 GDAD로 튜닝하는 방법 또한 조니 모이니한의 작품. 조니 모이니한은 원래 GDAE로 튜닝하는 만돌린을 GDAD로 튜닝을 해서 사용했는데, 여기서 다시 한 옥타브를 낮춰서 튜닝을 한 것이다. 따라서 아이리시 부주키의 본좌는 바로 조니 모이니한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듯.

이 아이리시 부주키는 조니 모이니한을 비롯하여 같은 그룹의 멤버였던 앤디 어빈(Andy Irvine, 1942년생)이나 테리 우즈(Terry Woods, 1947년생)[1], 그리고 플랭스티(Planxty) 멤버였던 도날 루니(Donal Lunny, 1947년생)[2] 등등의 대표적인 연주가들을 통해서 널리 보급되었다. 아이리시 부주키의 튜닝이 GDAE에 비해서 GDAD가 많은 것도 조니 모이니한의 영향이다. (물론 아이리시 부주키라고 해 놓고 GDAE로 튜닝하는 경우도 많다)

4. 용어 정리

유사한 악기에 옥타브 만돌린(Octave Mandolin)과 시턴(Cittern)이 있다. 이 용어는 아티스트들 사이에서도 혼선을 빚는 듯. 실제로 테리 우즈의 경우에는 분명히 치고 있는 악기는 옥타브 만돌린 아니면 아이리시 부주키인데 이를 시턴으로 지칭한다. 아이리시 부주키 개발 초기에는 이 세 용어가 뒤섞여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용어를 깔끔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 용도

만돌린이 선율 연주와 코드 및 리듬 연주 모두에 사용되는 관계로, 옥타브 만돌린/아이리시 부주키/시턴의 세 악기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현을 한 쌍씩 뜯으며 솔로 연주를 할 수도 있고, 왼손을 빠르게 움직이며 속주를 할 수도 있으며, 기타를 치듯이 코드를 잡고 리듬을 맞춰 스트로크를 칠 수도 있다.
[1] 몇몇 음악 그룹을 거쳐 1986년부터 포그스에 몸 담고 있다. [2] 도날 루니는 왼손잡이이다. 아일랜드 포크 음악과 관련된 사진이나 영상에서 부주키를 거꾸로 들고 있는 사람은 도날 루니일 가능성이 높다. [3] 가장 높은 음을 내는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