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23:02

시드니 크로스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피츠버그 펭귄스
2024-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
<colcolor=#fff>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191919> '''
감독
설리번 ·
코치
''' 레이어든 · · 벨루치 · 키오도 · 니켈 · 달리몽트
센터 13 이노스트로사 · 20 엘러 · 43 하킨스 · 55 악시아리 · 71 말킨
A
· 77 카터 · 87 크로스비
C
레프트윙 10 오코너 · 11 닐란더 · 59 구엔첼 · 63 조호르나 · 83 니에토
라이트윙 17 러스트 · 19 스미스 · 67 라켈
디펜스 2 루웨델 · 5 셰이 · 7 루드빅 · 27 그레이브즈 · 28 페테르손 · 53 사모루코프 · 58 르탕
A
· 65 칼손 · 73 조제프
골텐더 35 재리 · 39 네델코비치
다른 NHL 구단 로스터 보기 }}}}}}}}}}}}}}}
시드니 크로스비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
세계 기록
}}}
Youngest captain of a Stanley Cup winning team
(최연소 스탠리컵 우승팀 주장)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시드니 크로스비
21세 10개월 5일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파일:NHL 로고.svg
NHL 역사상 위대한 선수 10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드 에이블 실 앱스 앤디 배스게이트 장 벨리보 맥스 벤틀리
토 블레이크 마이크 보시 레이 부르크 조니 바우어 터크 브로다
마르탱 브로되르 조니 뷰식 파벨 부레 크리스 첼리오스 킹 클랜시
바비 클라크 폴 커피 찰리 코나커 이방 쿠르누아예 시드니 크로스비
파벨 다추크 알렉스 델베키오 마르셀 디온 켄 드라이든 빌 더넌
필 에스포지토 토니 에스포지토 세르게이 표도로프 페테르 포르스베리 론 프랜시스
그랜트 퓨어 밥 게이니 마이크 가트너 베르니 조프리옹 웨인 그레츠키
글렌 홀 더그 하비 도미니크 하셰크 팀 호턴 고디 하우
바비 헐 브렛 헐 야로미르 야그르 패트릭 케인 던컨 키스
레드 켈리 테드 케네디 데이브 키언 야리 쿠리 엘머 락
기 라플뢰르 팻 라퐁텐 브라이언 리치 자크 르메르 마리오 르미외
니클라스 리드스트룀 에릭 린드로스 테드 린지 앨 매키니스 프랭크 마호블리치
마크 메시에 스탠 미키타 마이크 모다노 디키 무어 하위 모렌츠
스콧 니더마이어 조 뉴언다이크 애덤 오츠 바비 오어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베르니 파랑 브래드 파크 질베르 페롤 자크 플랑트 드니 포트뱅
크리스 프롱거 장 라텔 앙리 리샤르 모리스 리샤르 래리 로빈슨
뤼크 로비타유 파트리크 루아 조 새킥 뵈리에 살밍 드니 사바르
세르주 사바르 테리 소척 밀트 슈미트 테무 셀래네 브랜던 섀너핸
에디 쇼어 대릴 시틀러 빌리 스미스 페테르 슈타스트니 스콧 스티븐스
마츠 순딘 조너선 테이브스 브라이언 트로티에 조르주 베지나 스티브 아이저먼
출처
}}}}}}}}}}}} ||

프로 이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HL / QMJHL 수상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Presidents's Cup(2004)

RDS/JVC Trophy(2004)

QMJHL All-Rookie Team(2004)

Michel Bergeron Trophy(2004)

CHL Rookie of the Year(2004)

QMJHL First All-Star Team(2004, 2005)

Michel Brière Memorial Trophy(2004, 2005)

Jean Béliveau Trophy(2004, 2005)

Paul Dumont Trophy(2004, 2005)

Offensive Player of the Year(2004, 2005)

CHL First All-Star Team(2004, 2005)

CHL Player of the Year(2004, 2005)

CHL 득점왕(2004, 2005)

Canada Post Cup(2004, 2005)

Guy Lafleur Trophy(2005)

Mike Bossy Trophy(2005)

Top Pro Prospect(2005)

Memorial Cup All-Star Team(2005)

Ed Chynoweth Trophy(2005)

Rimouski Océanic / Quebec Major Junior Hockey League No.87 영구결번(2019)
}}} ||
마이너 리그 수상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ova Scotia Major Midget Hockey League Champion(2002)

Air Canada Cup Tournament MVP Award(2002)

Air Canada Cup 득점왕(2002)

Air Canada Cup Scholarship(2002)

USA Hockey National Midget Champion(2003)
}}} ||
}}} ||
파일:NHL 로고.svg NHL 관련 수상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탠리 컵 파이널(2009).png
2009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스탠리 컵 파이널(2016).png
2016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스탠리 컵 파이널(2017).png
2017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파일:NHL 로고.svg NHL All-Rookie Team(2006)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 9회(2007, 2008, 2009, 2011, 2015, 2017, 2018, 2019, 2023)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 MVP(2019)

파일:NHL 로고.svg NHL All-star Game Superskills Accurancy 우승(2017)

파일:NHL 로고.svg NHL First All-Star Team(2007, 2013, 2014, 2016)

파일:NHL 로고.svg NHL Second All-Star Team(2010, 2015, 2017, 2019)

파일:하트 메모리얼 트로피.jpg
역대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3-24 1924-25 1925-26 1926-27 1927-28
프랭크 나이보어 빌리 버치 넬스 스튜어트 허브 가디너 하위 모렌츠
<rowcolor=#fff> 1928-29 1929-30 1930-31 1931-32 1932-33
로이 워터스 넬스 스튜어트 하위 모렌츠 하위 모렌츠 에디 쇼어
<rowcolor=#fff> 1933-34 1934-35 1935-36 1936-37 1937-38
오렐르 졸리아 에디 쇼어 에디 쇼어 베이브 시버트 에디 쇼어
<rowcolor=#fff> 1938-39 1939-40 1940-41 1941-42 1942-43
토 블레이크 에비 굿펠로우 빌 코울리 토미 앤더슨 빌 코울리
<rowcolor=#fff> 1943-44 1944-45 1945-46 1946-47 1947-48
베이브 프랫 엘머 라크 맥스 벤틀리 모리스 리샤르 버디 오코너
<rowcolor=#fff> 1948-49 1949-50 1950-51 1951-52 1952-53
시드 에이블 척 레이너 밀트 슈미트 고디 하우 고디 하우
<rowcolor=#fff> 1953-54 1954-55 1955-56 1956-57 1957-58
앨 롤린스 테드 케네디 장 벨리보 고디 하우 고디 하우
<rowcolor=#fff>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앤디 배스게이트 고디 하우 베르니 조프리옹 자크 플랑트 고디 하우
<rowcolor=#fff>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장 벨리보 바비 헐 바비 헐 스탠 미키타 스탠 미키타
<rowcolor=#fff>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필 에스포지토 바비 오어 바비 오어 바비 오어 바비 클라크
<rowcolor=#fff>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필 에스포지토 바비 클라크 바비 클라크 기 라플뢰르 기 라플뢰르
<rowcolor=#fff>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브라이언 트로티에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rowcolor=#fff>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마리오 르미외
<rowcolor=#fff>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웨인 그레츠키 마크 메시에 브렛 헐 마크 메시에 마리오 르미외
<rowcolor=#fff>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세르게이 표도로프 에릭 린드로스 마리오 르미외 도미니크 하셰크 도미니크 하셰크
<rowcolor=#fff>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야로미르 야그르 크리스 프롱거 조 새킥 호세 테오도르 페테르 포르스베리
<rowcolor=#fff>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마르탱 생루이 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 조 손턴 시드니 크로스비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rowcolor=#fff>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헨리크 세딘 코리 페리 예브게니 말킨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rowcolor=#fff>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시드니 크로스비 캐리 프라이스 패트릭 케인 코너 맥데이비드 테일러 홀
<rowcolor=#fff>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니키타 쿠체로프 레온 드라이자이틀 코너 맥데이비드 오스턴 매튜스 코너 맥데이비드 }}}}}}}}}}}}

파일:콘 스마이스 트로피.jpg
역대 콘 스마이스 트로피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장 벨리보 로저 크로지어 데이브 키온 글렌 홀 세르주 사바르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바비 오어 켄 드라이든 바비 오어 이방 쿠르누아예 베르니 파랑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베르니 파랑 레지 리치 기 라플뢰르 래리 로빈슨 밥 게이니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브라이언 트로티에 버치 고링 마이크 보시 빌리 스미스 마크 메시에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웨인 그레츠키 파트리크 루아 론 헥스톨 웨인 그레츠키 앨 매키니스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빌 랜포드 마리오 르미외 마리오 르미외 파트리크 루아 브라이언 리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클로드 르미외 조 새킥 마이크 버논 스티브 아이저먼 조 뉴언다이크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스콧 스티븐스 파트리크 루아 니클라스 리드스트룀 장세바스티앙 지게르 브래드 리처즈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 캠 워드 스콧 니더메이어 헨리크 세테르베리 예브게니 말킨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조너선 테이브스 팀 토머스 조너선 퀵 패트릭 케인 저스틴 윌리엄스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덩컨 키스 시드니 크로스비 시드니 크로스비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라이언 오라일리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빅토르 헤드만 안드레이 바실렙스키 케일 머카 조나탕 마르셰소 코너 맥데이비드 }}}}}}}}}}}}

