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08:30:49

신목왕후

신목태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혁거세 후 남해 후 유리 후 탈해 후
알영부인 운제부인
1
이리생부인
2
사요왕의 딸 김씨
아효부인
파사 후 지마 후 일성 후 아달라 후
사성부인 애례부인 지소례왕의 딸 박씨 내례부인
벌휴 후 내해 후 조분 후 미추 후
석골정의 모후 아루부인
1
아이혜부인
2
운소부인
광명부인
흘해 후 내물 후 실성 후 눌지 후
석공한의 모후 보반부인 아류부인 차로부인
자비 후 소지 후 지증왕 후 법흥왕 후
1
김복호의 딸
2
김미사흔의 딸
1
김습보의 딸
2
선혜부인
연제부인 보도부인
진흥왕 후 진지왕 후 진평왕 후 무열왕 후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
문무왕 후 신문왕 후 성덕왕 후 효성왕 후
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경덕왕 후 혜공왕 후 선덕왕 후 원성왕 후
사량부인
2
경수태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 숙정부인
소성왕 후 애장왕 후 헌덕왕 후 흥덕왕 후
계화부인 왕후 박씨 귀승부인 정목왕후
희강왕 후 민애왕 후 신무왕 후 문성왕 후
문목왕후 윤용왕후 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헌안왕 후 경문왕 후 헌강왕 비 효공왕 후
문의왕후의 모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 왕비 박씨
신덕왕 후 경명왕 후 경애왕 후 경순왕 후
의성왕후 왕비 김씨 왕비 죽방부인
}}}}}}}}}


신목왕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F072A, #b9062f 20%, #b9062f 80%, #9F072A);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흥왕 조 무열왕 조 효소왕 조
성덕왕 조
경덕왕 조
지소태후 문정태후 신목태후 태후 김씨
혜공왕 조 선덕왕 조 원성왕 조 소성왕 조
헌덕왕 조
흥덕왕 조
경수태후 정의태후 조문태후 성목태후
희강왕 조 민애왕 조 신무왕 조 문성왕 조
순성태후 선의태후 헌목태후 정종태후
경문왕 조 효공왕 조 신덕왕 조 경순왕 조
광의태후 의명태후 정화태후 계아태후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신문왕의 계후
신목왕후 | 神穆王后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 효소왕조 왕태후
신목태후 | 神睦太后
}}}}}}}}}
출생 656년 이전[1]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사망 700년 6월 1일 (향년 44세 이상)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능묘 미상
재위기간 신라 왕후
683년 5월 7일 ~ 692년 7월 2일
신라 왕태후
692년 7월 2일 ~ 700년 6월 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김씨
부모 부친 김흠운
모친 요석공주 (추정)
형제자매 형제관계 불명
배우자 신문왕
자녀
2남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효소왕(孝昭王, 687 ~ 702)
차남 - 성덕왕(聖德王, 691 ~ 737)
종교 불교
작호 왕후(王后) → 왕태후(王太后)
시호 신목왕후(神穆王后)
존호 신목태후(神睦太后)
}}}}}}}}}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신라 중대의 왕후. 제 31대 신문왕 계비이자 제 32대 효소왕과 제 33대 성덕왕 형제의 모후이다.

2. 생애

신목왕후의 아버지 김흠운은 655년 도비천성 전투에서 퇴각하지 않고 백제군에 맞서다 전사했던 인물이다. 김흠운은 곧 태종 무열왕의 사위였으니, 신목왕후의 어머니는 태종 무열왕의 딸, 즉 공주였을 거라고 추론할 수 있다.

서기 681년, 문무왕이 죽고 신문왕이 즉위하자 왕의 장인이었던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신문왕은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태자 시절 혼인했던 왕비를 폐출시킨다. 그리고 2년 뒤 683년에 태종 무열왕의 사위였던 김흠운의 딸과 재혼하니 이가 곧 신목왕후다. 즉, 신문왕과 신목왕후의 혼인은 고종 사촌끼리의 근친혼인데, 이는 신문왕이 무열왕계의 결속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아버지가 이미 전사한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여 외척의 개입을 차단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보인다. 사실 신라 왕족들은 족보가 마구 얽혀있어 외척의 범위도 모호하고 그 정치적 위험성도 조선 왕조처럼 크지 않았다.

신목왕후의 구체적 생년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지만 655년 사망한 김흠운의 딸이라면 늦어도 655년생이고, ​이 국혼 시점에는 적어도 28세였다. 10대에 하는 결혼도 흔하던 전근대 기준으로는 굉장히 늦은 결혼이었다.(초혼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김흠운은 무열왕계에다 향가 양산가(陽山歌)의 주인공으로 칭송받던 전쟁 영웅이었으므로 그의 딸과 신문왕의 재혼이 왕권강화의 일환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일길찬 김흠운(金欽運)의 작은 딸을 맞아들여 아내로 삼기로 하고, 우선 이찬 문영(文穎)과 파진찬 삼광(三光)을 보내 기일을 정하고, 대아찬 지상(智常)을 보내 납채(納采, 남자 집에서 혼인을 하고자 예를 갖추어 청하면 여자 집에서 이를 받아들이는 것)하게 하였는데, 예물로 보내는 비단이 15수레이고 쌀, 술, 기름, 꿀, 간장, 된장, 포, 젓갈이 135수레였으며, 벼가 150수레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신문왕 3년(683년) 2월
이찬 문영과 개원(愷元)을 김흠운의 집에 보내 책봉하여 부인(夫人)으로 삼았다. 그날 묘시에 파진찬 대상(大常)·손문(孫文), 아찬 좌야(坐耶)·길숙(吉叔) 등을 보내 각각 그들의 아내와 양(梁)과 사량(沙梁) 두 부(部)의 여자 각 30명과 함께 부인을 맞아오도록 하였다. 부인이 탄 수레의 곁에서 시종하는 관원들과 부녀자들이 매우 많았는데, 왕궁의 북문에 이르러 부인이 수레에서 내려 대궐로 들어왔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신문왕 3년(683년) 5월 7일
신문왕과 신목왕후의 혼례는 삼국사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식으로 거행된 최초의 왕실 혼례로서, 유교적 이념의 확산을 통해 왕권강화를 추구하려는 중대 왕실의 정치적 목적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692년 신문왕이 사망하자 효소왕이 6세의 나이로 즉위했고 신목왕후가 어린 아들을 대신해 태후로서 섭정했을 것이라 추정된다.[2]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된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금동사리함기를 보면 발원자가 효소왕과 신목태후(신목왕후) 명의로 되어 있는데, 이를 보면 신문왕 시기 공신들의 조력으로 신목왕후가 섭정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황복사 금동사리함명에 따르면 태후는 700년(효소왕 9년) 6월 1일에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만약 그녀가 섭정을 했다면 효소왕이 즉위한 692년부터 8년 동안 국정을 이끈 셈이다. 속일본기에는 5개월 뒤인 700년 11월 8일에 사찬 김소모(金所毛)가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신목왕후의 사망을 알렸다는 기록이 있다.

3. 여담



[1] 아버지 김흠운이 655년 사망했기 때문에 유복녀라 해도 656년 이전에는 출생해야 한다. [2] 참고로 이때 중국에서는 그 유명한 측천무후가 집권하고 있었고, 일본에서도 여제 지토 덴노가 재위 중이었다. 한중일 삼국 모두 여성 통치자가 다스리는 굉장히 이례적인 경우였던 셈. [3] 정사에서는 태종 무열왕 문명왕후의 딸이지만, 화랑세기 필사본에서는 보희 소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