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무열왕의 공주이자 김유신의 배우자인 인물에 대한 내용은 지소부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요왕 후 | 허루왕 후 | 마제왕 후 | 지소례왕 후 |
유리 이사금의 장모 | 파사 이사금의 장모 | 지마 이사금의 장모 | 일성 이사금의 장모 | |
일지왕 후 | 아도왕 후 | 세신왕 후 | 구도왕 후 | |
일성 이사금의 외조모? | 파사 이사금의 손자며느리 | 옥모부인 | 술례부인 | |
이칠왕 후 | 내음왕 후 | 파호왕 후 | 습보왕 후 | |
미추 이사금의 장모 | 내해 이사금의 며느리 | 자비 마립간의 장모 | 조생부인 | |
지도로왕 후 | 입종왕 후 | 동륜왕 후 | 복승왕 후 | |
연제부인 | 지소태후 | 만호부인 | 마야부인의 모친 | |
음갈문왕 후 | 진안왕 후 | 만천왕 후 | 문흥왕 후 | |
선덕여왕 | 월명부인 | 국반갈문왕의 장모 | 문정태후 | |
흥무왕 후 | 개성왕 후 | 신영왕 후 | 명덕왕 후 | |
지소부인 | 사소부인 | 무열왕의 딸 | 계오부인 | |
혜충왕 후 | 익성왕 후 | 선강왕 후 | 성덕왕 후 | |
성목태후 | 순성태후 | 선의태후 |
1
헌목태후2
조명부인
|
|
의공왕 후 | 혜성왕 후 | 흥렴왕 후 | 신흥왕 후 | |
광의왕태후 | 부호부인 | 정화태후 | 계아태후 | |
혁거세 거서간의 생모 | ||||
선도성모 | ||||
}}}}}}}}} |
지소태후 관련 틀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입종 갈문왕의 왕후
지소부인 | 只召夫人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라 법흥왕의 왕녀
김지소 | 金只召 |
||
신라 진흥왕조 왕태후
지소태후 | 只召太后 |
}}}}}}}}} | ||
출생 | 520년대 추정[1] | ||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
|||
사망 | 574년 이후[2] (향년 미상) | ||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신라의 왕녀 | ||
520년대 이후 추정 ~ 연대 미상 | |||
신라의 부인 | |||
연대 미상 ~ 540년 | |||
신라 왕태후 | 섭정 | |||
540년 ~ 545년 이후 추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 | |
휘 | 지소(只召)[3], 지몰시혜(只沒尸兮)[4] | ||
부모 |
부왕
법흥왕 모후 보도부인 |
||
형제자매 | 1녀 중 장녀 | ||
배우자 | 입종 갈문왕 | ||
자녀 | |||
종교 | 불교 | ||
작호 |
왕녀(王女) → 부인(夫人) → 왕태후(王太后) |
||
시호 | 지소부인(只召夫人) | ||
존호 | 지소태후(只召太后) | ||
별호 | 지몰시혜비(只沒尸兮妃)[5] |
[clearfix]
1. 개요
신라 23대 왕 법흥왕의 딸이자, 24대 왕 진흥왕의 어머니. 김춘추의 딸이자 김유신의 부인인 지소부인(智炤夫人)과는 한자가 다르다.2. 내용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이 좀 다른데 삼국사기에서는 법흥왕과 보도부인(保刀夫人)의 딸이며, 법흥왕의 동생, 즉 자신의 삼촌인 김입종과 혼인하여[6] 삼맥종(훗날의 진흥왕)과 숙흘종을 낳았다.그리고 진흥왕이 7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을 때 섭정을 했는지에 대해서도 다르게 나온다. 삼국사기에는 지소태후라고 집어서 말한 게 아니라 그저 왕태후가 섭정했다고만 되어 있어서 이 태후가 전 왕비인 보도부인인지 어머니 지소부인인지 불확실하게 서술되어 있다.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제1'에서는 섭정하는 태후를 가리켜 법흥왕의 딸이자 입종 갈문왕의 비(妃)라고 하여 명확하게 서술되어 있다. 학계에서 위서로 보는 필사본 화랑세기는 애초에 '지소태후'라고 서술했다.
부여태후를 제외하면 한국사에서 최초로 나타나는 여성의 섭정 기록인데, 단순히 진흥왕의 어머니일뿐 아니라 법흥왕의 딸이기도 하다는 점이 그녀가 직접적으로 정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이유가 된 것 같다.
어쨌든 기록에선 진흥왕의 즉위 시점에 섭정했다는 것이 끝이고 따라서 언제 섭정을 거뒀는지는 불확실하다. 다만 진흥왕이 12세가 되던 545년에 진흥왕이 직접 명령을 내려 국사를 편찬한 기록이 있는만큼 이 시점에서 진흥왕의 친정이 이루어지고 지소태후는 정치일선에서 물러났다고 볼 수 있다. 또는 진흥왕이 연호를 바꾼 551년에 섭정을 거뒀다고 본다.
울산광역시에 있는 울주 천전리 각석에 남아있는 신라시대 방명록 중 지소태후가 남긴 것도 두 개 있는데[7] 남편 입종 갈문왕과 찾아온 것과 훗날 남편이 죽은 뒤 어린 아들 삼맥종을 데리고 옛날 남편의 흔적이 있는 곳에 다시 찾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임종하기 전 불교식으로 머리를 깎고 출가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왕실의 어른인 태후이자 성골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삭발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신라 많은 왕실 인물들이 그렇듯, 지소태후도 생몰년도는 전해지지 않는다.
3. 매체에서의 등장
화랑에서 김지수가 연기했다. 섭정을 했다고 기록된 인물들이 다 그렇듯이 악역으로 묘사된다. 그것도 상상을 초월하는 짓거리들을 거리낌없이 저지르는 악랄한 인물이다.
[1]
진흥왕의 생년으로 단지 추측할 뿐이다.
[2]
574년에 불국사를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3]
삼국사기, 삼국유사 기록.
[4]
울주 천전리 각석 추명.
[5]
몰(沒)을 수(須)로 판독하기도 하며, 한자 소(召)의 삼국시대 한자음이
미추홀(彌鄒忽)과 매소홀(買召忽)의 대응을 통해 본래 '도'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투(投)로 판독할 여지도 있다. 실제로 召의
중고한어 음가는 /*drjew/로 재구된다.
[6]
현대 기준으로는
근친상간에
개족보지만, 고대에는 드문 일이 아니었다. 여기서 한참 뒤 500여년이 지난
고려시대에도 왕실에서는 근친혼이 곧잘 이루어졌다.
[7]
이름은 아마 본명일 '
지몰시혜(只没尸兮)'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