파일:아트 로스 트로피.jpg
역대 아트 로스 트로피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1947-48 1948-49 1949-50 1950-51 1951-52
엘머 라크 로이 코나커 테드 린지 고디 하우 고디 하우
<rowcolor=#fff> 1952-53 1953-54 1954-55 1955-56 1956-57
고디 하우 고디 하우 베르니 조프리옹 장 벨리보 고디 하우
<rowcolor=#fff>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디키 무어 디키 무어 바비 헐 베르니 조프리옹 바비 헐
<rowcolor=#fff>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고디 하우 스탠 미키타 스탠 미키타 바비 헐 스탠 미키타
<rowcolor=#fff>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스탠 미키타 필 에스포지토 바비 오어 필 에스포지토 필 에스포지토
<rowcolor=#fff>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필 에스포지토 필 에스포지토 바비 오어 기 라플뢰르 기 라플뢰르
<rowcolor=#fff>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기 라플뢰르 브라이언 트로티에 마르셀 디온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rowcolor=#fff>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rowcolor=#fff>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마리오 르미외 마리오 르미외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마리오 르미외
<rowcolor=#fff>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마리오 르미외 웨인 그레츠키 야로미르 야그르 마리오 르미외 마리오 르미외
<rowcolor=#fff>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야로미르 야그르 야로미르 야그르 야로미르 야그르 야로미르 야그르 저롬 이긴라
<rowcolor=#fff>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페테르 포르스베리 마르탱 생루이 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 조 손턴 시드니 크로즈비
<rowcolor=#fff>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알렉산드르 오베츠킨 예브게니 말킨 헨리크 세딘 다니엘 세딘 예브게니 말킨
<rowcolor=#fff>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마르탱 생루이 시드니 크로즈비 제이미 벤 패트릭 케인 코너 맥데이비드
<rowcolor=#fff>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코너 맥데이비드 니키타 쿠체로프 레온 드라이자이틀 코너 맥데이비드 코너 맥데이비드
<rowcolor=#fff>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코너 맥데이비드 니키타 쿠체로프 }}}}}}}}}}}}

파일: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jpg
역대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테무 셀래네 파벨 부레 파벨 부레 저롬 이긴라 밀란 헤이두크
<rowcolor=#fff>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릭 내시
일리야 코발추크
저롬 이긴라
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 조너선 치추 뱅상 르카발리에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rowcolor=#fff>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시드니 크로즈비
스티븐 스탬코스
코리 페리 스티븐 스탬코스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rowcolor=#fff>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시드니 크로즈비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rowcolor=#fff>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다비트 파스트르냐크
오스턴 매튜스 오스턴 매튜스 코너 맥데이비드
<rowcolor=#fff>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오스턴 매튜스 }}}}}}}}}}}}

파일:마크 메시어 리더십 상.webp
역대 마크 메시에 리더십 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2006.11 2006.12 2007.01 2007.02 2007.03
브랜던 섀너핸 스콧 니더메이어 시드니 크로즈비 뱅상 르카발리에 로베르토 루옹고
<rowcolor=#fff>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크리스 첼리오스 마츠 순딘 저롬 이긴라 시드니 크로즈비 즈데노 하라
<rowcolor=#fff>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셰인 돈 다니엘 알프레드손 더스틴 브라운 조너선 테이브스 셰이 웨버
<rowcolor=#fff>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닉 폴리뇨 데릭 엥겔랜드 웨인 시몬스 마크 조르다노 파트리스 베르제롱
<rowcolor=#fff>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안제 코피타르 스티븐 스탬코스 제이콥 트루바 }}}}}}}}}}}}

파일:테드 린지 상.jpg
역대 레스터 B. 피어슨 상 / 테드 린지 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Lester B. Pearson Award
<rowcolor=#fff>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필 에스포지토 장 라텔 바비 클라크 필 에스포지토 바비 오어
<rowcolor=#fff>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기 라플뢰르 기 라플뢰르 기 라플뢰르 마르셀 디온 마르셀 디온
<rowcolor=#fff>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마이크 류트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rowcolor=#fff>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마리오 르미외 웨인 그레츠키 마리오 르미외 스티브 아이저먼 마크 메시에
<rowcolor=#fff>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브렛 헐 마크 메시에 마리오 르미외 세르게이 표도로프 에릭 린드로스
<rowcolor=#fff>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마리오 르미외 도미니크 하셰크 도미니크 하셰크 야로미르 야그르 야로미르 야그르
<rowcolor=#fff>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조 새킥 저롬 이긴라 마르쿠스 내슬룬드 마르탱 생루이 직장폐쇄로 수상자 없음
<rowcolor=#fff> 2005-06 2006-07 2007-08 2008-09
야로미르 야그르 시드니 크로즈비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rowcolor=#000000> Ted Lindsay Award
<rowcolor=#fff>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다니엘 세딘 예브게니 말킨 시드니 크로즈비 시드니 크로즈비
<rowcolor=#fff>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캐리 프라이스 패트릭 케인 코너 맥데이비드 코너 맥데이비드 니키타 쿠체로프
<rowcolor=#fff>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레온 드라이자이틀 코너 맥데이비드 오스턴 매튜스 코너 맥데이비드 }}}}}}}}}}}}

}}} ||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피츠버그 펭귄스 수상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MVP Award(2006, 2007, 2010, 2013, 2014, 2016, 2017, 2019, 2021)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Michel Brière Rookie of the Year Award(2006)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A.T. Caggaiano Memorial Booster Club Award(2006, 2007, 2010, 2013, 2014)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Aldege "Baz" Bastien Memorial Good Guy Award(2006, 2009, 2010)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The Edward J. DeBartolo Community Service Award(2010, 2016, 2017)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Players' Player Award(2018, 2019, 2021)
}}} ||
국제 대회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2004 핀란드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은메달

2005 미국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2006 라트비아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 Alls-Star

2006 라트비아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 최우수 공격수

2006 라트비아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 득점왕

2015 체코 IIHF World Championship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2016 캐나다 World Cup of Hockey 캐나다 국가대표팀 금메달

2016 캐나다 World Cup of Hockey MVP

2016 캐나다 World Cup of Hockey 득점왕

IIHF All-Time Canada Team(2020)

IIHF All Decade Team(2010-2020)
}}} ||
기타 상훈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Dapper Dan Sportsman of the Year(2006, 2007, 2017)

Sporting News 선정 NHL Player of the Year(2007)

ESPY Award 선정 NHL Player of the Year(2007, 2008, 2009, 2010, 2013, 2014, 2016, 2017)

Lou Marsh Trophy[1](2007, 2009)

Lionel Conacher Award[2](2007, 2009, 2010)

파일:Order_Nova_Scotia_ribbon_bar.svg.png Order of Nova Soctia(2008)

AIF Chairman's Award for leadership in community and charitable activities(2008)

ESPN 선정 Top Ten NHL Players of the Decade(2000-09)

Sporting News 선정 Top 50 Players in Today's NHL 1위(2009)

Sporting News 선정 Top Under-25 Athlete (2010)

The Sports Network 선정 Hockey's Top 50 1위(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The Hockey News 선정 Saku Koivu Award[3](2013)

The Hockey News 선정 Mario Lemieux Award(2013, 2014)

The Hockey News 선정 Wayne Gretzky Award(2014, 2016)

파일:QEII_Diamond_Jubilee_Medal_ribbon.png Queen Elizabeth II Diamond Jubilee Medal(2013)

ESPN 선정 Top 20 Athletes 1995-2015 20위(2015)

Triple Gold Club[4](2015)

Emmy Award 선정 Best Sports One-Time Special(2016, 2020)

Sporting News 선정 NHL Athlete of the Decade(2010-2020)

ESPN 선정 NHL All-Decade Awards MVP(2010-2020)

파일:Order of Canada.png Order of Canada(2021)
}}} ||
파일:NHL 로고.svg 보유 중인 IIHF / NHL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IHF World Championship 최연소 득점왕
100포인트&100PIM 최로로 달성한 루키
최연소 단일 시즌 100득점 선수(18세 253일)
최연소 200득점 달성 선수(19세 207일)
최연소 2시즌 연속 100득점 선수(19세 215일)
최연소 올스타 게임 선발 선수
최연소 Art Ross Trophy 수상 선수
최연소 Lester B. Pearson Award 수상 선수
최연소 퍼스트팀 선수
최연소 NHL 플레이오프 득점왕(20세 9개월 28일)
최연소 NHL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주장(20세 10개월 5일)
Conn Smythe Trophy를 2회 이상 수상한 6번째 선수
정규 시즌 최단 경기 소화 팀내 득점왕(2010-11, 41게임 66득점)
}}}

파일:피츠버그 펭귄스 로고.svg 피츠버그 펭귄스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루키 단일 시즌 최다 어시스트(63) 및 득점(102)
정규시즌 최다 오버타임 결승골(13)
최다 경기 출장
플레이오프 최다 득점
플레이오프 최다 어시스트
플레이오프 최다 경기 출장
스탠리 컵 파이널 최다 득점(20)
플레이오프 최다 멀티 득점 경기
}}}


[1] 올해의 캐나다인 운동선수 [2] 올해의 캐나다인 남자 운동선수 [3] 재기상(Comeback Player) [4]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 IIHF World Championship 금메달, 동계올림픽 금메달 모두 달성한 선수
}}} ||
파일:시드니 크로스비.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피츠버그 펭귄스 No.87
C
시드니 패트릭 크로스비[5]
Sidney Patrick Crosby OC[6] ONS[7]
출생 1987년 8월 7일 ([age(1987-08-07)]세)
노바스코샤 핼리팩스
국적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종목 아이스하키
포지션 센터
드래프트 2005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순위
피츠버그 펭귄스 지명
신체 180cm, 91kg
등번호 87번
소속 피츠버그 펭귄스 (2005~)
계약 2013 - 2025 (12yrs) / $104,400,000[Guaranteed]
연봉 2023-2024 / $3,000,000
별명 Sid the Kid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피츠버그 펭귄스
2.2.1. 2005-06 시즌 : 역대급 신인의 출현2.2.2. 2006-07 시즌 : 최연소 주장 취임2.2.3. 2007-08 시즌2.2.4. 2008-09 시즌 : 준우승의 상처를 딛고 정상에 서다2.2.5. 2009-10 시즌2.2.6. 2010-11 시즌2.2.7. 2011-12 시즌 : 뇌진탕 리스크2.2.8. 2012-13 시즌 : 또다시 들이닥친 부상의 악몽2.2.9. 2013-14 시즌2.2.10. 2014-15 시즌2.2.11. 2015-16 시즌 :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끝은 창대하리라2.2.12. 2016-17 시즌 : 리핏 달성2.2.13. 2017-18 시즌2.2.14. 2018-19 시즌2.2.15. 2019-20 시즌2.2.16. 2020-21 시즌2.2.17. 2021-22 시즌2.2.18. 2022-23 시즌
2.3.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3. 기타4. 연도별 기록
4.1. 정규 시즌4.2. 플레이오프

[clearfix]

1. 개요

NHL 피츠버그 펭귄스 소속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워싱턴 캐피털스 알렉산드르 오베치킨, 같은 팀 예브게니 말킨등과 함께 2003-04 시즌 직장의 폐쇄로 밑바닥까지 떨어질 뻔한 NHL의 인기를 지탱한 캐나다 최고의 현역 스타이자 현시대 최고의 선수 중 1명이다. 현재는 자신의 이름을 딴 재단을 설립하는 등 환경 보호 쪽에도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캐나다 노바스코샤 핼리팩스 출생. 그의 아버지 트로이 크로스비는 퀘벡 메이저 주니어 하키 리그(QMJHL)에서 골텐더로서 활약했으며, 1985년에 프레지던트 컵과 메모리얼 컵 우승에 공헌하는 활약을 펼쳤다. 햅스 팬이었던 그는 1984년 NHL 드래프트에서 전체 240위로 지명되었지만, 별다른 족적을 남기지는 못했다. 그의 아버지를 따라 햅스 팬으로 자란 크로스비는 2세에 지하실에서 하키를 처음 시작하며 일찍이 뿌리가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크로스비는 7세에 지역신문 인터뷰를 할 정도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13세에는 또래들과 너무나도 차이나는 실력 때문에, 노바스코샤주 하키 위원회에서 15~17세의 선수가 뛰는 마이너 리그에서 뛰지 못하게 하는 처분을 하기도 했다. 그의 부모는 금지 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기각되어 원고 패소(...) 판결을 받았다. 14세에 마이너 리그에 입단하면서 본격적인 팀 생활을 시작했고, 캐나다 방송 협회의 인기 프로그램 'Hockey Day in Canada'[9]에 출연하기도 했다. 하지만, 너무 뛰어난 실력 탓에 상대 선수들의 부모 등 관중이겐세이로온갖 욕설이나 야유 등의 모욕을 퍼붓기도 했다.

2003년 드래프트에서 QMJHL의 리무스키 오세아닉(Rimouski Océanic)에 전체 1순위로 지명되어 주니어 리그 커리어를 시작했다. 데뷔전부터 1골 2어시스트로 싹이 다른 모습을 보여주더니, 개막 첫 2주 연속으로 '금주의 선수(Player of the Week)'을 수상했고, 시즌동안 총 6회 수상했다. 뿐만 아니라, QMJHL '이 달의 선수(Player of the Month)' 역시 3회 수상하였고, 캐나다 전체 주니어 리그를 관할하는 CHL의 금주의 선수에도 3회 노미네이트되었다. 크로스비는 첫 시즌을 59경기 54골 81어시스트 135포인트라는 괴물같은 성적을 찍고 정규시즌 신인왕과 득점왕, MVP까지 QMJHL 사상 최초로 동시에 석권했다.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도 9경기 7골 9어시스트 16포인트로 활약했음에도 준우승에 그쳤다.

03-04 시즌 이후, WHA[10]의 토론토 토로스(Toronto Toros)의 지명을 받았는데, 3년 $750M의 거금을 제시받았지만 NHL 데뷔를 목표로 한다고 밝히면서 입단을 거절했다.

04-05시즌에는 대니 루신(Dany Roussin)[11], 마흑-앙투안 풀리오(Marc-Antoine Pouliot)[12]과 함께 QMJHL 최고의 1라인을 이뤘다. 루신과 풀리오가 각각 116포인트와 114포인트로 리그 2위와 3위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벌었고, 당연히1위인 크로스비는 62경기 66골 102어시스트 168포인트라는 넘사벽의 성적을 남겼다. 정규 시즌 득점왕과 MVP는 물론이요, 최고의 신인 공격수 및 최고의 공격수와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기도 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13경기동안 14골 17어시스트 31포인트로 무쌍을 찍으며 고향팀 핼리팩스 무소헤즈를 꺾고 프레지던트 컵 우승을 일궈냈다. 온타리오 하키 리그(OHL), 서부 하ㅣ 리그(WHL)와 QMJHL의 우승팀 간에 치러지는 메모리얼 컵에서는 런던 나이츠에게 0승 4패로 떡실신당했지만, 5경기에서 6골 5어시스트로 최다 득점으로 입상했다. 패배했기 때문에, MVP는 런던 나이츠의 공격수 코리 페리에게 돌아갔지만. 시즌 종료 후, NHL 드래프트에 참가할 것을 발표했다.

2.2. 피츠버그 펭귄스

2005년 NHL 드래프트에 참가했던 크로스비는 거의 모든 매체에서 유망주 1위로 꼽혔다. 직전 시즌인 04-05시즌이 파업으로 중단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성적 역순 추첨 방식이 아닌 지난 4년간 플레이오프 진출 수와 드래프트 추첨 승리 수를 바탕으로 추첨 확률 가중치를 줬다. 역대급 대어로 꼽히던 크로스비를 뽑은 팀은, 2004년 NHL의 파업을 기회로 삼아 팀의 재정부담을 덜어내는 작업에 들어갔던 피츠버그 펭귄스.

2.2.1. 2005-06 시즌 : 역대급 신인의 출현

2005년 10월 5일, AHL을 거치지 않고 뉴저지 데블스와의 개막전부터 로스터에 등록된 크로스비는 데뷔전부터 팀의 시즌 첫 골에 어시스트를 기록했지만, 5:1 대패를 당했다. 사흘 뒤인 10월 8일 보스턴 브루인스전에서 데뷔 첫 골과 어시스트 2개를 기록하며 3포인트 활약을 펼쳤지만 팀은 7:6으로 오버타임 패배를 당했다. 팀이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와중에, 펜스의 상징과도 같았던 마리오 르미외가 불규칙한 심장박동으로 시즌 도중에 은퇴해야 하는 불미스러운 일에, 12월 15일에는 에드 올치크 감독이 경질되었다. 주장과 감독이라는 리더 두 명이 없어져버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감독대행 미셸 테리앙은 데뷔 첫 시즌에 아직 30경기도 치르지 않은 크로스비에게 부주장도 아닌 대체 주장을 맡겨버렸고, 테리앙 감독 대행은 많은 전문가들과 언론에서 질타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펜스의 성적은 동부 컨퍼런스 최하위로 대차게 망했지만, 크로스비는 39골 63어시스트 102포인트를 기록하며 마리오 르미외가 가지고 있던 펜스의 루키 시즌 어시스트와 포인트 기록을 갈아치웠고, 역대 단일시즌 100포인트 최연소(만18세) 기록을 세우는 등 역시 싹수가 다르다는 것을 증명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활약에도 불구하고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신인왕)는, 크로스비의 드래프트 직전에 치러진 2004년 전체 1위 지명자 알렉산드르 오베치킨에게 돌아갔고, 이는 둘의 오랜 라이벌 형성의 서막이 되었다. 한편으로는 역대 신인으로선 정규시즌 100포인트와 100분의 페널티 타임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는데, 지금의 크로스비의 이미지와는 달리 당시에는 한성깔해서 상대 선수나 감독, 심판에 대한 비난을 일삼아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 웨인 그레츠키도 젊을 땐 그랬다. 그(크로스비)도 성숙짐에 따라 그런 오명은 사그라들 것이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2.2.2. 2006-07 시즌 : 최연소 주장 취임

2년차인 06-07시즌에도 소포모어 징크스따윈 없이 활약을 펼쳤다. 2006년 10월 28일 펜실베이니아 라이벌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전에서 데뷔 첫 해트트릭을 기록한 데 이어, 12월 13일 역시 플라이어스(...)전에 1골 5어시스트 6포인트로 리그 포인트 1위에 올라섰다. 팀 역시 크로스비도 수상하지 못한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한 예브게니 말킨과 메모리얼 컵 준우승 출신 조던 스탈이 가담하면서 공격력이 비약적으로 증폭했고 데뷔 첫 플레이오프에도 진출했다. 하지만, 당해 준우승팀 오타와 세너터스[13]에게 1승 4패로 패퇴하면서 광탈했다.

정규시즌 79경기 36골 84어시스트 120포인트로 마무리하면서, 만19세였던 크로스비는 1980년 웨인 그레츠키 이래로 역대 두 번째로 10대의 나이로 리그 선두와 역대 최연소 '아트 로스 트로피'(최다 포인트 득점 선수)를 수상 및 전 북미 프로리그 최연소 득점왕이라는 영광도 함께 했다. 시즌이 완전히 끝난 이후에 정규시즌 MVP인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와 '레스터 B. 피어슨'상까지 수상하면서 NHL사상 최연소 '레스터 B. 피어슨'상 수상자 및 최연소 퍼스트 팀 선정, 웨인 그레츠키에 이은 역대 두 번째로 어린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수상자라는 타이틀까지 가져갔다.

또한, 시즌 도중에는 주장직을 거절했던 크로스비가, 구단의 설득 끝에 시즌 이후인 2007년 5월 31일, 만19세 9개월 24일로 NHL사상 최연소 주장에 선임되었다.

2.2.3. 2007-08 시즌

루키 계약 마지막 3년차 시즌을 앞두고 7월 10일에 5년 $43.5M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14] 12월 20일에는 데뷔 첫 싸움으로 '고디 하우 해트트릭'[15]을 달성했다.

2008년 1월 1일, 첫 NHL 윈터 클래식 버팔로 빌스의 홈구장 랄프 윌슨 스타디움에서 버팔로 세이버스와 치러졌고, 버팔로의 지X맞은 폭설 속에서 슛아웃까지 가는 끝에 크로스비의 골로 승리를 가져갔다.

약 2주 후인 1월 18일, 탬파베이 라이트닝전에서 발목 염좌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고, 올스타 투표로 뽑혔음에도 결장할 수밖에 없었다. 3월 4일에 또다시 붙는 탬파베이 라이트닝전에 복귀했지만 스스로 컨디션이 좋지 않다는 것을 느끼고 재활에 힘썼다. 3월 27일에 복귀하여 시즌 53경기동안 72포인트를 기록하는 데 만족해야만 했다. 다만, 그의 부재 기간동안 예브게니 말킨이 성장하는 결과를 만들어냈고, 말킨이 알렉산드르 오베치킨의 뒤를 이은 리그 포인트 득점 2위와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정규시즌 MVP) 후보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크로스비의 빈자리를 어느정도 메울 만한 활약을 했다.

말킨과 함께 강력한 라인을 형성한 펜스는 애틀랜틱 디비전 1위 및 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에 이은 동부 컨퍼런스 2번 시드를 차지했다. 1라운드 상대는 지난 시즌과 같은 오타와 세너터스. 센스를 상대로 4승 스윕으로 설욕하고 뉴욕 레인저스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역시 4승 1패로 각각 5경기만에 정리해버렸다. 1992년 우승 이래 처음으로 스탠리 컵 파이널에 진출한 펜스는 캡틴 니클라스 리드스트룀(Nicklas Lidström), 헨리크 세테르베리(Henrik Zetterberg)와 파벨 다추크(Па́вел Вале́рьевич Дацю́к)의 '유로 트윈스(Euro-Twins)'가 버티고 있는 프레지던트 트로피 위너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를 만나게 되었고, 2008년 스탠리 컵 파이널에서는 레드윙스에게 2승 4패로 패배하면서 준우승에 만족해야만 했다.

비록 패배하긴 했지만, 플레이오프 20경기에서 6골 21어시스트 27포인트로 콘 스마이스 트로피를 수상한 세테르배리(13골 14어시스트)와 포인트 부문에서는 타이를 이뤘다.

2.2.4. 2008-09 시즌 : 준우승의 상처를 딛고 정상에 서다

시즌 초반인 10월 18일, 1골 3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커리어 100골 200어시스트 300포인트를 넘어섰다. 같은 경기에서 말킨의 200포인트 기록도 동시에 세우게 되면서, 팀 트레이너가 퍽을 반으로 잘라서 반쪽 씩 기념으로 가지게 했다. 정규 시즌 33골 70어시스트로 또다시 100포인트 시즌을 보내며 리그 3위를 기록했고, 말킨은 1위로 처음으로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하는 쾌거를 누렸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플라이어스를 꺾고 2라운드에서는 알렉산드르 오베치킨이 버티고 있는 워싱턴 캐피털스를 만나게 되면서 리그 포인트 1~3위가 모여있는 매치업이 성사되었다. 2차전에서 크로스비와 오베츠킨이 각각 커리어 첫 플레이오프에서의 해트트릭을 달성하는 등 박빙의 전개 양상에서 캡스가 4:3으로 승리하면서, 펜스는 시리즈 스코어 0승 2패로 몰렸다. 하지만, 내리 3연승을 거두며 역전했고 7차전에서 크로스비가 멀티골을 터뜨리면서 캡스를 꺾고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난적을 가까스로 꺾은 펜스는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를 간단하게 스윕해버리면서 2년 연속 파이널에 진출했다. 경기 종료 이후 시상식에서, 크로스비는 동부 컨퍼런스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에 손을 대지 않는다는 전통을 깼는데[16], 이에 대해 크로스비는 "작년에 우리는 트로피에 손을 대지 않았다. 비록, 우리가 원하는 것(우승)을 얻을 수는 없었지만 우리는 여전히 즐길 수 있다."며 소감을 밝혔다.

스탠리 컵 파이널 상대는 2년 연속으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7차전까지 가는 끝에 마침내 우승을 거머쥐었지만, 결정적인 7차전 2피리어드에서 요한 프란센(Johan Franzén)의 바디체킹으로 아웃되어 경기를 지켜봐야만 했다. 경기 종료 이후, 레드윙스의 센터 크리스 드레이퍼가 "닉( 니클라스 리드스트룀)이 악수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크로스비는 악수를 청하지 않았다. 특히나 주장으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라고 비판했는데, 크로스비는 "난 방금 막 우승했고, 동료들하고 기뻐할 권리는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기다리는게 쉽지 않다는 것은 알고, 여기서 기다리고 싶지 않다(=남의 우승을 지켜보는 것이 싫다)는 것도 이해한다. 근데 그거 아냐? 세상에서 제일 쉬운게 니가 이기고 난 다음 악수하는 거라는 걸.[17] 난 일부러 악수하지 않으려고 의도한 것이 아니다. 저는 그것이 꽤나 무리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라고 그에 대해 반박했다.

첫 우승의 감격 외에도, 만21세 10개월 5일의 나이로 1895년 이래 NHL 역대 최연소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의 주장이라는 타이틀과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 자신의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신인왕)는 라이벌 오베츠킨이 앗아갔지만, 그를 꺾고 먼저 우승하게 되는 기쁨을 누렸고, 오베츠킨과 본격적인 라이벌 형성 및 말킨과 함께 리그의 슈퍼스타로 자리잡았다.

2.2.5. 2009-10 시즌

우승으로 인한 번아웃에 시달리지 않고 한층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줬던 한 해. 볼츠 스티븐 스탬코스와 51골로 공동 선두에 109포인트로 넉스 헨리크 세딘(112포인트)에 이은 리그 2위를 기록했다.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와 테드 린지상 후보는 물론, 2007년에 이어서 마크 메시에 리더십상을 수상하며, 팀을 이끄는 주장으로서도 성숙한 모습을 보여줬다.

디펜딩 챔피언 자격이었지만, 정규시즌 103포인트를 기록한 뉴저지 데블스에 이은 101포인트로 지구 2위로 마무리했다. 버팔로 세이버스보단 1포인트 앞섰지만, 세이버스가 지구 우승 자격으로 3번 시드를 받으며 펜스는 4번 시드로 밀려났다.

플레이오프 쿼터파이널(1라운드)에서 지긋지그한 악연 오타와 세너터스를 만나, 1차전은 5:4로 패배하고, 5차전은 3OT까지 가는 끝에 패배하긴 했지만, 나머지 경기에서 센스를 폭격하면서 4승 2패로 세미파이널(2라운드)에 진출했다. 세미파이널 상대는 프레지던트 트로피[18]를 수상한 라이벌 캡스를 꺾고 올라온 햅스. 센스와의 6경기에서 14포인트로 맹활약한 크로스비는 햅스와의 7경기에서는 고작 1골 4어시스트로 부진하면서 마지막 7차전 끝에 탈락하고 말았다. 더군다나, 1967년 창단 때부터 함께 해온 홈구장 멜론 아레나에서의 마지막 시즌이었기 때문에 아쉬움은 배가 되었다.

2.2.6. 2010-11 시즌

시즌에 앞선 2010년 7월 27일, 신구장 콘솔 에너지 센터[19]의 팬들 앞에서 마리오 르미외와 함께 개장 첫 스케이팅을 선보였다.

11월 5일 덕스전에서 12월 28일 아일스전까지 무려 25경기 연속으로 포인트 득점을 이어나갔고, 이 기간동안 세 번의 해트트릭을 포함한 27골 24어시스트 51포인트라는 괴물같은 스탯을 쌓고, 11월과 12월 두 달 연속으로 '이 달의 퍼스트 스타'에 선정되었다. 이 같은 활약으로 영혼의 듀오인 예브게니 말킨, 코어 디펜스맨 크리스 르탕, 프랜차이즈 골텐더 마르크앙드레 플뢰리와 함께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하지만, 1월 1일 신년에 펼쳐진 라이벌 워싱턴 캐피털스와의 NHL 윈터 클래식에서 데이브 스테켈에게, 1월 5일 탬파베이 라이트닝또 볼츠과의 경기에서 빅토르 헤드만의 바디체킹으로 머리를 맞으면서 부상을 입었고, 결국 올스타전에도 출전하지 못했고 그대로 시즌아웃되었다. 펜스는 설상가상으로 예브게니 말킨마저 전방십자인대 파열(ACL)과 내측측부인대 파열(MCL)로 같이 시즌아웃되면서 득점을 책임질 라인이 붕괴되면서 위기를 맞이했지만, 댈러스 스타스에서 LW 제임스 닐과 D 맷 니스카넨을 트레이드로 데려오고, 오타와 세너터스에서 RW 알렉스 코발례프를 데려오는 등 보강하면서도, 페널티 킬링률이 무려 86.1%로 리그 1위를 기록하는 등 플뢰리와 수비의 힘으로 정규 시즌 106포인트를 기록했다. 아쉽게도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와 동일한 106포인트였지만, 당시 타이브레이커 룰이었던 ROW[20]에서 밀려서 지구 2위를 기록했다.

플레이오프 첫 상대는 크로스비와 질긴 악연이 있는 탬파베이 라이트닝. 플뢰리와 제임스 닐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후달리는 공격력으로 인해 7차전에서 패배하면서 광탈했다. 당장, 시즌 절반인 41경기를 결장한 크로스비가 팀내 득점 1위(...)였을 정도로 득점생산력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한 해였다. 그것도, 2위인 르탕과 무려 16포인트를 앞섰다는 것. 이렇게, 크로스비는 최소 경기로 NHL 팀내 최다 포인트 득점선수라는 또 하나의 진기한 기록을 세웠다.

2.2.7. 2011-12 시즌 : 뇌진탕 리스크

뇌진탕 후유증이 길어지면서 첫 20경기를 결장하고 11월 21일 뉴욕 아일런더스전에 복귀하며 2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여느 때처럼 활약했지만, 12월 8일 뉴욕 레인저스전에서 뇌진탕 증세가 또다시 도지면서 휴식에 들어갔다.

3월 15일, 또다시 만난 레인저스전에 복귀하여 시즌 22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개인 통산 600포인트를 달성하는 등 마일스톤을 착실히 쌓아나가면서 쉬어가는 한 해가 되었다.

플레이오프에 크로스비가 복귀하면서, 많은 전문가들은 펜스가 또 한번의 스탠리 컵을 들 것이란 예상을 했지만... 1라운드에서 만난 펜실베이니아 라이벌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에게 1~3차전을 눈썩 경기력으로 발렸다. 펜스는 세 경기 합계 페널티 타임이 무려 158분으로 수비의 부담은 가중시키면서 공격 기회는 쪼그라들어버리며 스스로 경기를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크로스비는 8:4로 깨진 3차전에서 플라이어스의 윙어 야쿠프 보라체크가 글러브를 떨어뜨려 주우려고 할 때 스틱으로 글러브를 밀어버리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행동으로 비판을 받았고, 경기 후 인터뷰에서 이에 대해 "저는 저 팀에 있는 누구도 좋아하지 않는다. 그(보라체크)의 글러브가 제 근처에 떨어져있었고, 그는 그걸 주우러 갔고, 난 그냥 밀쳤다. 뭐... 그거다. 난 쟤네들이 싫다. 쟤네들이 싫기 때문이다. 싫다... 저 팀에 있는 인간들 죄다 싫다."와 같은 마크 메시에 리더십상을 두 차례나 받은 선수가 맞는지 의심스러운 인터뷰로 씹고 물어뜯기 좋아하는 언론에 장작을 보태주었다.

씹창난 분위기 속에서 4,5차전은 이겼지만 결국 6차전에서 패배하면서 우승 1순위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라이벌에게 대차게 깨지고 광탈했고, 경기력뿐만 아니라 워크에식에서도 문제점이 많이 드러났던 시리즈였다.

5년 계약이 만료된 크로스비는 24-25시즌까지 12년 $104.4M의 대형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2.2.8. 2012-13 시즌 : 또다시 들이닥친 부상의 악몽

구단주와 NHL선수협 간의 노사협정 개정이 차질을 빚자, 구단주들은 직장폐쇄(락아웃)을 선언했고, 2012년 9월 15일부터 2013년 1월 6일에 19일날 정규시즌 개막 발표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많은 선수들이 KHL이나 스위스 리그 등 유럽에서 단기 계약을 맺고 용병으로 뛰는 와중에 크로스비는 조용히 개인 연습과 몇몇 선수들과 시범경기를 치렀다.

개막 첫 21경기에서 9골 22어시스트 31포인트로 스탯을 착실히 쌓고, 3월에는 15경기동안 무패행진을 벌이며 25포인트를 추가하는 등 승승장구했지만... 3월 30일 뉴욕 아일런더스전에 그 기분좋은 행진은 멈추고 말았다. 팀동료 브룩스 오르픽(Brooks Orpik)이 날린 슬랩샷이 크로스비의 입에 강타하면서 이가 몇개나 빠져버린 것. 의료진이 와서 데리고 나갈 때가지 크로스비는 아이스링크 위에 몇 분간 드러누워 있었다. 처음에는 심각하지 않아보였지만, 정밀검사에서 턱뼈가 부러져 몇 차례의 수술이 불가피하다는 판정을 받았고 잔여 경기 12경기는 자동으로 아웃되었다. 더 아쉬운 점은 최다 포인트 타이틀까지 놓쳐버린 것인데, 탬파베이 라이트닝의 마흐탱 생루이가 불과 4포인트 차로 아트 로스 트로피를 가져갔기 때문에 부상만 아니었으면 타이틀 하나 더 들 것이 확실시되었기 때문.

다행히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맞춰서 복귀할 수는 있었는데, 공교롭게도 상대가 뉴욕 아일런더스였다. 2차전에 복귀한 크로스비는 곧바로 2골을 넣는 활약에도 3:2로 패배했다. 그래도 5경기에서 3골 6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4승 2패로 아일스를 꺾고 또다시 오타와 세너터스를 만났다. 2차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의 활약으로 센스를 4승 1패로 빠르게 정리하고,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지지난 시즌 우승팀인 보스턴 브루인스를 상대했다. 하지만, 브루인스의 수호신 투카 라스크는 펜스가 날린 136개의 샷 중에서 134개를 막으며 4경기 2GA .985%라는 믿을 수 없는 통곡의 벽을 시전했고, 크로스비 역시 13개의 샷 역시 모두 막히고 4경기 내내 골과 어시스트도 없이 스윕당하며 짐을 싸게 되었다.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도 놓친 크로스비는 커리어 두 번째 테드 린지상을 수상하는 데 만족해야만 했다.

2.2.9. 2013-14 시즌

지난 세 시즌동안 절반도 못 나왔던 크로스비는 09-10시즌 이후 처음으로 80경기를 채우며 36골 68어시스트 104포인트로 100포인트 시즌을 보냈다. 커리어 첫 어시스트 리그 1위에 리그 최다 포인트로 커리어 두 번째로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하면서 지난 시즌의 아쉬움을 달랬다. 또한,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와 커리어 세 번째 테드 린지상도 수상했다.

플레이오프 첫 상대는 세르게이 보브롭스키를 앞세운 신흥 강호 콜럼버스 블루재키츠로, 양 팀이 플레이오프에서 만난 것은 처음이었다. 팀은 4승 2패로 캐논을 꺾고 2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지만, 정작 크로스비는 한 골도 기록하지 못하며 체면을 구겼다. 물론, 말킨도 7차전에 가서야 골 2개 추가하면서 체면치레를 겨우 했지만. 뉴욕 레인저스와의 2라운드 2차전에 마침내 골을 터뜨렸지만, 팀은 3승 1패에서 1승을 더하지 못하고 시리즈 역전패를 당하면서 또다시 광탈했다. 이후, 화딱지난 구단 수뇌부는 GM 레이 셰로를 경질시켜버리고 짐 러더퍼드를 앉혔고, 러더퍼드는 취임하자마자 감독 댄 빌스머를 경질시키고 마이크 존스턴을 선임하면서 신체제를 세웠다.

2.2.10. 2014-15 시즌

경기당 최다 포인트 기록과 정규 시즌 84포인트로 댈러스 스타스의 제이미 벤(87포인트)과 뉴욕 아일런더스의 존 타바레스(86포인트)에 이은 3위를 기록했다. 11월 26일, 571경기 출장만에 커리어 800포인트를 기록하면서 NHL사상 6번째로 빠르게 달성했다.[21] 1월 4일, 플라이어스전에는 커리어 300호 골을 달성했다.

플레이오프는 와일드카드 2순위로 막차를 탔지만, 1라운드에서 뉴욕 레인저스에게 1승 4패로 광탈했다.

2.2.11. 2015-16 시즌 :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끝은 창대하리라

계속된 실패가 거듭되자 구단에서는 필 케슬을 영입하는 등 선수단 역시 개편에 나섰다. 하지만, 12월 12일 존스턴 감독이 28경기 15승 10패 3OT의 성적을 남기고 경질되었다. 크로스비 역시 28경기에서 고작 6골과 마진도 음수를 달리는 등의 부진을 겪자, 언론들은 득달같이 "그 크로스비도30대도 되지 않았는데 에이징 커브가 왔다"며 물어뜯기 시작했다. 물론, 시즌의 결말을 생각하면 기자들과 전문가들을 하알못으로 만들어버리기에 충분했지만, 어쨌든 해가 넘어가기 전의 초반에 부진한 덕분에 올스타 투표에서는 밀리고 말았다.

하지만, 새로 선임된 마이크 설리반 감독 체제 하에서 크로스비와 펜스는 반등에 성공했고, 2월 2일에는 무려 5년 만에 해트트릭을 달성했다. 나흘 뒤인 2월 6일 플로리다 팬서스전에서 개인 통산 900포인트 달성 및 3포인트 활약으로 역전승을 거뒀다. 3월에 있는 펜스의 16경기 중 15경기에서 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이 달의 퍼스트 스타즈'에 선정되었고, 4월 2일에는 개인 통산 600어시스트를 달성함과 동시에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에이징 커브가 왔다는 되도 않은 기자들과 전문가들의 헛소리가 무색하게도, 결승골 9개로 커리어하이 달성과 함께 80경기 36골 49어시스트 85포인트를 기록했으며 통산 6번째 펭귄스 MVP에 선정되었다.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스카티 보우먼은 "크로스비가 프랭크 J. 셀케 트로피[22]를 수상할 자격이 있다"고 평가했으며, 웨인 그레츠키 역시 찬사를 보내면서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레츠키의 말대로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 후보에는 올랐지만, 초반의 부진으로 인한 누적이 모자란 탓인지 2위에 그쳤다.

플레이오프에서는 지난 두 번의 플레이오프에서 펜스를 광탈시켰던 뉴욕 레인저스를 1라운드에서 만났지만, 작년과 똑같은 시리즈 스코어(4승 1패)로 그대로 갚아주었고 크로스비 역시 3골 5어시스트 8포인트로 팀내 1위를 달렸다. 기세를 탄 펜스는 2라운드에서 크로스비가 2어시스트, 말킨이 1골에 그쳤음에도 프레지던트 트로피를 수상한 라이벌 워싱턴 캐피털스를 깔끔하게 털어먹었다. 3년 만에 복귀한 컨퍼런스 파이널 상대는 부상의 악연이 깊은 탬파베이 라이트닝, 2차전에서는 오버타임 시작 40초만에 OT골로 승리를 이끌었는데, 이는 펭귄스 플레이오프 최단 기록이자, 크로스비의 첫 플레이오프 OT골이었다. 3차전에서도 결승골을 기록하며 3승 무패로 앞서나갔고, 6차전에서도 컨퍼런스 파이널에서만 세 번째 결승골을 기록하면서 팀을 6년 만에 스탠리 컵 파이널에 올려놓았다.
파일:2016 크로스비.jpg 파일:2016 크로스비 콘 스마이스.jpg
산호세 샤크스와의 파이널에서는 6차전 끝에 우승하면서, 의 동계올림픽 금메달과, 두 번의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을 거둔 9번째 선수가 되었고, 6골 13어시스트 19포인트로 콘 스마이스 트로피[23]를 수상했다.

2.2.12. 2016-17 시즌 : 리핏 달성

우승의 기쁨이 채 가시기도 전에, 뇌진탕 증세 때문에 캡스와의 개막전은 물론, 시즌 첫 6경기에 결장했다. 2월 16일, 위니펙 제츠전에서 어시스트로 커리어 1000포인트를 달성했다. 우승 버프 덕분에 2007년 이후 무려 10년만에 NHL 올스타전에 출전했고, 스킬 경연대회의 슈팅 정확도 부문에서 우승했다. 정규시즌 펭귄스 팀 MVP와 75경기 44골 45어시스트 89포인트로 포인트 부문 리그 2위를 기록했다. 이는 포인트 Top3 8번째 시즌으로, 마리오 르미외 스탠 미키타, 필 에스포지토와 타이를 이루며 역대 3위에 올랐다.[24] 대신에, 44골로 리그 선두에 오르며 커리어 두 번째 모리스 "로켓" 리샤르 트로피를 수상했다.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펜스는 1라운드에서 3년 만에 콜럼버스 블루재키츠와 재전을 펼쳐 5경기 만에 집으로 돌려보냈다. 2라운드 상대는 지긋지긋한 라이벌 워싱턴 캐피털스였고, 1차전과 2차전을 이겼지만 3차전에서 오베츠킨의 슬래싱과 니스카넨의 크로스체킹으로 또 뇌진탕을 겪었다. 4차전을 결장하긴 했지만, 5차전에 복귀했고 만날 때마다 혈투를 벌인 두 팀답게 7차전 승부 끝에 크로스비가 결승골에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캡스를 탈락시켰다.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또 다른 지긋지긋한 플옵 라이벌 오타와 세너터스를 만나 또다시 7차전 혈투를 벌이며 2년 연속 파이널에 진출했다.

내슈빌 프레더터스와의 파이널에서 안방에서의 1,2차전을 펜스가 가져가고 3,4차전은 프레즈가 안방에서 가져가며 시리즈 스코어가 2:2의 균형을 이뤘다. 5차전에서 6:0 셧아웃 대승을 거둔 와중에 팀 레전드 마리오 르미외가 가지고 있던 스탠리 컵 파이널 20포인트의 팀 프랜차이즈 기록을 경신했다. 결국, 6차전까지 플뢰리의 활약으로 2:0 셧아웃을 만들어내며 1997-98의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이후 약 20년만에 리핏에 성공한 팀 및 샐러리 캡이 도입된 이후 첫 리핏에 성공한 팀이 되었다. 크로스비는 24경기 8골 19어시스트 27포인트로 예브게니 말킨에 이어서 2위였음에도 불구하고, 2년 연속으로 콘 스마이스 트로피를 수상했다.[25]
파일:2017 크로스비 콘 스마이스.jpg

2.2.13. 2017-18 시즌

크로스비와 함께 오랫동안 팀의 프랜차이즈 선수로서 안방을 지켜왔던 마르크앙드레 플뢰리가 신규 창단 프랜차이즈 베이거스 골든나이츠의 확장 드래프트로 이적하게 되었다.

2018년 2월 12일, NHL사상 95번째로 400골을 달성했고 3월 21일에는 커리어 700어시스트를 달성했다. 커리어 최초로 82경기 전경기 출장한 크로스비는 정규시즌 29골 60어시스트 89포인트를 기록했다.

1라운드 상대는 펜실베이니아 라이벌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1차전부터 크로스비의 해트트릭을 앞세워 7:0셧아웃으로 떡실신시켰다. 4차전에서는 커리어 플레이오프 173포인트를 기록하며 마리오 르미외가 가지고 있던 피츠버그 펭귄스 기록을 경신했다. 플라이어스를 6차전 끝에 잡아내고 크로스비는 6골 7어시스트 13포인트로 대활약했다. 하지만, 2라운드에서는 플뢰리의 부재를 느끼면서 라이벌 워싱턴 캐피털스에게 6차전 싸움 끝에 패배히면서 쓰리핏 달성은 물건너갔고, 결국 알렉산드르 오베치킨이 스탠리 컵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지켜봐야만 했다. 크로스비는 12경기 9골 12어시스트 21포인트로 플레이오프 통산 185포인트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의 전설 스티브 아이저먼과 타이를 이뤘다.

2.2.14. 2018-19 시즌

통산 8번째 올스타에 선출된 크로스비는 4골 4어시스트로 메트로폴리탄 디비전의 우승을 견인하며 커리어 첫 올스타 MVP를 수상했으며, 콘 스마이스 트로피와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한 선수로서는 6번째. 시즌 도중에, 마리오 르미외가 가지고 있던 경기 출장 수(916경기)를 넘으며 또 하나의 팀 기록을 경신했다. 3월 3일 햅스전에서 440호 골과 함께 펭귄스 역대 포인트 2위에 올라섰고, 이틀 뒤인 5일에 NHL사상 48번째로 1200포인트 달성 선수가 되었다.

정규시즌을 35골 65어시스트로 딱 100포인트를 맞추며 5년만에 100포인트 시즌을 보내며,당연한 듯이팀 MVP를 수상했다. 하지만, 팀 역시 정규시즌 100포인트를 기록했음에도 헬트로폴리탄 디비전 덕분에 104포인트의 워싱턴 캐피털스, 103포인트의 뉴욕 아일런더스에 이어 지구 3위에 그쳤다. 뿐만 아니라, 4위인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99포인트) 와 5위(!) 콜럼버스 블루재키츠가 98포인트로 막차를 타는 등 헬트로 인증. 1라운드에서 만난 아일스에게 피스윕으로 포풍 광탈해버렸다. 다행이라면(?) 역대급이라는 소릴 들으며 압도적인 정규시즌을 보낸 탬파베이 라이트닝이 8번 시드 캐논에게 피스윕으로 광탈하는 이변 덕분에 펜스의 광탈을 조용히 묻혔다(...)

2.2.15. 2019-20 시즌

2020년 1월, 2010년대 올 디케이드 퍼스트 팀에당연히선정되었다. 2월에 터진 코로나19의 판데믹으로 리그가 중단되었고 펜스는 동부 컨퍼런스 5번 시드로 진출했다. 하지만, 퀄리파잉 라운드에서 12번 시드 햅스에게 1승 3패로 떡실신당하면서 그저그런 팀이 되어가는 중... 심지어, 본인 생일인 8월 7일에 탈락했다.

2.2.16. 2020-21 시즌

사그라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 코로나19 덕분에 단축 시즌으로 치러지고, 캐나다의 국경 폐쇄덕분에 지구도 임시로 개편된 시즌인 상황에서, 크로스비는 24골 38어시스트 62포인트로 팀을 이끌었고 팀 MVP도 당연히 그의 몫이었다. 또한, 2월 21일에 커리어 1000경기를 출장하면서, 펭귄스 선수로서는 처음이었다. 또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으며 크로스비의 주장 선임 이래 15시즌 연속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웠고, 모든 북미 프로 스포츠 리그를 통틀어 최장기록이다.[26] 동부 지구 우승으로 올라간 펜스는 1라운드에서 또다시 4번 시드 아일스에게 2승 4패로 광탈했다.

2.2.17. 2021-22 시즌

2022년 2월 15일, 플라이어스전에서 커리어 500호 골을 터뜨리면서, 단일 팀에서 500골을 넣은 18번째 선수로 기록되었으며, 펜스 선수로서는당연히르미외에 이은 두 번째. 4월 10일 프레즈전에서 1400포인트를 달성, 정규시즌 31골 53어시스트 84포인트로 마무리했다.

지구 3위로 올라간 펜스는 2위 뉴욕 레인저스와 6년 만에 플레이오프에서 재회했다. 크로스비 시대를 함께 해온 핵심 자원 예브게니 말킨, 크리스 르탕, 마르크앙드레 플뢰리 중에서 플뢰리는 이미 팀을 떠났고, 말킨과 르탕 역시 계약 마지막 해이기 때문에 어쩌면 크로스비 시대의 황혼이 될 지도 모를 플레이오프. 반면에, 레인저스는 6년 전에도 재적했던 선수는 크리스 크라이더가 유일한데, 크라이더 입장에서는 복수를 꿈꾸고 있을 터였다.

1차전부터 3OT까지 가는 혈투 끝에 신승을 거뒀다. 레인저스의 수호신 이고리 셰스초르킨50개 연속 세이브 및 79세이브를 기록했기 때문... 그리고 세스초르킨의 활약이 무색하게도 말킨의 결승골로 1차전을 가져갔고 크로스비도 2어시스트를 기록했다.

3차전에서는 커리어 플레이오프 197포인트를 기록하며 폴 커피를 넘어서 역대 6위에 올랐고, 4차전에서 펜스의 7:2 대승에 1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역대 6번째로 200포인트 고지에 올랐고, 팀 역시 3승 1패로 단 1승만을 남겨놓았지만... 5차전에서 제이콥 트루바의 팔꿈치에 머리를 맞고 아웃되었고, 크로스비의 부재에 익숙한(?) 말킨의 분전에도 결국 승부는 7차전까지 가게 되었고, 크로스비의 복귀에도 불구하고 복수를 꿈꾸던 크라이더와 젊은 선수들의 활약으로 레인저스가 시리즈 역전 승을 달성하면서 펜스는 또다시 1라딱하고 말았다.물론, 립스가 플레이오프 7연속 1라딱 및 북미 프로리그 최초로 5년 연속 1라딱이라는 대기록을 세우는 바람에 또다시 묻혔다

2.2.18. 2022-23 시즌

계약이 끝난 말킨이 FA를 선언했지만, 크로스비가 구단과 말킨 사이를 중재하고 설득한 끝에 4년 $24.M으로 잔류하게 되었다.

개막 첫 2경기에서 2골 4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첫 주의 퍼스트 스타에 선정되는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팀은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지병이 있던 르탕을 비롯해 디펜스맨들이 드러눕는 바람에 순위는 점점 내려가고 있다.[27] 11월 5일, 시애틀 크라켄전에 커리어 900어시스트를 기록했지만 팀은 패배했다.

2.3.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어릴 때부터 주목받아왔던 만큼, 국가대표 데뷔도 빨랐으며 현재까지도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에 꾸준히 선발되고 있다. 2003년 IIHF World Junior Championship(U-18)에 선발된 것이 시초이며, 토너먼트 5경기에서 4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는 활약에도 동메달 결정전에서 체코에게 8:2로 깨지는 바람에 메달은 목에 걸 수 없었다.

2003년 말에는 U-20 대표팀에 선발되어 두 차례 IIHF WJC에 출전했고, 역대 캐나다 대표팀 선수 중에서 다섯 번째 만16세 선수였다. 2004년 헬싱키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만16세 4개월 21일로 역대 최연소 골을 기록하기도 했다.[28]

펭귄스에서 루키 시즌을 보낸 이후 2006년 IIHF WC에 어린 나이에 캐나다 대표팀의 부주장으로 선출되었다. 토너먼트 9경기에서 무려 8골 8어시스트 16포인트를 기록하며, 역대 최연소 대회 득점왕을 차지했다. 대회 최우수 공격수와 대회 올스타팀에 선정되는 등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캐나다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핀란드에게 5:0으로 셧아웃당하면서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는 로스터에서 제외됐지만, 자국에서 열리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 주장에 선임되었다. 그의 커리어 최고의 골을 꼽으라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이 동계올림픽 결승전에서 영원한 숙적 미국을 만나 연장전에서 금메달을 가져 오게 만든 일명, "골든골"이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도 대표팀에 뽑히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5년에는 캐나다팀 주장으로 IIHF WC 금메달을 따내면서 역대 26번째 '트리플 골드 클럽(Triple Gold Club)'[29]에 가입했다.

2016년 토론토에서 개최된 '월드컵 오브 하키'에 캐나다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출전하여, 대회동안 10포인트를 기록하며 대회 MVP에 선정되었다. 이로써, 바비 오어와 웨인 그레츠키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하트 메모리얼 트로피(정규시즌 MVP), 콘 스마이스 트로피(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MVP), 월드컵 MVP를 모두 획득한 선수가 되었다.

2020년에는 IIHF 올타임 캐나다 팀과 2010년대 올디케이드 팀에 선정되었다.

2021년에는 코너 맥데이비드와 알렉스 피에트란젤로와 함께 가장 먼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캐나다 국가대표팀으로 발표되었지만,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NHL이 불참을 선언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3. 기타

4. 연도별 기록

4.1. 정규 시즌

정규 시즌 기록
<rowcolor=#000000> 소속 시즌 GP G A P +/- PIM PPG PPP SHG SHP GWG OTG S S% FO%
PIT 2005-06 81 39 63 102 -1 110 16 47 0 2 5 3 278 14.03 45.49
2006-07 79 36 84 120 10 60 13 61 0 0 4 0 250 14.4 49.76
2007-08 53 24 48 72 18 39 6 27 0 1 4 0 173 13.87 51.41
2008-09 77 33 70 103 3 76 7 40 0 1 3 1 238 13.87 51.33
2009-10 81 51 58 109 15 71 13 34 2 3 6 1 298 17.11 55.89
2010-11 41 32 34 66 20 31 10 19 1 1 3 0 161 19.88 55.66
2011-12 22 8 29 37 15 14 2 11 0 0 3 0 75 10.67 50.11
2012-13 36 15 41 56 26 16 3 17 0 0 1 0 124 12.1 54.32
2013-14 80 36 68 104 18 46 11 38 0 0 5 1 259 13.9 52.52
2014-15 77 28 56 84 5 47 10 31 0 0 3 1 237 11.81 49.91
2015-16 80 36 49 85 19 42 10 24 0 0 9 2 248 14.52 51.7
2016-17 75 44 45 89 17 24 14 25 0 0 5 1 255 17.25 48.17
2017-18 82 29 60 89 0 46 9 38 0 0 6 3 247 11.74 53.02
2018-19 79 35 65 100 18 36 12 29 0 2 3 1 220 15.91 55.42
2019-20 41 16 31 47 -8 15 4 17 0 0 4 2 109 14.7 55.63
2020-21 55 24 38 62 8 26 5 22 1 1 5 2 159 15.1 53.57
2021-22 69 31 53 84 19 32 8 30 0 0 9 1 208 14.9 52.41
<rowcolor=#000000> NHL 통산
(17시즌)
1108 517 892 1409 202 731 153 510 4 11 78 19 3539 14.6 52.1

4.2.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기록
<rowcolor=#000000> 소속 시즌 GP G A P +/- PIM PPG PPP SHG SHP GWG OTG S S% FO%
PIT 2006-07 5 3 2 5 0 4 1 2 0 0 1 0 20 15 52.59
2007-08 20 6 21 27 7 12 2 14 0 0 1 0 59 10.17 48.95
2008-09 24 15 16 31 9 14 5 10 0 0 2 0 79 18.99 53.02
2009-10 13 6 13 19 6 6 1 9 0 0 1 0 41 14.63 55.96
2011-12 6 3 5 8 -3 9 0 3 0 0 0 0 13 23.08 54.81
2012-13 14 7 8 15 -3 8 2 7 0 0 0 0 59 11.86 50
2013-14 13 1 8 9 -4 4 0 4 0 0 1 0 38 2.63 53.22
2014-15 5 2 2 4 1 0 0 0 0 0 0 0 10 20 54.95
2015-16 24 6 13 19 -2 4 3 9 0 0 3 1 69 8.7 52.4
2016-17 24 8 19 27 4 10 4 9 0 0 0 0 63 12.7 49.2
2017-18 12 9 12 21 7 6 1 5 0 0 0 0 29 31.03 53.96
2018-19 4 0 1 1 -4 2 0 0 0 0 0 0 6 0 52.81
2019-20 4 2 1 3 0 0 0 1 0 0 0 0 13 15.4 50.48
2020-21 6 1 1 2 -2 2 0 0 0 0 0 0 21 4.8 42.19
2021-22 6 2 8 10 2 2 1 2 0 0 0 0 22 9.1 53.33
<rowcolor=#000000> NHL PO통산
(15시즌)
180 71 130 201 18 83 20 75 0 0 9 1 541 13.1 51.7

[5]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크로즈비'이며, 실제 발음은 '크라-즈비-'에 가깝지만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크로스비'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6] 캐나다 훈장 2등급, 2021년 서훈 [7] 노바스코샤주 훈장, 2008년 서훈 [Guaranteed] $104,400,000 [9] 동 방송사의 'Hockey Night in Canada'와 함께 캐나다 시청률 1위를 다투는 프로그램. [10] 과거에 존재했던 동명의 리그와는 별개의 리그이다. 2003년에 NHL과의 경쟁을 목적으로 창설을 모의했고, 04-05 NHL 선수단 파업 사태로 리그가 중단되자 급물살을 타기도 했지만, 결국 흐지부지되어 2009년에 중단되었다. [11] 2003년에 플로리다 팬서스로부터 전체 223위로 지명받았지만, 입단 거부 후 2005년 드래프트에서 로스앤젤레스 킹스에 전체 50위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하지만, NHL 데뷔를 이루지 못한 채 하부 리그를 전전하다가 은퇴했다. [12] 2003년 1라운드 전체 22위로 에드먼턴 오일러스에 지명받았고 데뷔도 이뤘지만, AHL으로의 강등과 재승격이 반복되다가 현재는 스위스 리그에서 선수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13] 크로스비에게 메모리얼 컵 준우승을 안겨다줬던 코리 페리가 이끄는 애너하임 덕스에게 패배했다. [14] 후술하겠지만, 이는 AAV $8.7M으로 크로스비의 등번호에서 유래했다. [15]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및 NHL의 전설 고디 하우에서 따온 것이 맞다. 한 경기에서 골과 어시스트 파이트(...)를 최소 1회 기록하면 된다. [16] 컨퍼런스 우승 이후 시상식에서, 동부 컨퍼런스 우승팀에게 수여하는 '프린스 오브 웨일스 트로피'와 서부 컨퍼런스 우승팀에게 수여하는 '클라렌스 S. 캠벨 트로피'에 손을 대면 우승하지 못한다는 미신이 있다. [17] 악수하고 싶었으면, '꼬우면 우승하던가'라는 의미. [18] 정규시즌 리그1위. [19] PPG 페인츠 아레나. [20] 정규경기 + 오버타임 승리. 즉, 승수에서 슛아웃 승리만 제외시킨 수치. [21] 5위 야리 쿠리(558경기), 4위 페테르 슈타스트리(531경기), 3위 마이크 보시(525경기), 2위 마리오 르미외(410경기), 1위 웨인 그레츠키(352경기). [22] 리그 최고의 수비를 기록한 공격수에게 수여하는 상. [23]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MVP [24] 2위는 '''"Mr. Hockey" 고디 하우가 12회, 1위는... 무려 15회를 기록했다. [25] 2년 연속 콘 스마이스 트로피를 받은 선수로서는 3번째이다. 베르니 파랑(1974, 1975), 마리오 르미외(1991, 1992), 크로스비(2016, 2017)가 있다. [26] 마침, 같은 해에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기록이 끊기면서 달성했다. [27] 800골을 넘기는 등 부상이 아니라면 웨인 그레츠키의 894골을 넘길 것이 유력시되는 알렉산드르 오베치킨이 버티고 있는 워싱턴 캐피털스를 비롯해, 애덤 폭스를 비롯한 젊은 신성들과 이고리 셰스초르킨이라는 걸출한 골텐더가 버티고 있는 뉴욕 레인저스, 끈끈한 수비와 일리야 소로킨 뉴욕 아일런더스,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피지컬 좋은 어린 선수들의 활동량으로 승부하는 뉴저지 데블스까지 탱킹을 끝나고 지구 1,2위를 다투는 마당이라 헬트로 디비전이 더욱 빡세진 상황. [28] 2012년에 알렉산드르 바르코프가 만16세 4개월로 근소한 차이로 경신했다. [29] IIHF 월드 챔피언십 금메달, 동계올림픽 금메달,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을 모두 획득한 선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